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고뿔’의 어원

by 언덕에서 2023. 11. 23.

 

‘고뿔’의 어원

 

 

‘감기’라는 말은 알아도, 혹은 ‘인플루엔자(influenza)’라는 말은 알아도, 혹은 영어니 프랑스어의 ‘그립(grippe)이라는 말까지 안다 하더라도, 자칫 '고뿔'이란 말은 모를 수가 있다. 안 쓰기 때문이다.

  ‘고뿔도 남 안 준다.’는 속담은, 지독하게도 재물을 아끼는 경우를 두고 이름이며, ‘남의 염병이 내 고뿔만 못하다.’는 속담은 남의 큰 위험이나 걱정보다 내 작은 걱정이 더 잘박하게 느껴짐을 이름이며, ‘정승 될 아이는 고뿔도 안 한다.’는 속담은 크게 될 아이는 남다른 데가 있음을 뜻하는 것인데, 이때 쓰인 ‘고뿔’이란 말이 요샛말로는 감기이다.

 고뿔도 아삼아삼한 판인데, ‘개×머리’, ‘개×부리’ 혹은 ‘개좆불’(위에서의 ×자는 ‘조’자 아래에 ㅈ자 한 글자임) 하는 소리는 아예 들어본 일이 없는 사람도 많을 것 같다. 욕 냄새가 나서 어감까지 좋지 않으니 굳이 현실적으로 써야 할 말이라고 권장하고 싶은 뜻은 없지만, 필자가 어릴 때만 해도 외조모가 쓰던 말인 것으로 기억이 난다. 다만 그때는 ‘×’으로 발음하지 않고 ‘짐’으로 발음해서 필자는 ‘개짐머리’로 들었던 것인데, 그 ‘×’자 발음하기가 거북해서 ‘짐’으로 짐짓 바꾸어 말했던 것이라는 짐작은 간다.

 그러한 예로 저작(詛嚼)한다는 뜻의 ‘씹다’도 필자는 ‘씹다’로 배우지 않고, ‘쌉다’로 배워서, ‘악아, 얹히지 않게 잘 쌉아 먹어라.’고 이르시던 말씀을 지금도 기억하는데, 그 ‘씨’자에 ‘ㅂ’한 자의 어감도 결코 전기한 ‘×’자에 내리지 않게 고약한 점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초기 영국의 처칠 수상이 갑자기 고뿔에 걸렀었다. 그 당시 나치스의 ‘blitz·krieg(전격전)’에 빗대어 ‘브릴츠플루(blitzflu)’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지금도 유명한 이야기이지만, 금세기에 들어서의 유명한 유행성감기로 1889년∼1800년의 ‘러시언 인플루엔자’, 1918년∼1919년의 ‘스페니쉬 인플루엔자’, 1957∼1958년의 ‘아시언 인플루엔자’ 같은 것이 곧잘 거론되기도 한다.

 고뿔에는 그냥 감기도 있지만, 유행성 감기도 있고, 또 근자에 이르러서는 인명을 해치는 데까지 이르는 독감이라는 것까지가 유행해서, 지난 겨울에도 일본에 그것이 퍼진다는 소식과 함께 우리나라 방역진의 신경을 곤두세우기도 했었다. 대체로 그 자체는 그런대로 견뎌낼 만한 것이지만, 그 병의 정체가 안 밝혀진 것과 함께 폐렴 따위 병발증(竝發證)이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

 고뿔이라는 아름은 그것을 앓게 되는 증세에서 온 것이라 생각된다. 중세어로 ‘고뿔’은 ‘곳블’이었는데, 그것은 ‘고’와 ‘블’로 이루어져 있는 낱말임을 알 수 있으며, ‘고’는 현대어의 ‘코’요, ‘블’은 현대어의 ‘불’이니, ‘곳블’은 곧 ‘콧불’, 코에서 불 같은 열기가 풍긴다는 데서의 이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블’은 또 풀(膠)을 이르기도 했던 것을 보면, 감기가 걸렸을 때 노상 그 풀과 같은 콧물을 흘려야 했으며, 거기에서 온 ‘곳블’이었던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앞서 ‘개×부리’라는 속어가 있다고 했는데, 얼마나 성가시게 굴었으면 붙게 된 그 이름이었을 것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아무튼 고뿔은 반드시 겨울에만 걸리는 것도 아니어서, 건강관리를 잘못하면 여름에도 곧잘 훌쩍거리는 신세로 될 수 있었던 것에서 살펴, 그것에 안 걸릴 건강 체질을 평소부터 다져놔야 할 것 같다.

 

- 박갑천 : <어원수필(語源隨筆)>(19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