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283

'이야기'의 어원 '이야기'의 어원 이야기는 줄여서 ‘얘기’로도 표기할 수 있다. 이야기라는 뜻에는 크게 옛날의 어떤 사건에 살과 피를 붙여 말하는, 할머니가 슬슬 등을 쓸어 만져주면서 들려주던 그 이야기가 있고, 그냥 하는 말을 이르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어떤 것이건 표기는 이야기다. 그렇다고는 해도 실제의 쓰임은 좀 더 세분되는 것이어서, “어째 이상한 얘기가 돌더군!” 하면 ‘소문’이란 뜻으로도 되고, “당신 얘기는 그렇다 해도 내 얘기 좀 들어보소.” 하면 ‘사정’이란 뜻이 되고, “얘기가 어째 묘하게 돌아가는군!” 라면 ‘정세’라는 뜻으로 되는 등등……. 이야기 좋아하면 가난하게 산다고 했다, 옛날이야기를 이름이다. ‘옛날 오누이가 살았는데’, ‘옛날 늙은 호랑이가 살았는데’, '옛날 포수가 살았는데'로 시작.. 2024. 1. 12.
‘노다지’의 어원 ‘노다지’의 어원 광물이 쏟아져 나오는 줄기가 곧 ‘노다지’다. 거기서 출발하여 어떤 이익이 약속되어 있는 일 또한 ‘노다지'라 불리게 되었다. 스페인어의 ‘bonanza(보난사)’ 같은 것인데, 그들의 '보난사'는 '행운' 또는 '번영' 같은 뜻이었던 것이, 미국말로 들어오면서 '노다지'를 뜻하게 되어, 이를테면 북서부에 잇는 주(州)인 '몬타나’의 별칭이 ‘노다지(Bonanza) 주’ 혹은 ‘보고(寶庫: treasure) 주’로 되는 것이며, 그 주가 갖는 모토 또한 스페인어로 ‘오로 이 플라타(Oro y plata: 금과 은)로 되어 이 주에 금은광(金銀鑛)이 많음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건 '엘 도라도(El Dorado: 스페인어로 황금을 뒤집어쓴 나라)'라 불리는 캘리포니아주도 마찬가지긴.. 2024. 1. 4.
‘총각김치’의 어원 ‘총각김치’의 어원 한때 인기 절정에 있던 가수 현미가 한창때 허스키 보이스로 불러댄, 조금쯤 노란 인상을 풍기는 노래가 있었다. “……달콤한 총각김치 새큼한 그 맛…….” 열무김치도 아니다. 김장 때 보노라면, 서울 사람들은 이 총각김치를 담근다. 노래 말마따나 새콤한 맛도 맛이려니와 이빨에 안기는 딴딴한 감촉이 또한 특별한 미각을 곁들여 준다. 어느 익살꾸러기가 이런 말을 하면서 웃었다. “총각감치가 있으면, 처녀김치도 있을 만하지 않은가?” 그러나 '처녀김치’라는 것은 물론 없다. 그러나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에게 이렇게 대꾸해 줄 수밖에 없다. “그래, ‘죄(罪)스럽다’라는 말 있대서 ‘벌(罰)스럽다’는 말 반드시 있던가? 아니면, 좌천(左遷)이라는 말이 있대서 ‘우천(右遷)’이란 말 반드시 있던.. 2023. 12. 29.
'빵'의 어원 '빵'의 어원 요즈음 빵 문제도 해결 못하는 신세라는 말을 한다. 빵 문제라는 말은, 세 끼니 식사 문제라는 뜻이다. 세 끼니 식사를 모두 빵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아니 세 끼니는커녕 한 끼니도 빵으로 식사를 잇는 주제가 아니면서도, 말은 이렇게 하는 것이다. 즉 ‘일용할 양식’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물론 이것도 양풍(洋風)이 든 말이다. 지난날의 표현으로야 끼니 잇기가 어렵다느니, 조반석죽(朝飯夕粥)도 어렵다느니에다, 입에 풀칠이 어렵다는 좀 과장이 심한 표현도 있어, [즘생을 데리고 읍내를 도망해 나왔을 때는 너를 팔지 않기 다행이었다고 길가에서 울면서 즘생의 등을 어루만졌던 것이다. 빚을 지기 시작하니, 재산을 모을 염은 당초에 틀리고 간신히 입에 풀칠을 하러 장에서 장으로 돌아다니게 .. 2023. 12. 21.
‘브래지어(brassiere)’의 어원 ‘브래지어(brassiere)’의 어원 가슴을 감싸는 여성용 속옷. 유방을 받쳐 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명이나 나일론 따위로 신축성 있게 만든다. 이희승 편 에 ‘브래지어’라는 외래어가 항목에 나와 있는데, 그 뜻을 풀어 ‘여자들이 젖을 가리거나 앞가슴을 예쁘게 하기 위하여 옷 속으로 젖을 싸 누르게 된 내의’라고 하였다. 한 마디로 ‘젖싸개’ㆍ‘젖가리개’쯤이면 괜찮다 싶어지는데, 우리는 ‘브래지어’로 쓰고 말하고 있는 현실 속에 있다. 쓰고 말한다고는 했지만, 이걸 쓰는 여자들이나 파는 장사치들이 '브래지어'라고 불러주는 건 아니다. 그들은 그냥 '부라자'라고 한다. 그리고 그 '부라자'라는 말은 일본 쪽에서 쓰는 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치마.. 2023. 12. 15.
‘철쭉’의 어원 ‘철쭉’의 어원 겨우내 웅그리고 있던 산야(山野)에 생기가 돌기 시작하면, 이윽고 진달래가 연지 곤지 찍은 신부의 얼굴마냥 볼그스름한 경색(景色)을 드러내다가 마침내는 온 산을 불태워간다. 그 다음에야 산은 푸른 기운을 머금어가게 된다. 그리고 철쭉은 진달래가 이울 무렵부터 피기 시작한다. 진달래를 ‘참꽃’이라 하고, 철쭉을 ‘개꽃’이라고도 한다. ‘개’란 반드시 ‘犬’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것이나 좋은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의 머리가지(接頭語)로서, 개꿈ㆍ개소리ㆍ개떡 같은 ‘개’이기도 하니, 참꽃에 대한 반대 개념을 제시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참꽃-개꽃 하는 말에서는 그것을 식용할 수 있고 없고에서의 이름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꽃의 생김새로 보라서도 철쭉 쪽이 훨씬 더 .. 2023. 12. 14.
'빨강이ㆍ노랑이'의 어원 '빨강이ㆍ노랑이'의 어원  아무리 ‘빨강이’가 옳은 표기라 하더라도 ‘적색분자.. 2023. 12. 8.
‘꽃’의 어원 ‘꽃’의 어원 집의 공간이라는 것이 온통 시멘트로 범벅이 된 데서 사는 신세에, 단 한 평이라도 정원이라는 것이 있었으면 싶은 마음은 항상 간절하다. 남의 집에 가서 뜨락에 나무가 심어져 있고, 또 그것이 꽃을 피우는 나무일 때, 항상 부러운 마음이 인다. 봄날이면, 라일락의 향내가 집안에 번져, 생래의 늦잠꾸러기를 깨워 물뿌리개를 들게 해 줄 것이며, 아니더라도 늦가을의 국화는 삭막한 마음에 자꾸만 꿈을 부어줄 것 같은 생각에서다. 꽃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것인가? 꽃을 보면서 혼탁해진 마음을 씻어내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것인가? 그러다 보니, 인간사회의 남정네는 , 여성을 꽃에 비유하게도 되어 버렸다. “거리에 핀 꽃이라 푸대접 마오.” 어쩌고 하는 유행가가 있었다. 비록 노방초(路傍草)에 엉긴.. 2023. 12. 7.
‘패랭이’의 어원 ‘패랭이’의 어원 石竹花 一名瞿麥 我國此花只是紅色 唐種則有五色 (석죽꽃은 달리는 구맥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이 꽃은 붉기만 하나, 중국 것에는 오색이 있다.) 하는 정다산(丁茶山)의 설에서 미루어보면, 중국 패랭이는 다섯 가지 색이었음을 알겠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난장이패랭이꽃ㆍ각시패랭이꽃ㆍ술패랭이꽃 같은 10여 종이 6∼8월에 홍백의 색조를 띤 꽃을 피웠다. 그리고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면서 피고 져 온 것이다. 요즈음 꽃집에서 재배하는 것은 우리나라ㆍ중국 종자로서의 패랭이가 아니고, 그 서양종인 ‘카네이션’인데, 그것이 비록 겹잎이지만, 홀잎인 우리쪽 것이 도리어 유현(幽玄)한 맛이 있다고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그 꽃말은 ‘순결한 사랑’이다. 고려조의 문장가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 2023. 12. 1.
‘쌀’의 어원 ‘쌀’의 어원 쌀은 반드시 벼 껍질을 벗겨놓은 그 하얀 알맹이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쌀은 양식 모두를 이른다. 그래서 쌀은 그것이 도정을 한 곡식이면 어디에고 붙게 되는 이름이다. 입쌀ㆍ보리쌀ㆍ좁쌀ㆍ멥쌀ㆍ숩쌀(술쌀)ㆍ햅쌀…… 같이 곧 먹게 되어 있는 양식일반을 가리키고 있다. 재미있는 현상이 이 쌀 이름들에서 발견되었을 것이다. 모두 ‘∼ㅂ쌀’로 되어 ‘ㅂ’ 자가 끼어 들어가 있음을 볼 것이기 때문이다. 중세어를 뒤져보면, 지금의 ‘쌀’의 ‘ㅆ’이 ㅂ과 ㅅ의 합용병서로 되어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이를테면 를 떠들어볼 때 이와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는데, ‘메(뫼) 벼’에서 나오는 쌀이 곧 ‘멥쌀(묍쌀)’, ‘찰벼’에서 나오는 쌀이 곧 ‘찹쌀’이었으니, ‘메지다’는 ‘메’에 쌀이 붙은 ‘메쌀’이요, ‘.. 2023. 11. 30.
'바둑'의 어원 '바둑'의 어원 바둑을 두어 보면, 그 사람됨을 대체로 짐작할 만해진다. 욕심 많게 두는 사람,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사람, 다 죽어 있는 돌에 대해 기어이 살려 보려고 미련을 두는 사람, 곧잘 포기해 버리는 사람, 이기고 지는 데 대범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공격형인 사람, 잔수에 밝은 사람, 그저 평화주의로 자기 영토만 확장해 가는 사람…… 거기에 두는 태도에 따라 인품이 그대로 그 판 위에 비치기도 한다. 오늘날의 바둑은 일본이 그 대종 이루어 단수(段數)로 보거나 기사의 수로 보거나, 실력으로 보거나 일본을 따를 곳이 없어서, 그쪽의 기사들은 생활의 안정도 얻고 있는 형편이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 유럽 쪽에서도 대단한 인기를 모으고 있다. 361의 구멍 위에 펼쳐지는 지모와 계략의 싸움, .. 2023. 11. 24.
‘고뿔’의 어원 ‘고뿔’의 어원 ‘감기’라는 말은 알아도, 혹은 ‘인플루엔자(influenza)’라는 말은 알아도, 혹은 영어니 프랑스어의 ‘그립(grippe)이라는 말까지 안다 하더라도, 자칫 '고뿔'이란 말은 모를 수가 있다. 안 쓰기 때문이다. ‘고뿔도 남 안 준다.’는 속담은, 지독하게도 재물을 아끼는 경우를 두고 이름이며, ‘남의 염병이 내 고뿔만 못하다.’는 속담은 남의 큰 위험이나 걱정보다 내 작은 걱정이 더 잘박하게 느껴짐을 이름이며, ‘정승 될 아이는 고뿔도 안 한다.’는 속담은 크게 될 아이는 남다른 데가 있음을 뜻하는 것인데, 이때 쓰인 ‘고뿔’이란 말이 요샛말로는 감기이다. 고뿔도 아삼아삼한 판인데, ‘개×머리’, ‘개×부리’ 혹은 ‘개좆불’(위에서의 ×자는 ‘조’자 아래에 ㅈ자 한 글자임) 하는 .. 2023.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