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철학서101 폭력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폭력사회(Traktat uber die Gewalt)』 폭력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폭력사회(Traktat uber die Gewalt)』 독일 사회학자 조프스키(Wolfgang Zofsky, 1952~)의 저서로 2010년 발간되었다. 인간론이자 문명사이며 동시에 문명비판서이다. 저자는 인간과 폭력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사회가 폭력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의 산물이라는 대담한 주장을 펼친다. 또한 폭력을 엔터테인먼트로 소비하는 이들을 예로 들며 인간이 안전한 상태에서 만끽하는 폭력의 쾌감을 해부한다. 아울러 물질 문명 혹은 문화의 발전과 고상한 이념을 추구하는 종교가 폭력을 쇠퇴시키기보다는 폭력을 더 확장시키고, 더욱 잔혹하게 만든 원동력이었음을 밝힌다. 저자는 1993년에 『테러의 질서: 유대인 수용소』라는 책으로 지적 독립성을 바탕으로 현대 .. 2010. 4. 23. 찰스 길리스피 『객관성의 칼날』 찰스 길리스피 『객관성의 칼날』 미국 과학역사학자 ☞칼리 길리스피(Charles Coulston Gillispie, 1918~2015)의 과학사상 및 역사에 관한 에세이로 2005년 출간되었다. 우리는 흔히 자신의 견해가 타당한 것으로 포장할 때 '객관적으로 볼 때...'라는 식의 표현을 하면서 이야기의 서두를 꺼낸다. '객관성'이란 무엇일까? 기호와 수식으로 차있는 텍스트와 실험실에서 몸으로 때우는 작업에 익숙해 있는 과학도나 공학도가 문자 중심의 인문학에 접근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들이 그나마 인문학 쪽으로 왕래할 수 있도록 교량 역할을 하는 것은 역사라는 인문학적 틀을 빌려 과학기술을 바라보려는 과학기술사다. '과학사상의 역사에 관한 에세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서양과학의 전개 과정을.. 2010. 2. 8. 이덕일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이덕일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역사학자·작가·언론인 이덕일(李德一, 1961~ )이 쓴 역사평론서로 2009년 출간되었다.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고조선과 한사군 문제다. 고조선과 한사군의 강역문제가 중심이 된다. 둘째는『삼국사기』초기기록 불신론이다.『삼국사기』초기기록 불신론을 처음 제창한 인물은 일제 식민사학자인 쓰다 소우키치인데 그의 이론은 놀랍게도 지금까지 한 번도 근본적인 검토의 대상이 되지 않은채 이병도가 계승했다. 그리고 부분적 수정만 거친 채 한국 사학계의 주류 이론이 되었다. 셋째는 조선 후기사를 노론사관에 의해 서술하는 문제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집권한 노론은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을 조작해내고, 효종의 북벌에.. 2010. 2. 4. 마셜 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 마셜 맥루언『미디어의 이해 』 디지털 시대 정보 혁명의 예언자 마셜 맥루언(Herbert Marshall McLuhan,1911~1980)의 대표작이다. 1981년 2010. 2. 1. 유교의 경전 『대학 · 중용집주』 유교의 경전 『대학 · 중용집주』 대학과 중용은 오랜 세기에 걸쳐 논어 · 맹자와 더불어 유가의 경전으로 존숭되어 왔다. 유교 경전으로 중국에서 유교가 국교로 채택된 한대(漢代) 이래 오경이 기본 경전으로 전해지다가 송대에 주희(朱熹)가 당시 번성하던 불교와 도교에 맞서는 새로운 유학(性理學)의 체계를 세우면서 에서 과 의 두 편을 독립시켜 사서 중심의 체재를 확립하였다. 대학은 학문에 뜻을 둔 초학자가 반드시 거쳐 나가야 할 문이었다. 대학의 요체는 수기치인도(修己治人道), 다시 말해 개인 생활의 수양과 일반적 사회질서의 결합에 있으니 곧 윤리와 정치의 결합에 관한 논술이다. 중용은 오늘날 공자 철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책의 하나이다. 특히 그때까지는 실천성만을 앞세우던 유교의 .. 2010. 1. 30. 자본주의 최고의 경제학 이론서 『일반이론』 자본주의 최고의 경제학 이론서『일반이론』 영국 경제학자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1883~1946)의 경제학 저서로 1936년 발표되었다. 원제는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이다. 어제 소개한 칼 마르크스의 의 대척점에 서있는 경제학 저서이다.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경제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최고의 경제학 이론서이다. 1936년에 초판이 발행되었으나 우리나라에 전공학자에 의한 신뢰할 수 있는 번역서가 소개된 것은 1985년이다. 당시 서울대학교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조 순 교수(전 경제 부총리)가 1년 이상에 걸쳐 손수 번역해서 출간되었으나, 국한문 혼용으로 되어 있어서 나름대.. 2010. 1. 28. 칼 맑스 고전 경제이론서 『자본론』 칼 맑스 고전 경제이론서 『자본론』 이 책을 소지하고 있는 이는 예외없이 구속되던 시대가 있었다. 지난 정부때 법무장관을 지낸 모 여성 변호사의 전남편이 1988년 이 책을 번역했다고 해서 구속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지구인들에게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 2010. 1. 27. 시민혁명과 산업혁명 『혁명의 시대』 시민혁명과 산업혁명 『혁명의 시대』 영국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Eric Hobsbawm,CH, 1917~2012)이 저술한 역사 저서로 1962년에 발간되었다. 홉스봄의 대표적인 저서로 1789년 프랑스 혁명부터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3부작 , , 가 있다.1962년에 출판된 「혁명의 시대」가운데 은 19세기의 첫 번째 국면인 산업자본주의의 등장에 대해 다루고 있다.유럽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확대된 세계자본주의는 이중혁명, 즉 영국의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에서 기인했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 골자이다. 즉, 다시 말해서 1789년부터 1848년 사이의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이라는 '이중혁명'을 전체사의 관점에서 서술한것이 이 책이다. 그는 이중혁명의 전개 과정을 치밀하게 분.. 2010. 1. 26. 쉽게 서술된 동양철학사 『제자백가의 사상』 쉽게 서술된 동양철학사 『제자백가의 사상』 대학교수·동양철학자 송영배(1945~)가 편찬한 중국철학 설명서로 1997년 간행되었다. 이 책은 명쾌하고 이해하기 쉽게 서술된 동양철학사 정리본이다. 물론 여기서 이해하기 쉽다는 것은 한문으로 가득한 다른 '동양철학사'에 비해서라는 뜻이다. 제자백가의 사상을 다른 책과 마찬가지로 '공자', '맹자' '묵가'들 사상가 별로 묶어서 설명했지만 '묵가 사상에 대한 의 기술과 비판적 평가나 '맹자의 다른 제자백가들에 대한 비판'등 동양사상의 흐름과 사상간의 영향을 비교함으로서 동양철학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9세기를 전후로 철기가 농업에 도입됨에 따라 생산력이 현격하게 증대되었고, 이를 .. 2010. 1. 24. 막스 베버 경제 이론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 경제 이론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독일의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가 살던 20세기 유럽은 자본주의가 한창 발전하던 시기였다. 이 자본주의에 대해 경제학자 마르크스는 경제 결정론적 시각으로 그것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러나 베버는 그에 더해 ‘문화’라.. 2010. 1. 17. 프로이트 심리학 이론서 『꿈의 해석』 프로이트 심리학 이론서 『꿈의 해석』 꿈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수면 중에 나타난 꿈의 세계가 무엇인가를 설명하거나 지시하긴 하는 것일까? 이러한 꿈의 세계에 대해 심리적 가치를 인정하고 분석의 메스를 들이댄 것이 바로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6)였다. 프로이트 덕분에 꿈의 세계는 오랜 미망에서 깨어나 우리 앞에 그 실체를 드러냈다. 이것은 하나의 과학적 사건이었다. 20세기 들어 아인슈타인이 과학적 인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했다면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구조를 인식하는 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기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정신은 무의식의 텃밭에서 그 자양분을 제공받는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는 무수한 심리 이론가들, 철학자들이나 과학자, 예술가들에게 하나의 이정표가 되.. 2010. 1. 16. 데스먼드 & 무어 『다윈 평전』 데스먼드 & 무어 『다윈 평전』 이전 찰스 다윈을 다룬 책들은 으레 진화론의 발상에 무게를 뒀다.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에 도착해 진화론의 실마리를 풀어내는 활약상이 그것이다. 이 책은 자신의 발견이 끼칠 사회적 영향을 고민하는 지식인 다윈을 그리고 있다. 때는 1839년. .. 2010. 1. 12. 이전 1 ···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