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143

<첨밀밀(甜蜜蜜)>, 그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던, 아프게 달콤했던 영화 , 그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던, 아프게 달콤했던 영화 영화 은 1997년 홍콩의 진가신 감독이 만든 멜로영화로 여명과 장만옥이 주연했다. 가요 은 1995년 세상을 떠난 등려군의 노래로 유명한데 인도네시아 민요에 중국 가사를 붙인 곡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 은 돈을 벌기 위해서 중국 대륙으로부터 홍콩에 이주한 남녀의 1986년부터 1995년까지 10년간의 애잔한 사랑을 그린 멜로물이다. 이 영화의 도처에 등장하는 등려군은 주인공 소군과 이요의 러브스토리 매개체와 구심점 역할을 하는 가수로서 그녀의 감미로운 노래 은 이 영화의 배경 색감으로 자리 잡는 감상 포인트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상해 토박이 여소군(여명)은 성공의 꿈을 안고 희망의 도시 홍콩에 도착한다. 어수룩한 촌놈이고 도시 물정에 어둡고 촌.. 2014. 2. 21.
내 모든 것을 다 주어도(All mine to give) 내 모든 것을 다 주어도(All mine to give) 해마다 겨울이 올 때 쯤이면, 오래 전 눈물을 흘리며 보았던 '눈이 많이 내리던 영화' 한 편이 생각난다. 사랑하는 부모를 전염병으로 잃고 동생들을 돌봐야 했던 십대 초반 주인공의 눈물겨운 이야기다. 고아가 된 6남매의 맏이 소년은 자신의 힘으로는 더 이상 동생들을 돌볼 수 없게 되자 동생들을 다른 집에 보내야만 한다. 그는 한사코 떨어지지 않으려는 동생들을 눈썰매를 태워 끌고 따뜻한 집이 있는 가정으로 한 명씩 떼어놓는다. 그리고 마지막 썰매를 함께 끌던 큰 동생과 이별한 후 눈길을 걸어 동생들을 받아 준 집들을 돌아본다.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창문 밖에서 따뜻한 난롯가에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아들고 행복해 하는 동생들의 모습을 확인한다. 그런 이.. 2013. 11. 19.
영화 <관상>과 계유정난(癸酉靖難)의 진실 영화 과 계유정난(癸酉靖難)의 진실 지난 일요일 영화 ‘관상’을 봤다. 역사왜곡이 많은 우리 사극영화에 대한 선입관이 있는지라 별 기대를 않고 보았지만, 보고 난 후에는 근래 보기 드문 좋은 영화라는 느낌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영화가 2010년 한국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 대상 수상작으로 상당히 탄탄한 이야기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이유일 것이다.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계유정난과 한 관상가의 개인사를 절묘하게 엮은 점이 좋았고 송강호. 김혜수의 연기는 물론 이정재의 살아있는 연기가 압권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적 진실이라는 측면에서 실존인물이 아닌 ‘관상쟁이’ 김내경이라는 존재만 빼면 역사의 팩드(fact)를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는 점도 그렇다. 이 영화에서 관객들에게 역사가 흥미롭게 .. 2013. 10. 1.
애로 예술 영화의 진면목을 보여준 영화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 애로 예술 영화의 진면목을 보여준 영화 1990년 발표된 이 영화는 제목이 으로 되어 있지만 외설 시비로 유명한 의 작가 헨리 밀러의 소설이 아니라 그의 정부(情婦)인 아나이스 닌의 작품인 을 토대로 하고 있다. 아나이스의 삭제되지 않은 일기를 바탕으로 필립 카우프만 감독이 아내와 함께 각본을 써 탄생시킨 이 작품은 ‘금지된 성’의 소설가인 헨리 밀러의 작품 못지않게 상당한 물의를 일으킨 끝에 미국 심의등급인 ‘X'등급을 개선시킨 영화로도 유명하다. 필립 카프만 감독은 `프라하의 봄'과 `떠오르는 태양'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영화는 아나이스의 일기에 대해 계속 언급하면서, 그녀가 작가인 헨리와 그의 아내인 준을 어떻게 알게 되었으며, 그들을 어떻게 사랑했고, 성적으로는 그들을 어떻게 갈망했으며, 그들과의.. 2013. 9. 10.
<설국열차> 왜 지루하게 느꼈을까? &lt;설국열차&gt; 왜 지루하게 느꼈을까? 기다리고 기다리던 영화 &lt;설국열차&gt;를 드디어 보았다. 개봉한 날 보았지만 생각이 뱅뱅 도는 바람에 펜을 들지 못하고 이제야 그 느낌을 몇 자 적어본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고 했는데 팽팽한 긴장 속에서 진행되던 전반과 달리 후반부 부.. 2013. 8. 20.
<오아시스> → <숨> → <도가니> &lt;오아시스&gt; → &lt;숨&gt; → &lt;도가니&gt; 우연히 보게된 이 영화는 2011년 전주국제영화제 출품작으로 장애인 여성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서 우리사회의 편견과 이해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카메라는 제도적 변화 속에서 반응하는 여주인공 수희의 일상과 감정들을 세세히 관찰한다. 비.. 2013. 7. 25.
요절한 영화감독 하길종과 영화<화분> 요절한 영화감독 하길종과 영화 1938년에 집필된 이효석의 소설 은 당시대에서는 파격적이게도 '동성애' 장면이 등장해서 충격을 주었다. 이 소설은 대중들의 심리 속에 잠들어 있다가 1972년 하길종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푸른 집'에 어느 날 파고든 남자가 집안의 모든 식구들과 관계를 맺고 탐욕과 질투로 한 가정을 파탄에 이르게 한다는 내용은 1930년대가 아닌 1970년대로서도 꽤나 충격적인 소재다. 그러나 원작 소설이 갖고 있는 알레고리의 도식에 경도된 듯한 난해한 이야기는 영화의 특징이자 한계일 수밖에 없다. 하명중과 남궁원이 벌거벗은 상체를 드러내고 침대에 누워 애무를 하는 장면은 가 나오기 전까지는 가장 화끈한(?) 동성간의 러브 씬으로 알려져 있다. 이효석의 1939년작 소설이 동성애를 다루고.. 2013. 7. 18.
은밀하게 위대하게 은밀하게 위대하게 오랜만에 영화를 보았다. 은밀하게 위대하게…….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뭐가 은밀하고 뭐가 위대한' 건지 좀처럼 감이 잡히지 않았다. 현재 인기영화로 흥행 1위라고 하는데 말이다. 다른 사람들은 이 영화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서 영화평을 찾아보았다. 아래.. 2013. 6. 18.
아버지, 불쌍한 아버지 <이대근, 이 댁은> 아버지, 불쌍한 아버지 &lt;이대근, 이 댁은&gt; 영화 &lt;이대근, 이 댁은&gt;은 도장가게를 하며 홀로 살아가는 이대근 노인의 이야기로 자식의 사업 실패와 큰아들의 외도에 따른 이혼 위기, 딸 내외의 교통사고 등의 에피소드 속에 개인주의가 만연된 현 사회를 풍자하는 영화다. 2007년 심.. 2013. 5. 21.
갑자기 앤서니 퀸이 생각났던 영화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Melancholy Whores)> 갑자기 앤서니 퀸이 생각났던 영화 의 작가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2004년 10월에 발표한 소설 을 2012년 멕시코. 스페인. 덴마크 3개국에서 공동으로 만든 영화로 한국에는 2012년 7월에 개봉되었다. 영화는 덴마크의 헤닝 칼슨이 감독을 맡았으며 멕시코의 에밀리오 에체바리아가 남자 주인공 엘 사비오역을, 미국의 제랄딘 채플린이 여주인공 포주 역을 맡았다. 원작자인 마르케스는 (1967)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거장 반열에 오른 소설가이자 정치운동가다. 전 세계 19개 언어로 발간된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은 2004년 출간 동시에 스페인과 중남미에서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또 90세 노인과 어린 소녀의 러브스토리를 그린 이 작품은 마르케스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것으로, 그는 현재 알.. 2013. 4. 25.
여러 버전의 영화 <폭풍의 언덕>,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여러 버전의 영화 ,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소설가 김연수가 ‘열병의 소설’이라고 표현한 에밀리 브론테의 소설 은 얽히고 설킨 인간관계 속에서 펼쳐지는 사랑과 복수와 파멸의 드라마다. 멜로드라마이면서 음산한 분위기와 광기 어린 캐릭터가 만난 고딕 소설이며, 히스클리프는 바이런의 작품에 나오는 이른바 ‘바이러닉 히어로’(Byronic Hero)로 우울하고 정열적이며 참회 속에서도 계속 죄를 짓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 캐릭터를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의 수많은 각색들은 그 톤이 결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847년 출간된 이후 세기가 두 번 바뀌는 동안 위대한 고전으로 추앙받고 있는 은 무성 영화 시절부터 이미 수십 차례에 걸쳐 영화와 TV를 통해 각색되었다.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2013. 3. 12.
웃기지 않았고 마음만 짠했던 영화 < 7번방의 선물> 웃기지 않았고 마음만 짠했던 영화 &lt; 7번방의 선물&gt; 남들은 코미디를 보며 웃는데 왜 나는 잘 웃지를 않을까? &lt;개그콘서트&gt;라는 코미디 프로를 볼 때마다 느끼는 점이다. 그래서 나는 스스로를 문제가 많은 사람이라고 항상 생각하고 있다. 혹시 우울증이 아니냐고? 그건 분명 아.. 2013.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