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316

천주교 신부, 의사 이태석 천주교 신부, 의사 이태석 (李泰錫, 1962.9.19~2010.1.14) 인제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천주교 사제가 되었으며 아프리카 수단에서 병원과 학교를 설립하여 원주민을 위해 헌신하였다. 1962년 부산시 남부민동에서 10남매 중 9번째로 태어났다. 10살 되던 해에 아버지와 사별했으며, 어머니가 자갈치시장에서 삯바느질을 해서 아이들을 키웠다. 초등학교 시절 송도성당에서 다미안 신부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를 보고 같은 삶을 살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천마초등학교,대신중학교,경남고등학교를 나왔다. 1987년 부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군의관으로 복무하면서 신부가 되는 뜻을 품었으며, 복무를 마치고 특히 청소년교육에 대한 깊은 관심에 따라 1991년 살레시오 수도회에 입회한다. 그리고 광주 .. 2011. 10. 18.
기독교 장로. 농민운동가 김용기 기독교 장로. 농민운동가 김용기(金容基.1912∼1988.8.1) 기독교농민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1930년 광동학교(廣東學校) 졸업 후 1931년 중국으로 건너갔다가 기독교농민운동의 뜻을 품고 귀국하였다. 1938년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에 ‘봉안 이상촌’을 만들어, 기독교사회주의 실현을 위하여 힘썼다. 이상촌에서는 공동생활형태를 취하면서 가축부업을 의무화하고, 협동조합ㆍ소비공매조합 등을 결성하여 농민의 권익을 도모하는 한편, 금주ㆍ금연, 관혼상제 간소화운동도 전개하였다. 1942년 ‘고구마 12개월 저장방법’을 개발하여 농가소득에 기여하였다. 1944년 10월 용문산부근 농민들을 중심으로 농민동맹을 결성하고 일제의 공출(供出)과 징용ㆍ징병에 저항하는 운동을 전개할 때 .. 2011. 9. 20.
의사. 의학자. 종교인, 자선가 장기려 의사. 의학자. 종교인, 자선가 장기려(1911∼1995)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성산(聖山). 평안북도 용천(龍川) 출생. 한학자였던 장운섭(張雲燮)과 최윤경(崔允卿)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이 설립한 의성초등학교를 거쳐서 1928년 개성에 있는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그 해에 경성의학 전문학.. 2011. 8. 8.
PAL FRIED (1893-1976)의 그림 PAL FRIED (1893-1976)의 그림 Pál Fried (16 June 1893, Hungary – 6 March 1976, New York City) was a Hungarian artist. His oil paintings were usually of dancers, nudes, and portraits, and his subjects were almost always women, although he also painted Paris, seascapes, and cowboys and landscapes of the American West. He signed his paintings, in the European manner, with his surname first a.. 2011. 7. 2.
제갈량(諸葛亮)은 정말 베트남(Vietnam)을 칠종칠금(七縱七擒)했을까? 제갈량(諸葛亮)은 정말 베트남(Vietnam)을 칠종칠금(七縱七擒)했을까? 제갈공명 ‘칠종칠금’ 무대의 땅 역사 속 베트남 2011. 6. 25.
기구한 가족사의 주인공 - 대중가수 한대수 기구한 가족사의 주인공 - 대중가수 한대수(1948 ~ ) 원래 그의 노래는 대단했지만 기인 같은 모습과 상식 밖의 옷차림 등은 얼핏 이해가 되지 않는 면이 있었다. 김민기, 송창식, 양희은 등과 같은 무대에서 활동한 것 같이 보이지도 않고... 영화 을 보다가 영화 중간, 그리고 엔딩크레디트에 나오는 그의 창법에 한번 더 매료되었다. 이후 그의 삶에 대해 이리저리 알아보다가 소설보다 더 기구한 그의 운명에 놀라게 되었다. 대중가수 한대수의 삶과 그의 가족사는 어떠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한국의 대중가수. 핵물리학자인 아버지 한창석과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박정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1948년 부산에서 태어나 자란 한대수는 7살 무렵 미국에서 유학 중이던 아버지가 실종되고, 뒤 이어 어머니가 재가하.. 2011. 6. 15.
대금 산조 / 정목일 대금 산조 정목일 (1945 ~ ) 1. 한 밤중 은하가 흘러간다. 이 땅에 흘러내리는 실개천아. 하얀 모래가 푸른 물기 도는 대밭을 곁에 두고 유유히 흐르는 강물아. 흘러가라. 끝도 한도 없이 흘러가라. 흐를수록 맑고 바닥도 모를 깊이로 시공(時空)을 적셔가거라. 그냥 대나무로 만든 악기가 아니다. 영혼의 뼈마다 한 부분을 뚝 떼어 내 만든 그리움의 악기…. 가슴속에 숨겨 둔 그리움 덩달아 한(恨)이 되어 엉켜 있다가 눈 녹듯 녹아서 실개천처럼 흐르고 있다. 눈물로 한을 씻어 내는 소리. 이제 어디든 막힘없이 다가가 한 마음이 되는 해후의 소리ㅡ. 한 번만이라도 마음껏 불러 보고 싶은 사람아. 마음에 맺혀 지워지지 않는 그리움아. 고요로 흘러가거라. 그곳이 영원의 길목이다. 이 세상에서 깊고 아득한 소.. 2011. 5. 26.
1990년대를 대표한 두 작품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와 영화 <서편제> 1990년대를 대표한 두 작품 와 영화 우리 조상들의 정신세계를 더듬어보려는 시도가 1990년대에 봇물처럼 유행한 적이 있다. 그때 과 같은 책이 있었는데 이 둘을 읽지 않으면 팔불출 취급을 당했다. 이은성의 은 역사적인 인물인 허준의 배경과 사실을 왜곡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는데 나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유의태가 실존인물이 아님을 나중에 알고 쓴 웃음을 지었다. 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이씨 조선 말기에는 공자 사상의 핵심은 사라지고 몇몇 귀족들만 위한 유교 관료 체제만 남았다. 공자는 인간의 내면적 독립성과 윤리를 가르쳤지만 노론이라는 정당이 좌지우지한 조선 말기의 유교는 백성을 착취하는 쓰레기 관료주의 강령이었다. 정약용의 를 읽으면 처량한 마음이 들 수밖에 없다. 는 관료, 즉 벼슬아치가 치해야 할 행.. 2011. 5. 14.
사회운동가. 우국지사. 민족정기구현회 회장 권중희 사회운동가. 우국지사. 민족정기구현회 회장 권중희(權重熙 : 1936 ~ 2007) 사회운동가. 우국지사. 민족정기구현회 회장. 1936년 경북 안동에서 출생. 백범 김구의 암살사건 배후를 약 50년간 쉬지않고 끊임없이 추적한 집념의 인생을 살았다. 백범 김구의 &lt;백범일지&gt;를 읽은 뒤 김구 암살 사건의 범인으.. 2011. 5. 13.
미국의 양심 존 산도스 바에즈 미국의 양심 존 산도스 바에즈 존 산도스 바에즈(Joan Chandos Baez, 1941년 1월 9일 ~ )는 미국의 가수이며 인권운동가이며 반전평화운동가이다. 존 바에즈는 1941년 1월 9일 미국 뉴욕의 스태이튼 아일랜드(Staten Island)에서 멕시코 출신의 알베르트 비니치오 바에즈(Albert Vinicio Baez)와 스코틀랜드 출신의 존 브.. 2011. 4. 30.
디오게네스는 왜 '개 같은 생활'을 했을까? 디오게네스는 왜 '개 같은 생활'을 했을까? 견유학파(犬儒學派)란 무엇일까? 견유학파는 그리스 철학의 한 유파로 그 명칭은 창시자 안티테네스의 학교 소재지인 아테네의 Kynosarges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데 그 학파의 '개와 같은 생활' 때문이라고 이야기되기도 한다. 퀴닉스 학파라고도 한다. 행복은 유덕한 생활에 있으며 유덕한 생활이란 외적 조건에 좌우되지 않는 생활이며, 이것은 강인한 의지로 욕망을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 학파의 가르침이다. 그들은 지극히 간소한 생활과 자연에 가까운 생활을 창도하여, 문명사회의 관습 및 제도를 무시하고, 걸식 생활을 실행하기도 했다. 전설적으로 유명한 시노페의 디오게네스는 그 대표적 예라 할 수 있겠다. 이 학파는 후에 스토아학파에 영향을.. 2011. 4. 23.
중국 현대 소설가 바진 중국 현대 소설가 바진(巴金.바진.1904.11.25∼2005.10.17) 중국 현대 소설가. 본명 이비감(李芾甘.리페이간).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출생. 성도 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파리에 유학하였다. 허무적인 경향이 강하여 바쿠닌(巴枯寧)과 크로포토킨(克魯泡特金)에게 경도되고, 필명 파금(巴金)은 두 사람의 .. 2011.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