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318

John Lovett의 그림 John Lovett의 그림 2010. 11. 6.
경교(景敎)는 과연 신라에 전래되었을까? 경교(景敎)는 과연 신라에 전래되었을까? 경교? 네스토리우스파(교)의 중국 명칭 경교는 그리스도교 종파의 하나인 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붙여진 이름이다.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선고된 콘스탄티노플의 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주창한 그리스도교 일파의 중국 명칭이다. 경교가 중국에 전해진 것은 635년(정관 9)이었다. 대진경교(大秦景敎)라고도 한다. 431년에 추방된 네스토리우스 일파는 시리아를 거쳐 이란 지방에 정착하였다. 그 뒤 페르시아 사산 왕조 때 조로아스터교의 핍박을 받았으나 국왕의 비호를 받아 존속하면서 교세를 넓혔다. 중국에는 635년(태종 9)에 대진국(大秦國:로마, 페르시아) 사람 아라본(阿羅本) 일행이 당나라 수도 장안에 도착하여 선교한 데서 비롯된다.. 2010. 9. 27.
극사실주의 화가 Raphaella Spence의 그림 극사실주의 화가 Raphaella Spence의 그림 ※ 아래의 자료들은 전부 그림(유화)입니다 "Family" 2005 oil on canvas 31 x 24 "Forgotten" 2005 oil on canvas 16 x 24 Cefalu 2006 oil on canvas, 60 x 36 THE SECRET 2002 oil on canvas 39 x 27 inches private collection CONVERSATION 2005 oil on canvas 40 x 30 inches private collection DIFFERENT WORLD 2004 oil on canvas 49 x 29 inches private collection FRIENDS 2004 oil on canvas 29 x 12 .. 2010. 9. 7.
前면접관이 조언하는 면접요령 前면접관이 조언하는 면접요령 “그나이 먹도록 뭐했나” 막말하는 모욕 면접 [이브닝신문/OSEN=김미경 기자] "공부 엄청 못했나봐." "그나이 먹도록 뭐했나." "외모 때문에 고생 좀 하죠?" 지난 2월 대학을 졸업한 이모(여·25세)씨는 취업면접에서 '외모차별이 이런 것이구나'하는 씁쓸한 경험을 했다. 얼마 전 한 중견업체 경영지원팀에 원서를 낸 이씨는 1차 면접에서 면접관들에게 '학생티가 너무 많이 난다' '그런 외모는 사회생활에 플러스가 안된다' '외모 때문에 사회생활이 힘들 것 같다'는 황당한 말들을 듣고 눈물을 삼켜야 했다. 이씨는 "자신이 마치 '루저' 같았다"며 "결국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씨처럼 일자리 얻으러 갔다가 가슴에 비수를 맞고 돌아오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 2010. 9. 6.
최초 천주교 신부 김대건(金大建) 최초 천주교 신부 김대건(金大建)(1821.8.21∼1846.9.16) 최초의 천주교 신부. 천주교 103위 성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본관은 김해. 초명은 재복(再福), 보명(譜名)은 지식(芝植). 당진 출신. 아버지는 제준(濟俊)이다. 증조부 진후(震厚)가 10년 동안의 옥고 끝에 순교하자, 할아버지 택현(澤鉉)이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로 이사함에 따라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아버지도 독실한 천주교신자였으며, 1839년 기해박해 때 서울 서소문 밖에서 순교했다. 1831년 조선교구 설정 후 신부 모방(Maubant)에 의해 신학생으로 발탁, 최방제(崔方濟)ㆍ최양업(崔良業)과 함께 15세 때 마카오에 있는 파리외방전교회 동양경리부(巴里外邦傳敎會東洋經理部)로 가게 되었다. 그곳 책임자인 신부 리부아(.. 2010. 9. 4.
베트남 새댁의 비극 베트남 새댁의 비극 지난주 부산에서 발생한 베트남 신부의 정신병자 남편에 의한 살해사건은 연일 베트남 전역에 중계 방송되고 있다고 한다. 19일 대통령은 최근 부산에서 일어난 베트남 신부 탓티황옥씨 피살 사건을 거론, "베트남 부모를 직접 만나 위로하고 싶었는데 이미 출국해서 그러지 못해 참 안타깝다"며 "주베트남 대사로 하여금 대통령 이름으로 가족을 방문하고 조의를 전하도록 하겠다. 유족들과 베트남 국민들에게 조금이라도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정운찬 국무총리는 베트남 신부가 한국인 남편에게 살해된 사건과 관련, " '국격'이란 말을 거론하기에도 부끄럽다. 국격 이전에 인간관계의 기본을 훼손하는 중대한 문제"라고 밝히는 등 우리 사회를 뒤흔들어 놓은 사건이다. 몇 년 전에도 베트남 신부.. 2010. 7. 20.
중국의 여류소설가 장아이링 중국의 여류소설가 장아이링(1920~ 1995) 중국 여류 소설가 장아이링(張愛玲(张爱玲), Zhāng Ailíng, 1920~1995) : 상하이 장잉(张瑛)에서 출생함. 홍콩대학교 및세인트존스대학교 중퇴. 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섬세한 붓터치로 그려내는 그녀의 소설은 1970-1980년대에 걸쳐 대만과 전세계 화교권에서 최고의 사랑을 받았다. 영화화 된 작품으로는 (리안), (허안화), (단한장), (관금붕), 후효현의 등이 있다. 장아이링 작품은 대부분 사랑 앞에서 약점을 드러내고야 마는 여성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1995년 자신이 살던 미국 집에서 죽은 지 며칠이 지나서야 사체로 발견되었고, 전세계 화교들은 그녀의 죽음을 애통해 했다.    소설가이자 산문가, 영화작가. 1920년 중국 상하이.. 2010. 7. 13.
오기(吳起)와 대북 확성기 오기(吳起)와 대북 확성기 사마천이 쓴 중국 역사서인 '사기'를 보면 오기(吳起.BC 440∼BC 381)라는 인물이 나온다. 그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병법가ㆍ정치가인데 위(衛)나라 사람이며 공자의 제자인 증자(曾子) 밑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그는 학문이 적성에 맞지 않음을 깨닫고 직업군인으로 출세를 도모하게 되는데 장교가 되어 병졸들과 동거동락하고 종기를 입으로 빨아주는 등 지휘관으로서 인기를 끌었다. 이처럼 군대를 이끄는 데 재능을 보인 결과, 장군이 되어 노(魯)나라, 위(魏)나라, 초(楚)나라를 섬겼다. 당시 전국 7웅(七雄) 가운데 가장 먼저 발전한 나라는 위(魏)였다. 위의 문후(文侯)는 이회(李)와 서문표(西文豹)를 등용하여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는 한편, 오기(吳起)ㆍ악양(樂羊) 등의 장군을.. 2010. 6. 17.
앤드류 와이에스Andrew Wyeth(1917-2009)의 그림 앤드류 와이에스 Andrew Wyeth(1917-2009)의 그림 2010. 6. 3.
르노와르(Renoir)의 그림 Pierre Auguste Renoir French Impressionist painter & sculptor born 1841 - died 1919 Young Girl Holding at Bouquet of Tulips Pierre Auguste Renoir - circa 1878 Private collection Painting - oil on canvas A Bouquet of Roses Pierre Auguste Renoir - 1879 Sterling and Francine Clark Art Institute (United States) Painting - oil on canvas Algerian Woman Pierre Auguste Renoir - 1883 Private collection .. 2010. 5. 26.
조선 문신 박문수 조선 문신 박문수(朴文秀.1691.숙종 17∼1756.영조 32)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한 박문수 초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 이조판서 장원(長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마(洗馬) 선(銑)이고, 아버지는 영은군(靈恩君) 항한(恒漢)이며, 어머니는 공조참판 이세.. 2010. 4. 10.
조지 오웰과 장편소설『 1984년』의 배경 사건들 조지 오웰과 장편소설『 1984년』의 배경 사건들 조지 오웰(1903~1950)의 본명은 에릭 블레어이다. 에릭 블레어는 1903년6월 25일에 당시 영국령이던 인도의 벵갈에서 태어났다. 에릭의 아버지인 리처드 블레어(Richard Walmesley Blair)는 식민국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었고, 어머니 이다 블레어(Ida Mabel Blair)는 에릭이 두 살이 되던 해 그와 함께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가 이튼스쿨(고등학교)을 졸업할 무렵에는 167명중 138등을 할 만큼 성적이 신통치 못했다. 이 성적으로는 옥스퍼드에 갈 수가 없었기 때문에 그는 식민지 관료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오웰은 어린 시절 계급차별을 느낀 경험이 있었으며 이튼에서는 그것을 더욱 체계적으로 인식했다. 이튼의 생활에 분개했음에.. 2010.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