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高朋滿座

신채호 조선상고사

by 언덕에서 2008. 1. 8.

 

신채호 역사서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신채호(申采浩)가 우리 나라 상고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단군시대로부터 백제의 멸망과 그 부흥운동까지 서술하고 있다. 1931년에 [조선일보] 학예란에 연재되었고, 이후 1948년 종로서원에서 단행본으로 발행되었다. 원래 이 책은 신채호의 <조선사> 서술의 일부분이었으나, 그 연재가 상고사 부분에서 끝났기 때문에 <조선상고사>로 불려지게 되었다.

 전 1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 총론, 2편 수두시대, 3편 3조선 분립시대, 4편 열국쟁웅시대(列國爭雄時代) 대(對) 한족 격전시대, 5편 (1) 고구려 전성시대, (2)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6편 고구려ㆍ백제 양국의 충돌, 7편 남방제국 대 고구려 공수동맹, 8편 3국 혈전의 시(始), 9편 고구려 대수전역(對隋戰役), 10편 고구려 대당전역(對唐戰役), 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등이다.

 제1편 총론에는 신채호의 역사이론이 전개되어 있다. 그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서의 역사’를 파악하고 있다. 즉, 그는 역사 발전의 원동력을 사물의 모순ㆍ상극(相克) 관계에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헤겔(Hegel)류의 소박한 변증법적 논리가 도입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그는 이러한 모순ㆍ투쟁 관계가 역사로서 채취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상속성과 공간적인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총론에서는 역사학 연구의 방법론도 제시되어 있다. 역사를 객관적으로 서술하기 위해서는 사료의 선택ㆍ수집ㆍ비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실증주의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이념과 방법을 제시하면서, 신채호는 과거의 사대주의적 이념에 입각해 한국사를 서술한 유학자들과 당시 근대적 역사학을 한다는 식민주의 사가들을 비판하였다. 그 비판 위에서 이 저술의 목적과 성격을 뚜렷이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종래의 한국사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새로운 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종래의 단군ㆍ기자ㆍ위만ㆍ삼국으로 계승된다는 인식체계와 단군ㆍ기자ㆍ삼한ㆍ삼국의 인식체계를 거부하고 신채호는 실학시대 이종휘(李種徽)의 <동사(東史)>에서 영향을 받은 듯, 대단군조선ㆍ3조선ㆍ부여ㆍ고구려 중심의 역사인식체계를 수립하였다. 대단군조선과 불ㆍ신ㆍ말의 3조선설에는 문제가 많지만, 그가 이러한 체계를 위해 전후삼한설(前後三韓說)을 주장하고 삼한의 이동설을 제시한 것은 고대사 연구에 큰 자극을 주었다.

 둘째, 이러한 역사체계에 부수되는 것으로 상고시대 한국사의 웅혼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는데, 상고사의 역사 무대를 중국 동북쪽 지역과 랴오시(遼西) 지역에까지 넓혔고, 단군시대에 산둥(山東) 지역을 경영했다는 주장도 나오게 되었다.

 김부식(金富軾)이 쓴 <삼국사기>나 그 뒤의 대부분의 역사책들이 한국사의 본격적인 전개 시기를 삼국시대 이후로 보았기 때문에 그 무대도 한반도와 만주일부에 국한되었다. 한국사의 타율성론(他律性論)을 강조했던 식민주의사관론자들도 한국사의 전개 무대를 한반도 내로 축소시켰다.

 신채호는 이와 같은 종래의 주장들에 반대하고 한국사의 본격적인 전개시기가 삼국 이전이요, 활동 무대도 북으로 북만주, 서남쪽으로 랴오시ㆍ발해만 유역ㆍ직예성ㆍ산둥ㆍ산시ㆍ화이허(淮河)ㆍ양쯔강 유역까지 미쳤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종래의 한사군의 반도내존재설에 반대하고, 한사군이 실재하지 않았거나 요하(遼河)지역에 존치(存置)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셋째, 삼국 중 고구려와 백제는 중시하나 신라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역사를 투쟁의 기록으로 파악한 단재사관에서 고구려는 우리민족을 외세로부터 보호하고 대외투쟁에서 승리를 거둔 이상적 국가이다.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가 서기전 37년부터 서기 668년까지 705년간 존속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신채호는 고구려 900년설을 내세우면서 앞부분 200여 년이 삭감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신채호는 한무제와 대결한 세력이 고구려라고 주장하였다.

 

 

 

 백제는 부여ㆍ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서, 고구려와 같이 대외경략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고 하였다. 즉, 근구수왕과 동성왕 때 중국의 랴오시ㆍ산둥 지방과 일본 전역을 식민지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백제의 부흥운동이 자세하게 기록된 것은 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고구려ㆍ백제에 비해서 신라는 대외투쟁을 거의 경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삼국통일의 경우 당(唐)세력을 끌어들였다. 그 결과 고구려의 옛 영토를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저자는 통설로서의 삼국통일은 민족사에 긍정적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부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리면서, ‘김유신(金庾信)의 음모’라고 단정하게 되었다.

 이 책은 종래의 우리나라의 고대사 인식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제시하면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교설적(敎說的)인 성격이 다분히 나타나면서 민족주의 의식이 지나치게 짙게 역사학에 투영되어 역사서술과 그 가치평가의 공정성(公正性)을 감소시킨 면도 있다. 어떤 부분에서는 그가 애써 강조한 실증성이 결여된 부분도 있다. 그 때문에 이 책의 내용과 서술은 비판적으로, 신중한 이해 밑에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