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 견우직녀설화는 예로부터 동양권에서 무수히 많은 문인들의 시문의 주제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이 고려 때 이인로(李仁老)의 , 이제현(李齊賢)의 , 이곡(李穀)의 , 조선시대 정철(鄭澈)의 ,김정희의 , 여류시인들의 것으로 이옥봉(李玉峯)의 , 삼의당(三宜堂)의 , 운초(雲楚)의 , 정일헌(貞一軒)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을 비롯한 여러 고전소설, 과 같은 가사, 또는 시조ㆍ민요들에도 견우직녀설화가 주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설화는 칠월칠석의 민속과 함께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 정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이야기로 평가된다. ‘견우와 직녀’는 유독 중국과 한국에 널리 퍼져 있는 설화이다. 유목국가인 몽골, 유라시아 실크로드 통로인 중앙아시아 여러 나..
2012.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