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高朋滿座221

최재서 평론집 『문학(文學)과 지성(知性)』 최재서 평론집 『문학(文學)과 지성(知性)』  영문학자 · 문학평론가 최재서(崔載瑞.1908∼1964)의 평론집으로 B6판. 반양장. 30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의 첫 평론집으로, 1938년 [인문사(人文社)]에서 간행하였다. 이원조와 지은이의 서문, 그리고 목차와 본문의 순서로 짜여 있다. 본문은 등 19편의 논문과, 등 20편의 단평을 수록하고 있다.  지은이는 서문에서 ‘비평은 무엇보다도 지성의 영위’라는 근본적 태도를 밝히고 있다. 등에서는 흄(Hulme,T.E.)의 반낭만주의적ㆍ신고전주의적 문학론과 엘리어트(Eliot)의 전통의식, 리드(Read) 및 리처즈(Richards)의 이론들을 요약하여 소개하면서, 현대문학의 과도기적 혼돈성을 극복하기 위한 주지주의 문학의 건설.. 2009. 7. 18.
일본 문화의 틀『국화와 칼(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일본 문화의 틀『국화와 칼(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미국 인류학자 R.F. 베네딕트(Ruth Benedict, 1887~1948)의 인류학 저서로 1946년 간행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이 일본에 대해 이해할 필요를 절실히 느껴 미국 정부당국의 위촉을 받아 일본을 연구한 책이다. 전쟁이 끝난 다음 그 성과를 이란 부제를 붙여 발표했다. 국화 재배의 비술(秘術)을 키우는 한편 서구인의 관점에서 볼 때 모순된 이른바 칼을 숭배한다는, 일본인의 행동과 사고의 내적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그것이 이루는 일본문화의 유형을 이해하려 하였다. 저자는 일본문화를 구조·기능적으로 파악함에 있어, 계층제야말로 일본인의 행동·사고의 핵심이라 지적하고, 그 바탕을 이루는 도덕체계를 분석.. 2009. 6. 23.
국문학의 생성ㆍ발전을 시적(史的)으로 전개시킨 문학사 『한국문학사(韓國文學史)』 국문학의 생성ㆍ발전을 시적(史的)으로 전개시킨 문학사『한국문학사(韓國文學史)』 조윤제(趙潤濟.1904∼1976)의 저서로 1949년에 간행된 를 1963년에 증수, 개정하여 내놓은 책이다. 이 는 학위논문으로 제출하여 문학박사 학위가 수여되었던 저술이다.  국문학의 생성ㆍ발전을 사적(史的)으로 전개시킨 문학사로서, 서론에서 밝혔듯이,  “생활은 어디까지나 살아있는 것이고, 이 살아있는 생활을 표현한 문학도 살아있는 것이니, 문학사는 모름지기 그 삶의 연속체가 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하나하나 문학 사상(事象)은 편편(片片)이 떨어져 있는 한 개의 고립적 사상(事象)이 아니고, 기실은 한 생명체의 부분이며, 거기는 전체의 생명이 부분적으로 잠재하고 있어, 밖으로 아무 관련성이 안 보이는 듯한 모든 부분.. 2009. 3. 26.
신채호 조선상고사 신채호 역사서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신채호(申采浩)가 우리 나라 상고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단군시대로부터 백제의 멸망과 그 부흥운동까지 서술하고 있다. 1931년에 [조선일보] 학예란에 연재되었고, 이후 1948년 종로서원에서 단행본으로 발행되었다. 원래 이 책은 신채호의 서술의 일부분이었으나, 그 연재가 상고사 부분에서 끝났기 때문에 로 불려지게 되었다. 전 1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 총론, 2편 수두시대, 3편 3조선 분립시대, 4편 열국쟁웅시대(列國爭雄時代) 대(對) 한족 격전시대, 5편 (1) 고구려 전성시대, (2)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6편 고구려ㆍ백제 양국의 충돌, 7편 남방제국 대 고구려 공수동맹, 8편 3국 혈전의 시(始), 9편 고구려 대수전역(對隋戰役.. 2008. 1. 8.
신경림의 민요집 『민요기행』 신경림의 민요집 『민요기행』  신경림(申庚林. 1935∼ ) 시인이 1983년부터 1985년에 걸쳐 월간 [마당]지에 연재했던 것을 엮어 펴낸 책으로 1999년 [산하]출판사에서 발행했고, 2005년 [문이당]에서 증보판 발행했다. 글쓴이가 우리의 옛 노래를 찾아 전국을 다니면서 써 놓은 것을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정리한 책이다. 요즘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차지한 것은 방송을 통해 배운 외국 가요나 대중가요가 대부분이다. 대중가요는 줄줄 외우지만 우리의 민요는 거의 모르는 아이들이 많다. 이 책은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민요가 어떻게 생겨나고 얼마나 아름다운 노래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민요기행」은 저자 신경림 시인이 제천, 단양, 충주를 중심으로 한 남한강 유역의 중원 지방에서부터 시작하여, 충청, 전라.. 2007.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