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2

운보 김기창(1913 ~ 2001)의 그림 운보 김기창(1913 ~ 2001)의 그림 김기창. 한국화가. 서울 출생. 호 운보(雲甫). 7세 때 장티푸스로 청각을 잃고, 17세에 승동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당화숙에서 김은호에게 그림을 배워 6개월 만에 1931년 로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처음 입선한 후, 연 5회의 입선과 연 4회 특선을 기록했다. (제11회), (제12회), (제13회), (제14회), (제15회)로 입선, (제16회), (제17회), (제18회), (제19회)로 특선하여 추천작가가 되었다. 1946년에 우향 박래현과 결혼하였고, 1947년 [자유신문] 문화부 기자, 1954년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전임강사, 1956년 국전 초대작가ㆍ심사위원, 1962년 수도여자사범대학과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백양회의 중심인물로 활.. 2007. 3. 9.
최초 여성 서양화가 나혜석(1896 ~ 1946)의 그림 최초 여성 서양화가 나혜석(1896 ~ 1946)의 그림 == 1924년작 만주봉천 풍경 == == 1928년작 자화상 == == 1928년작 스페인국경 == == 1928년작 프랑스 마을 풍경 == == 1927년작 파리 풍경== == 1922년작 농촌풍경 == == 1928년작 무희 == == 1928년작 나부, 자화상 == == 1927년작 파리풍경 == == 1933년작 선죽교 == == 1933년작 인천풍경 == ==1935년작 화령전작약 == == 1935년작 별장 == 나혜석. 서양화가. 호는 정월(晶月). 신문학을 존중하는 개화된 가정에서 기정의 5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도쿄에 유학중이던 오빠 경석의 권유로 1913년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유화를 전공했다. 유학시절에는 최승구.. 2007. 3. 5.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조정래(趙廷來. 1943~ )의 대하소설로 전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판사가 밝힌 판매 부수만도 2백만 부, 집필기간 6년 2개월이며 원고 장수 1만7천여 장으로 등장인물은 160여 명이다. 쓰는 동안 역사학자들과 토론회가 열린 소설로 완간된 지 1년 5개월만에 작품론이 따로 책으로 나온 작품이다. 분단 문학의 최고봉으로 1983년 월간 [현대문학]에 첫선을 보인 이 작품은 1986년 한길사에서 제 1부 한의 모닥불이 3권의 단행본으로 나오면서 문단 및 독서계의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원고지 1만 6천장으로 완결된 이 작품은 "지금까지 쌓아온 분단 주제의 특수한 소재 추구 작품 가운데 단연 역사적인 한 획을 긋는 작품"(문학평론가 임헌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2007. 2. 21.
생선회 예찬 생선회 예찬 지상에서의 행복은 무엇일까요. 너무 어려운 질문이라고요? 맞습니다. 어려운 질문이지요. 그런 물음은 그만두고 손쉬운 질문부터... 지상에서 가장 맛있는 술안주는 무엇일까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생선회가 어떨까요. 광어, 도다리, 우럭, 돔, 붕장어... 여러종류가 있.. 2007. 2. 16.
묵자의 사상과 배경 묵자의 사상과 배경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에 공수반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천민 출신인데도 기술이 뛰어나서 대부 자리에까지 올랐다. 공수반은 아무리 높은 성에도 쉽게 올라갈 수 있는, 구름까지 닿을 만큼 사다리를 제작해 놓고 송나라를 공격하려 했다. 제나라에 있다가 이 소식을 들은 묵자는 발에 물집이 잡히도록 꼬박 열흘을 걸어 초나라로 왔다. "선생은 무슨 일로 이 먼 곳까지 오셨습니다?" "북쪽 지방에 사는 어떤 사람이 나를 귀찮게 하는데, 당신이 그 사람을 없애 주었으면 합니다." 이 말을 들은 공수반은 아주 불쾌해했다. "그렇게 해 주면 천금을 드리지요." "나는 의기가 있는 사람이라서 남을 죽이지 않습니다." 묵자는 마음속으로 비웃으면서도 겉으로는 탄복했다는 듯이 자리에서 일어나 공수반에게 두 번.. 2007. 2. 1.
전래동화 '콩쥐팥쥐'의 지리적 배경은 어디일까? 전래동화 '콩쥐팥쥐'의 지리적 배경은 어디일까? 서양의 동화 '신데렐라'와 유사한 이야기 구조를 가진 조선 시대 작가 연대 미상 우리의 전래동화 『콩쥐팥쥐』 설화는 권선징악을 소재로 한 가정소설로 유명하다. 주요 내용은 조선 시대 중엽 전라도 전주 서문 밖 30리 부근에 사는 퇴리(退吏) 최만춘이 부인 조 씨와 결혼하여 딸 '콩쥐'를 낳았으나 콩쥐 어머니 조 씨가 일찍이 병사하자 '팥쥐'라는 딸을 데리고 온 배 씨와 재혼하면서 계모와 전처소생의 딸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이 구전으로 전해오는 신데렐라형 서사물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조선 중엽 전라도 전주 부근에 사는 퇴리(退吏) 최만춘(崔滿春)은 아내 조씨와 혼인한 지 10년 만에 콩쥐라는 딸을 두었다. 그러나 콩쥐가 태어난 지 100일 만에 조씨가 .. 2007. 2. 1.
전래동화 '장화홍련전'의 근원설화인 아랑설화 전래동화 '장화홍련전'의 근원설화인 아랑설화 밀양에서 전해오는 전설, 아랑설화(阿娘說話) 아랑설화는 경남 밀양에 전해오는 전설이다. 경남 밀양에 가면 아랑각이라는 사당이 있다. 억울하게 죽은 아랑이라는 낭자가 원령이 되어 자신의 원한을 푼 뒤 변고가 없어졌다는 설화이다.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하며, 원령설화(怨靈說話)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아랑설화라고 제목이 붙여진 것은 손진태(孫晋泰)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그 유래는 정인섭(鄭寅燮)의 ≪온돌야화 溫突夜話≫에서 연유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랑의 성은 윤(尹), 이름은 정옥(貞玉)이었으며, 그는 부친이 영남(嶺南) 밀양태수(密陽太守)로 부임하였을 때에 수행하여 밀양에 갔다. 아랑을 사모하게 된 지방관리 통인은 유모를 달래서 .. 2007. 2. 1.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세계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세계 Ⅰ.송강 정철의 생애 정철의 자(字)는 계함(季涵)이며, 호(號)는 송강(松江)이다. 부친 유침(惟침)과 모친 죽산(竹山) 안씨(安氏) 사이에서 4남3녀 중 넷째 아들로 중종31년(1536)에 서울의 장의동에서 태어났다. 그가 10세 되던 해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정순붕,허자 등이 매형인 계림군 유(瑠)에게 없는 죄를 뒤집어 씌워서 죽이니 화가 정씨일가에게도 미쳐 큰형인 정랑공 자(玆)는 체포되어 매를 맞고 귀양을 가는 도중에 죽었으며, 부친 판관공(判官公) 역시 구금되었다가 겨우 죽음을 면하고 관북 정평으로 귀양을 갔다가 이듬해 연일(延日)로 귀양지를 옮겼다. 이때까지 송강은 생활의 안정을 얻지 못하고 학문을 하지도 못하였다. 부친은 그로부터 5년후(명종6년)에 왕자 탄생.. 2007. 1. 29.
경남 / 울산의 맛거리(맛집) 40선 경남 / 울산의 맛거리 (맛집) 40선    울산 고래고기 김해 불암 민물장어 울산 봉계 한우 하동 참게탕 통영 횟집거리 마산 복집거리 창원 북동시장 국밥골목 합천 민물고기 요리 진주 장어구이 밀양 재약산 흑염소촌 함양 안의갈비탕촌 거제 다대 어죽촌 양산 배내골 백숙집 진해 복요리 김해 흥동 먹거리촌 방어진 도루묵요리 마산 오동동 아구찜 사천 백합요리 창원 꽃게 식당 골목 통영 굴솥밥.멸치밥 김해 손칼국수 진해 곱창요리 거제 아귀 수육·찜 창녕 옥천계곡 송이버섯 요리 남해 갈치회 진주 비빔밥 통영 충무김밥 진해 찜요리 진영 갈비 밀양 무안 돼지국밥 통영 물메기 요리 마산 가포 장어구이 합천 삼가한우고기 양산 통도.. 2007. 1. 27.
부산의 맛거리 30선 부산의 맛거리 30선 1. 송정 광어골 2. 초량 돼지갈비 골목 3. 금정구 금샘로 외식거리 4. 문현동 곱창 거리 5. 장안사 메기매운탕 거리 6. 부평동 족발 거리 7. 전포동 카페 거리 (전리단 길) 8. 망미동 아귀찜 골목 9. 만덕동 오리타운 10. 초량동 중국음식점 거리 11. 범천동 조방낙지 골목 12. 삼락동 재첩거리 13. 기장 죽성 장어거리 14. 온천동 칼국수 골목 15. 광안리 해장국 거리 16. 부산대 앞 돼지국밥 골목 17. 남포동 양곱창 골목 18. 해운대 복요리 골목 19. 서면 뚝배기 골목 20. 금호마을 청둥오리촌 21. 서면시장 돼지국밥 골목 22. 광안리 불고기 골목 23. 온천장 곰장어 거리 24. 범일동 초밥거리 25. 강서구 잉어찜 거리 26. 청사포 회촌 27... 2007. 1. 26.
사돈의 유래와 호칭 사돈의 유래와 호칭 사돈(査頓) :「명사」 「1」 혼인한 두 집안의 부모들 사이 또는 그 집안의 같은 항렬이 되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이르는 말. 「2」 혼인으로 맺어진 관계. 또는 혼인 관계로 척분(戚分)이 있는 사람. ≒인친. 등걸 나무에서 머리를 조아리다 고려 예종 때 여진을 물리친 도원수 윤관과 부원수 오연총은 평생을 돈독한 우애로 지낸 사이다. 여진 정벌 후에 자녀를 서로 결혼까지 시켰고, 자주 만나 술로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회포를 푸는 것을 낙으로 삼았다. 어느 봄날 술이 잘 빚어진 것을 본 윤관은 오연총 생각에 술동이를 하인에게 지게하고 오연총 집으로 향했다. 개울을 건너가려는데 오연총도 윤관의 생각에 술을 가지고 개울 저편에 있는 게 아닌가? 그런데 간밤의 소낙비로 개울이 불어 .. 2007. 1. 24.
바리공주신화 바리공주신화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무속신화로 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혼령을 저승으로 보내기 위해 베풀어지는 사령제(死靈祭) 무의(巫儀)에서 구연된다. 무가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서울지역 전승본이 바리공주의 영웅적 행위와 신성(神性) 획득 과정의 인과적 전개를 통해 신화적 모습을 잘 지키고 있는 반면, 함경도지역 전승본은 인과의 논리가 허물어지고 골계적 성격이 강화되면서 민담으로의 변모를 보인다. ♣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옛날 이씨 주상금마마가 7공주를 본다는 해에 왕비를 맞아들인 후 계속해서 6공주를 낳는다. 왕과 왕비는 왕자를 낳기 위해 온갖 치성을 드린 후 일곱째 아이를 잉태했으나 낳고 보니 또 공주였다. 크게 노한 대왕은 일곱째 공주를 옥함에 넣어 강물에 띄워버린다. 아기는 석가세.. 2007.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