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316

광해군은 과연 폭군이었을까? 광해군은 과연 폭군이었을까? 광해군에 관한 영화가 곧 개봉되는 모양입니다. 왕이 되어선 안 되는 남자, 조선의 왕이 되다! 영화의 포스터를 보니 광해군이 왕이 되어서는 안 되는 영화로 concept을 설정한 것 같군요. 유명 여배우. 체조 선수 등과 소중한 추억(??)을 자주 만드는 바람둥이 배우가 주인공으로 나오네요. 저는 우리 역사의 실존인물을 소재로 한 영화나 드라마를 잘 보지 않습니다. 터무니없는 역사 왜곡이 너무 많기 때문이죠. 최근에 본 이라는 영화도 그렇습니다. 복장을 보니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것 같은데, 조선의 27명 왕 중에서 형수를 범하려 하다가 죽임을 당한 군주는 없었습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역시 그런 왕은 없었지요. 역사를 잘 모르는 청소년이나 외국인들.. 2013. 9. 10.
세계인이 좋아하는 미술작품은 ? 세계인이 좋아하는 미술작품은 ?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인이 가장 사랑하는 미술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1853∼90)의 ‘별이 빛나는 밤’(1889)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이 2011년 2월부터 유수의 미술관과 함께 진행한 ‘구글 아트 프로젝트’의 2년 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구글 아트 프로젝트는 뉴욕 현대미술관, 파리 오르세 미술관 등 세계 각 미술관의 대표 소장품들을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해 인터넷 사이트(www.googleartproject.com)에서 볼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미술관별 위계나 상위 검색어 같은 서열은 따로 없다. 현재 46개국 262개 미술관의 작품 이미지 4만여 점이 올라와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사립미술관협회와 국립중앙박물관이 각각 한국 현대미술과 고미술 이미지를 제공.. 2013. 8. 22.
미국 소설가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key Fitzgerald.1896.9.24∼1940.12.21) 미국 소설가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key Fitzgerald.1896.9.24∼1940.12.21) 미국 소설가. 1896년 9월 24일 미국 미네소타 주 세인트폴에서 태어났다. 프린스턴 대학을 졸업하고,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군대에 들어가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 제대 후 광고 회사에 취직하지만 미래가 불확실하다는.. 2013. 5. 22.
고려장(高麗葬), 정말 존재했을까? 고려장(高麗葬), 정말 존재했을까?  작년 말, 과거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던 모 정치인이 “이번에 하는 청춘 투표가 인생투표야. 인생이 통째로 걸렸어.‘너 자신에게 투표하라!’ 꼰대들 ‘늙은 투표’에 인생 맡기지 말고 ‘나에게 표를’ 던지는 거야”라는 트윗을 날려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그는 17대 총선 당시 “60대 이상 70대 어르신들은 투표를 안 하고 집에서 쉬셔도 괜찮아요”라고 발언, 엄청난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작년 총선 때 국회의원에 출마한 모 정치인은  "요즘 시청역 앞에서 오버하고 지랄하는 노친네들이 많은데 다스리는 법이 없을까요?"라는 독설 방송인의 질문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모두 없애버리면 엄두가 안 나서 안 오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그는 "지하철 2호선은 4층 정도.. 2013. 5. 8.
가수 김정미를 아시나요? 가수 김정미를 아시나요? “난, 책임을 진다는 게 무서워...” 그때. 김정미의 이 들렸다. 그 ‘헤비한’ 힘은 그렇게 부유하는 듯한 황홀로부터 나오고 있었다. 그녀의 스모키한 목소리를 들으니 그때 우리가 느꼈던 모든 개념의 총화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 이충걸 지음 36쪽 일군의 뮤지션들로부터 ‘전설’로 불리는 한국 사이키델릭의 여제 김정미는 누구일까? 흔히들 김정미하면 김추자를 떠올리게 되는데 김정미와 김추자의 창법이 비슷한 것은 모두 신중현이 이들에게 노래를 지도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김정미는 사이키델릭 록 창법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창법은 확연한 차이가 난다. 대부분 신중현이 작곡한 김정미의 음악들은 사이키델릭 록으로 몽환적이고 관능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 김정미의 음반중 는.. 2013. 3. 29.
육영사업가ㆍ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육영사업가ㆍ문화재 수집가 전형필(全鎣弼.1906∼1962) 육영사업가ㆍ문화재 수집가. 본관 정선(旌善). 호 간송(澗松). 서울 생. 1926년 휘문고보를 거쳐 일본 와세다대학 법과 졸업(1929). 귀국 후 오세창(吳世昌)의 지도로 민족문화재를 수집하는 데 힘쓰는 한편, 1938년 성북동에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개설, 문화재 보존 장소로 활용했으며 1940년에는 종로구 관훈동 현 [통문관] 자리에 [한남서림]을 운영하며 문화재가 일본인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 1941년에는 농토를 팔아 폐교 직전의 보성중학을 인수, 운영하다가 해방 직후에는 잠시 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54년에는 문화재보존위원회(현 문화재위원회) 제1분과위원으로 위촉되었고 1956년에는 교육공로자 표창을 받기도 했다. 1.. 2013. 2. 22.
일제시대 시인ㆍ소설가 이상 (李箱.김해경 : 1910 ~ 1937) 일제시대 시인ㆍ소설가 이상(李箱.김해경 : 1910 ~ 1937) 시인ㆍ소설가. 본명 김해경(金海卿). 서울 출생. 1929년 경성고공(京城高工) 건축과 졸업. 1931년 시 등을 [조선과 건축]에 발표하는 한편, 이해의 조선미술전람회에 서양화 을 출품, 입선되었다. 1932년 역시 [조선과 건축]에 시 를 발표하면서 처음으로 ‘이상(李箱)’이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이 무렵 그는 백부의 알선으로 조선총독부 내무부 건축과 기수(技手)로, 또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전전하며, 근무하였다. ‘이상’이란 이름은 기수 시절 인부들이 그를 가리켜 ‘리상’이라 부른 데 연유한다지만, 고공 졸업 앨범에 그러한 별명이 나와 있다는 설도 있다. [조선과 건축]에 발표된 그의 초기 시편들은 주로 일본어로 씌어져 있는데, 내용이.. 2013. 2. 15.
프랑스 시인ㆍ소설가ㆍ극작가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1802.2.26∼1885.5.22) 프랑스 시인ㆍ소설가ㆍ극작가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1802.2.26∼1885.5.22)     프랑스 시인ㆍ소설가ㆍ극작가. 프랑스 낭만파 최대의 대표시인이었다. 브장송 출생. 부친은 나폴레옹 휘하의 군인, 모친은 낭트의 선주(船主)의 딸. 육군 사관(士官)으로 만들어보겠다는 부친의 기대를 배반하고 그는 시를 쓰는 데 몰두하다가 1817년 아카데미가 모집하는 시에 응모하여 당선, 위대한 샤토브리앙의 인정을 받았다.  위고는 거의 19세기 전체를 살아, 장수의 생애를 느렸다. 대혁명 후의 제1제정(帝政)ㆍ왕정복고(王政復古)ㆍ7월 혁명ㆍ2월 혁명ㆍ제2공화ㆍ제2제정ㆍ제3공화에 이르는 모든 정치 변혁과 더불어 시대사조가 흘러서 구비치는 그 가운데를 뚫고 언제나 생장하여 마지않는 자연의 거목(.. 2012. 12. 26.
조선 후기의 서화가ㆍ문신ㆍ문인ㆍ금석학자 김정희 조선 후기의 서화가ㆍ문신ㆍ문인ㆍ금석학자 김정희(金正喜.1786.6.3.정조 10∼1856.10.10.철종 7) 조선 후기의 서화가ㆍ문신ㆍ문인ㆍ금석학자. 본관 경주. 자 원춘(元春). 호 완당(阮堂)ㆍ추사(秋史)ㆍ예당(禮堂)ㆍ시암(詩庵)ㆍ과파(果坡)ㆍ노과(老果). 예산 출생. 1809년(순조 9) 생원이 되고, 19년.. 2012. 12. 22.
신라 악성(樂聖) 우륵 신라 악성(樂聖) 우륵 가야와 신라의 음악가. 우륵은 대가야 가실왕의 명에 따라 가야국의 궁중 악사가 되어 예술을 통해 혼란스러운 가야국의 정치적 통합을 꾀하고자 했던 악성(樂聖)이다. 그러나 그의 삶은 시대적 상황 탓에 순탄하지 않았다. 조국인 가야국이 멸망하게 되자 신라로 .. 2012. 11. 17.
록(Rock)음악가 신중현(1938 ~ ) 록(Rock)음악가 신중현(1938 ~ ) 한국의 록 음악가. 대중음악가. 기타연주자. 작곡가. 한국 최초의 록큰롤 밴드인 애드포를 비롯하여 조커스·덩커스 등의 그룹을 조직하여 활동하면서 한국적 록음악의 지평을 넓혔다. 1973년 '신중현과 엽전들'을 조직해 4장의 앨범을 발표하며 한국 록 음악.. 2012. 11. 10.
시인ㆍ소설가 황순원 시인ㆍ소설가 황순원(黃順元 1915.3.26∼2000.9.14) 시인ㆍ소설가. 평안남도 대동군(大同郡) 재경면(在京面) 빙장리(氷庄里)에서 찬영(贊永)의 맏아들로 출생. 1929년 평양 숭덕소학교(崇德小學校)를 나와 같은 해 정주(定州) 오산중학교(五山中學校)에 입학, 다시 평양 숭실중학교(崇實中學校).. 201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