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316

중국 소설가 모옌 중국 소설가 모옌(莫言.1955∼ ) 중국 소설가. 본명은 꽌모예(管謨業). 산둥성 가오미현의 농가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출생. 소학교 시절에 '문화혁명운동'이 시작되면서 소학교를 중퇴, 수년간의 농촌 생활 후에 1973년 면유 가공 공장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다가 1976년 입대했다. 해방군예술학원 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북경사범대학, 노신문학원 창작연구생반을 졸업, 문예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장이모 감독에게 베를린 영화제 대상을 안겨준 영화 의 원작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졌지만 중국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문제작가로 떠올라 현재는 최고의 작가로 대접받고 있다 1981년 격월간 「롄츠(蓮池)」에 처녀 단편 를 발표하면서 등단 이후 등 유년기의 고향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발표하면서 획기적인 주목을 받.. 2012. 10. 12.
수미산(須彌山)을 아시나요? 수미산(須彌山)을 아시나요? 수미산(須彌山)은 불교의 세계관에 나오는 상상의 산이다. 세상은 아홉 산과 여덟 바다가 겹쳐져 있는데 가장 높은 산이 바로 수미산이다. 세계의 중앙에 있는 이 거대한 산의 중턱에는 사천왕이 있고 그 꼭대기에는 제석천(帝釋天)이 사는 곳이라고 한다. 수미산은 4보(寶), 즉 황금·백은(白銀)·유리(瑠璃)·파리(璃)로 이루어졌고, 해와 달은 수미산의 허리를 돈다고 한다. 한편 여덟 바다 중 가장 바깥쪽 바다의 사방에 섬(四洲)이 있는데, 그 중 남쪽에 있는 섬, 즉 남염부제(南閻浮提)에 인간이 살고 있다는 상상의 산이다. 그런데 이 수미산이 실제로 존재한다. 중국의 티베트 자치구역에 사는 사람들은 카일라스 산을 수미산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티베트의 가장 서쪽 지역에 있는 카일라.. 2012. 9. 27.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악질군주는 누구일까?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악질군주는 누구일까?   지금으로부터 50년 정도 지난 후 우리 후손들은 한국의 반만년 역사상 으뜸가는 폭군 악질군주로 누구를 꼽을까요? 답은 아래에 있습니다.                                                  ∇                                                  ∇                                                   ∇                                                   ∇                                                   ∇                                      .. 2012. 9. 25.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 견우직녀설화는 예로부터 동양권에서 무수히 많은 문인들의 시문의 주제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이 고려 때 이인로(李仁老)의 , 이제현(李齊賢)의 , 이곡(李穀)의 , 조선시대 정철(鄭澈)의 ,김정희의 , 여류시인들의 것으로 이옥봉(李玉峯)의 , 삼의당(三宜堂)의 , 운초(雲楚)의 , 정일헌(貞一軒)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을 비롯한 여러 고전소설, 과 같은 가사, 또는 시조ㆍ민요들에도 견우직녀설화가 주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설화는 칠월칠석의 민속과 함께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민족 정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이야기로 평가된다. ‘견우와 직녀’는 유독 중국과 한국에 널리 퍼져 있는 설화이다. 유목국가인 몽골, 유라시아 실크로드 통로인 중앙아시아 여러 나.. 2012. 8. 26.
대금황제(大金皇帝)를 꿈꾸었던 조선 무장 이징옥 대금황제(大金皇帝)를 꿈꾸었던 조선 무장 이징옥(李澄玉 : 미상∼1453년(단종 1)) 조선 초기의 무장. 본관은 양산(양산), 지중추원사 이전생(李全生)의 아들이며, 이징석(李澄石)의 아우이다. 어려서부터 무용이 뛰어나, 어머니를 위하여 멧돼지를 산 채로 끌고 오고, 호랑이를 호령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갑사(甲士)로서 중앙에서 벼슬을 하다가, 1416년(태종 16) 부사직으로 별시에 응하여 무과친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복소윤(司僕少尹)으로 임명되었다. 1423년(세종 5) 황상의 천거로 경원첨절제사로 발탁되어 아산(阿山)에 침입한 야인을 격퇴하고, 1425년 절제사로 승진하였다. 이때부터 1430년까지 여진이 침구(侵寇)할 때마다 변방의 방비에 큰 공을 세우자, 세종이 9년 만에 고향에 내려가 부모를.. 2012. 8. 25.
아프리카의 기아를 해결한 옥수수 박사 김순권(1945 ~ ) 아프리카의 기아를 해결한 옥수수 박사 김순권(1945 ~ ) 김순권(金順權: 1945 ~ )농학자. 경남 울산시 출생. 대한민국의 농학자로 옥수수 관련 연구로 유명하다. 노벨상 후보로 여러번 추천되었으나 끝내 수상하진 못했다. 그러나 농업 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국제농업연구대상(벨기에 국왕상)을 비롯하여 각종 유수의 상을 수상했다. 그는 1976년 아시아 최초로 생산량이 세 배나 되는 하이브리드 옥수수를 개발했다. 이후 나이지리아에서 아프리카 적응 하이브리드 옥수수 개발, 위축바이러스 저항성 품종 개발, 스트라이가(Striga) 공생저항성 품종 개발 등 아프리카 대륙의 식량난 해결에 기여하면서, 1992년 이래 국내외 많은 사람들에 의해 노벨상 후보로 추천되고 있다. 그는 “옥수수 한 알에서 세계 평화.. 2012. 8. 18.
한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외국인은 어느 나라 출신일까? 한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외국인은 어느 나라 출신일까? 장면1) 휴일 어느 날, 아파트 상가에 있는 슈퍼마켓에서 목격한 일이다. 서너 살 가량의 어린 아이가 바닥에서 뒹굴며 떼를 쓰며 큰 소리로 울고 있었다. 매장내의 모든 시선이 아이에게 집중되었는데 의외로 아이 엄마는 무덤덤하게 지켜만 보고 있었다. 5분 이상 계속대자 아이 엄마는 아이를 달래기는커녕 어눌한 발음으로 맞고함을 질러댔다. “음마가 거러지 마라 그래찌! 안 일어나? 거르지 마라 그래찌!”꽉 끼는 청바지를 입은 20대 초반인 작은 체구의 여자는 태국인이었다. 아이를 달래서 울음을 그치게 하거나 밖으로 데리고 나가서 야단을 쳤어야 했다. 주위에 피해를 줘서는 안 되는 우리 정서와 맞지 않은 행동이 많은 사람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장면2) 여.. 2012. 8. 14.
교육자. 철학자. 종교사상가 유영모(1890∼1981) 교육자. 철학자. 종교사상가 유영모(1890∼1981)       유영모(柳永模, 1890~1981) : 개신교 사상가·철학자·교육자·종교인. 호는 다석(多夕). 다석(多夕)은 하루에 한 끼 저녁만 먹는다는 뜻이다. 서울에서 유명근(柳明根)의 아들로 태어나 한학을 수학하다가 1900년 수하동(水下洞) 소학교에 다니고, 다시 한학에 몰두하였다. 1905년 기독교에 입교하고, 경성일어학당(京城日語學堂)을 거쳐 1907년 경신학교 과정을 마친 뒤 1909년 경기도 양평학교(楊平學校) 교사가 되었다. 이듬해부터 2년간 평안북도 정주(定州)의 오산학교(五山學校) 교사로 2년간 재직하는 동안 교주 이승훈(李昇薰)을 기독교에 입교하게 하고, 톨스토이 연구에 정진하여 시종 무교회주의적 입장을 취하였다. 1912년 일본.. 2012. 8. 4.
국어학자ㆍ국어운동가ㆍ교육자 최현배 국어학자ㆍ국어운동가ㆍ교육자 최현배(崔鉉培.1894.10.19∼1970.3.23) 국어학자ㆍ국어운동가ㆍ교육자. 호는 외솔. 경상남도 울산출신. 서당에서 한문을 배운 뒤 고향의 일신학교에서 신식 교육을 받고 1910년 상경하여 한성고등학교(뒤에 경성고등보통학교로 개칭됨.)에 입학하여 1915년 졸업하였다. 그 해 일본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 문과에 입학하여 1919년 졸업하고, 1922년 4월에 일본 경도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에 입학, 교육학을 전공하여 이라는 논문으로 1925년 졸업, 계속하여 그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4월 연희전문학교(지금의 연세대학교) 교수로 취임하여 1938년 9월 흥업구락부사건으로 파면당할 때까지 재직하였다. 1941년 5월 연희전문학교에 도서관 직원으로 복직하였으나, 그해.. 2012. 7. 21.
미국 소설가 오 헨리 미국 소설가 오 헨리(O Henry.1862.9.11∼1910.6.5) 미국의 소설가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그린즈버러 출생이며, 본명은 William Sydney Porter이다. 보통 사람들, 특히 뉴욕 시민들의 생활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그의 단편 소설들은 우연의 일치가 작중인물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하고 냉소적인 유머를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갑작스런 결말로 인해 극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그의 등록상표가 되다시피 했으나 그런 수법의 유행이 한물가자 평론가들은 바로 그런 수법 때문에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지 않게 되었다. 그는 숙모가 교사로 있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졸업 후에는 숙부의 잡화상에서 점원으로 일했다. 1882년 텍사스로 가서 농장, 국유지 관리국을 거쳐 오스틴.. 2012. 7. 17.
시인, 독립투사 이육사(李陸史.1904.4.4∼1944.1.16) 시인, 독립투사 이육사(李陸史.1904.4.4∼1944.1.16) 시인. 독립투사.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도산면(陶山面) 원촌리(遠村里) 출생. 본명 원록(源祿), 또는 원삼(源三). 후에 활(活)로 개명. 이육사는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이황(李滉)의 14세손으로, 조부(祖父)인 이중식(李中植)에게서 한학(漢.. 2012. 6. 30.
좌파와 우파의 분류기준은 무엇일까? 좌파와 우파의 분류기준은 무엇일까? 좌와 우, 이념이란 무엇일까요? 평소에 알고 지내던 친한 분이 제게 어느 쪽인지 밝히라고 요구했습니다. 제가 부산 사람이니 새00당 지지자일거라는 말을 한 분도 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평소 저는 블로그를 통해 정치적인 견해를 잘 표현하지 않기에 많은 분들은 그 점이 궁금했겠지요. 제주 강정마을 문제도 그렇습니다. 공사를 지지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진영이 있는데, 누군가 제 생각을 물었습니다. 강정마을에 해군기지를 만들겠다는 논리는 해군력이 약한 우리나라가 북한, 중국, 일본의 침략에 대비해 전략적 요충지인 제주에 군사기지를 만들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고, 한 번 파괴하면 회복이 불능한 청정지역에 굳이 해군기지를 만들어야 하느냐 하는 반론 모두 일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201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