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록예찬(新綠禮讚) / 이양하
신록예찬(新綠禮讚) 이양하(1903 ~ 1963)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四時)를 두고 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 그 중에도 그 혜택을 가장 아름답게 나타내는 것은 봄, 봄 가운데도 만산(萬山)에 녹엽(綠葉)이 싹트는 이 때일 것이다.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고 먼 산을 바라보라. 어린애의 웃음같이 깨끗하고 명랑한 5월의 하늘, 나날이 푸르러 가는 이 산 저 산, 나날이 새로운 경이(警異)를 가져오는 이 언덕 저 언덕, 그리고 하늘을 달리고 녹음을 스쳐 오는 맑고 향기로운 바람―우리가 비록 빈한하여 가진 것이 없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때 모든 것을 가진 듯하고, 우리의 마음이 비록 가난하여..
2011. 4. 12.
베다교(브라만교,바라문교, 婆羅門敎, Brahmanism)
베다교(브라만교,바라문교, 婆羅門敎, Brahmanism) 베다교는 기원전 1,500년경 코카사스 북쪽에 거주해 있던 인도-아리아인들(줄여 아리아인들이라 함.)이 인더스강 유역의 펀잡지방으로 대이동 정착하여 성전을 집대성하면서 형성된 종교다. 고대 인도에서 브라만 계급을 위주로 《베다》를 근거로 하여 생성된 종교로 한자어로 바라문(婆羅門)이며 특정 교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힌두교 및 기타 인도 종교의 바탕이 된 종교로서 베다시기에 만들어져 베다교 또는 베다브라만교라고도 불린다. 삼히타(Samhita), 브라마나(Brahmana), 아란야카(Aranyaka), 우파니샤드(Upanishad) 등 총 4개의 베다문헌에 수록된 진언(眞言)을 따르고 있으며 제물을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 의례가 특징적이..
2011.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