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현대소설471 헤르만 헤세 장편소설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 헤르만 헤세 장편소설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 독일 소설가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1962)의 미래의 공상사회를 그린 장편소설로 1943년 발표되었다. 이 소설은 루디 요제프 크네히트의 생애를 기술하면서 학문과 예술, 사유와 감정을 '유리알 유희'라는 상징으로 통합해보려고 시도했다. 선택된 정신의 소유자들은 미래의 세계에서라도 정신과 삶 사이의 모든 긴장을 극복해보려고 하지만, 이 세상의 삶의 요구를 정당화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크네히트는 세상을 하직한다는 내용으로, 정신과 충동의 이원론을 형상화해보려는 헤세 작품세계의 총결산으로 평가된다. 이 소설은 헤세가 1931∼42년에 쓴 작품으로 1943년 스위스에서 간행되었다. 1946년의 [노벨문학상] .. 2011. 6. 9. 프랑수아즈 사강 중편소설 『슬픔이여 안녕』 프랑수아즈 사강 중편소설『슬픔이여 안녕(Bonjour Tristesse)』 프랑스 소설가 프랑수아즈 사강(Francoise Sagan.1935∼2004)의 장편소설로 1954년 간행되었다. 그녀가 만 18세 때 쓴 처녀 장편소설이다. 1954년 [문학비평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사강은 바칼로레아에 합격하고 1년여를 소르본느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하는데 보내지만, 교양과목 이수에 실패, 중퇴한다. 그 후 바캉스로 텅 빈 파리의 한 구석진 아파트에 틀어박혀 그 전부터 구상하고 있던 을 3주 만에 완성, 발표하는데, 이것이 그녀를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로 만든다. 간결하고도 뉘앙스가 있는 짧은 문장, 섬세한 심리 묘사가 이 작품의 매력이다. 이 작품으로 문학 비평 대상을 획득하였고 전 세계적인 신화를 탄생시켰다.. 2011. 6. 7. 도스토옙스키 장편소설 『죄와 벌(Преступление и наказание)』 도스토옙스키 장편소설『죄와 벌(Crime and Punishment)』 러시아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Dostoevski Fedor Mikhailovich.1821∼1881)의 장편소설로 1866년 잡지 [러시아 통보(通報)]에 발표되었다. 세계 문학 걸작의 하나로 한국에서도 널리 애독되는 작품이다. 근대 도시의 양상을 배경으로, 작중의 하급 관리 마르멜라도프의 말대로 ‘아무데도 갈 데가 없는’ 사람들로 가득 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뒷거리가 무대이다. 가난한 학생 라스콜리니코프는 병적인 사색 속에서, 나폴레옹적인 선택된 강자는 인류를 위하여 사회의 도덕률을 딛고 넘어설 권리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이(蝨)와 같은 고리대금업자 노파를 죽여 버림으로써 이 사상을 실천에 옮긴다. 그런데 이 행위는 뜻밖’에.. 2011. 5. 31. 도스토옙스키 장편소설 『백치(白痴, Идиот)』 도스토옙스키 장편소설 『백치(白痴, Идиот)』 러시아 문호 도스토옙스키(Dostoevski Fedor Mikhailovich.1821∼1881)의 장편소설로 1867년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쓰기 시작하여, 1868년 [러시아 보도(報道)]지에 연재되었다. 작가는 주인공인 미슈킨 공작을 그리스도와 같은 뜻의 '참으로 아름다운 사람'으로서 구성하였다. 도스토옙스키는 친구 마이코프와 조카 소피야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소설의 주된 의도는 ‘진실로 아름다운 인간’을 묘사하는 데 있다고 썼다. 그에게 완전히 아름다운 존재는 오직 한 사람, 그리스도뿐이었다. 지고의 도덕과 선한 의지, 바로 그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할 수 있는 힘이라 여긴 것이다. 그가 『백치』의 초안에서 주인공 미슈킨에게 붙여준 이름은 ‘그리스도.. 2011. 5. 27. 괴테 장편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괴테 장편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독일 문호 괴테(Goethe,Johann Wolfgang von.1749∼1832)의 서한체 소설로 1774년 간행되었다. 친구인 케슈트너의 약혼녀 샤를 로테 부프에 대한 괴테 자신의 실연(失戀) 체험과, 괴테와 라이프치히대학에서 함께 공부하던 예루살렘이 유부녀에게 실연 당해 자살한 사건(1772. 10. 30)을 소재로 쓴 작품이다. 당시에 새로운 장르였던 소설에서 시대와의 단절로 고민하는 청년의 모습을 묘사함으로써 문학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으며, 이에 공감한 젊은 세대의 자살이 유행하였다. 나폴레옹도 이 작품의 애독자로서 진중에서도 휴대하면서 되풀이해 읽었다고 한다. 베르테르는 젊은 변호사로서 상속사건.. 2011. 5. 18. 빅토르 위고 장편소설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 빅토르 위고 장편소설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 프랑스 대문호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 1802~1885)의 장편소설로 1862년 간행되었다. 1845년부터 1862년에 걸쳐 완성된 이 작품은 총 5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위고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인도주의적 세계관으로 일관된 파란만장한 서사시적 작품으로서 낭만주의 문학의 대표작이다. 원 이름은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이는 그러한 사람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사회의 부조리, 비합리성에 대한 작가의 고발을 전하고 있다.『레 미제라블』은 배고픈 조카들을 위해 빵 한 덩이를 훔친 죄로 무려 19년간 감옥살이를 한 장 발장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다시 세상으로 나온 장 발장은 은 식기를 훔치려다 미리엘 주교로부터 .. 2011. 5. 13. 디킨스 장편소설 『데이빗 코퍼필드(David Cofferfield)』 디킨스 장편소설 『데이빗 코퍼필드(David Cofferfield)』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Charles John Huffam Dickens.1812∼1870)의 자전적 장편소설로 1849∼1850년 발표되었다. 19세기 중엽, 디킨스 시대의 영국은 심각한 경제 불황으로 인한 실업률 증가와 농촌의 피폐로 도시 인구의 급증, 인구의 기하급수적 증가, 10세 미만의 많은 어린이들이 힘든 노동 현장에서 착취당하는 등 전체적으로 암담한 시대였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의 추억과 고난이 새겨져 있어서 주인공 데이비드는 작자의 분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유복자로 태어난 데이비드는 어머니의 재혼으로 인해 불행하게 되며, 갖가지 고통을 참고 견뎌내며 소설가로서 대성하는 과정을 그렸다. 두 여인 도라와 아.. 2011. 5. 11. 마크 트웨인 장편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 마크 트웨인 장편소설『허클베리 핀의 모험(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Mark Twain.1835∼1910)의 장편소설로 1884년 출판되었다. 형식상으로는 (1876)의 속편으로 되어 있지만, 내용면에서는 그것보다 훨씬 우수하다. 미국 서부의 자유인으로서의 의식을 가진 허크라는 인물의 창조, 성인들의 사회적 인습과 위선에 대한 통렬한 풍자, 웅대한 자연을 배경으로 구가하는 자유에의 찬가, 또한 방언(方言)의 구사와 문체의 예술성 등에 의하여 미국문학의 굴지의 걸작으로 평가되며, 헤밍웨이, 샐린저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트웨인은 미국 미주리 주의 가난한 개척민의 아들로 태어나 12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인쇄소의 견습공.. 2011. 5. 6. 바진 장편소설 『차가운 밤(寒夜)』 바진 장편소설 『차가운 밤(寒夜)』 중국 소설가 바진(巴金. 1904∼2005)의 장편소설로 1945년 발표되었다. 바진은 루쉰, 라오서와 함께 중국 3대 문호로 꼽히는데 본명은 이비감(李芾甘.리페이간)으로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 출생이다. 성도 외국어학교를 졸업한 그는 신문물을 배우기 위해 파리에 유학하였다. 허무적인 경향이 강하여 바쿠닌과 크로포토킨에게 경도되고, 필명 파금(巴金)은 두 사람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소설월보]에 처녀작 (1929)을 발표하여 일약 유명해졌다. 귀국 후 1931년 최초의 단편집 를 내고, 1934년 북경에서 심종문(沈從文) 등과 [수성(水星)]을 주재하였다. 이어서 상하이의 문화생활사에서 [문학총간(文學叢刊)]을 간행하고 1936년 [문학월간]을 창설하였다. 그 .. 2011. 4. 15.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나사의 회전(The Turn of the Screw)』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나사의 회전(The Turn of the Screw)』 미국 소설가 헨리 제임스(Henry James. 1843 ~ 1916)의 장편소설로 1898년에 발표되었다. 원제는 인데 국내에서는 , 또는 괴기스런 분위기 때문에 등으로 표제가 번역되었다. 유령을 다룬 대표적인 소설 작품으로, 영국의 어떤 전통 있는 집안에서 가정교사로 일하고 있는 젊은 여교사가 그 집에 젊은 남녀의 유령이 나타난다고 확신하고 어린 제자를 유령으로부터 보호하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소설이 이목을 끄는 이유는 단순한 유령 이야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유령 이야기를 하는 방식에 놓여 있다. 원작에서는 그 가정교사가 쓴 글을 옛 제자가 읽는 형태로 진행된다. 문제는 그 글을 쓴 가정교사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 2011. 4. 13. 서머싯 몸 장편소설 『달과 6펜스(The Moon and Sixpence)』 서머싯 몸 장편소설 『달과 6펜스(The Moon and Sixpence)』 영국 소설가 서머싯 몸(William Somerset Maugham.1874∼1965)이 1919년 발표한 소설로 제목에서 말하는 달은 고상한 것, 인간의 이상 같은 것을 말하고, 6펜스는 세속적인 일들을 상징한다. 6펜스는 가장 적은 영국 돈이다. 이 소설은 프랑스 화가 고갱(1848∼1902)을 모델로 한 작품이다. 고갱은 프랑스의 후기 인상파의 한 사람으로서 세속과 사교를 피하여 원시적인 생활을 하며 주변의 풍경과 원주민을 많이 그린 화가이다. 이 작품에서는 스트릭랜드가 고갱에 해당한다. 이 소설에는 예술가의 고민이 담겨 있다. 그 고민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세속적인 사람들의 비웃음과 동정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 2011. 4. 1. 에드워드 모건 포스터 장편소설 『인도로 가는 길(A passage to India)』 에드워드 모건 포스터 장편소설 『인도로 가는 길(A passage to India)』 영국 작가 에드워드 모건 포스터(Edward Morgan Forster.1879∼1970)의 소설로 1924년 간행되었다. 포스터의 마지막 장편소설이자 대표작인 『인도로 가는 길』은 1984년 데이비드 린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지 선정 '현대 100대 영어소설', 모던 라이브러리 선정 20세기 영문 소설 100선에 선정되는 등 영국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인 인도는 3세기 반 동안 영국의 식민지였다. 다양한 인종과 언어, 카스트 제도로 인해 사회ㆍ경제ㆍ정치면에서 후진을 면치 못하고 있으나, 불교의 탄생지로 인류 4대 문명의 근원지 중의 하나다... 2011. 3. 30.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