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화가 100인 작품100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야수파 화가, 이중섭(1916 ~ 1956)의 그림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야수파 화가, 이중섭(1916 ~ 1956)의 그림 닭 1954, 복사꽃이 핀 마을 달과 까마귀 1953, 노을 앞에서 울부짖는 소 서귀포의 환상 나무와 달과 하얀새 1955, 성당 부근 봄의 어린이 서귀포 섶 섬이 있는 풍경 1953, 판잣집 화실 길 떠나는 가족 흰 소 1955, 환희 1954, 투계 1953, 물고기와 노는 세 아이 도원 가족과 비둘기(1956) 1954, 통영 수원지 1953, 떠받으려는 소 1954, 피난민과 첫눈 싸우는 소 소와 새와 게 소와 어린이 소 싸우는 소 적십자병원에서 그린 마지막 그림 이중섭. 서양화가. 호 대향(大鄕). 평남 평양 출생. 오산고보 졸업. 일본 도쿄문화학원 미술과 재학 중이던 1937년 일본의 전위적 미술단체의 자유미협전(自由美協展.. 2012. 4. 27.
공간구조의 천착, 한묵(1914 ~ )의 그림 공간구조의 천착, 한묵(1914 ~ )의 그림 한묵, , 종이에 유채, 40×27cm, 1955 가족 나부 얼굴 이중섭 상 무제 회전 공간(空間) 붉은 나선(螺旋) 번개 탑(塔) 나선(螺旋) 순환(循環 공간(空間) 백색(白色)의 비상(飛翔) 원색(原色)의 척문(尺文) 화려(華麗)한 선회(旋回) 황색(黃色)의 핵(核) 달마(達磨)의 콧수염 무제 에덴의 능금 피라미드A 새와 태양(太陽) 십자성(十字星)의 교향(交響) 한묵. 서양화가. 본명은 백유. 한국에 피카소를 처음으로 소개하는 등 한국화단에 추상회화의 뿌리를 내리게 한 선구자로서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화단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기하학적 추상작가이다. 절친한 친구인 이중섭 화백을 청량리 병원에 입원시키고 사후에는 시신까지 수습한 것으로도 유명하.. 2012. 4. 20.
색채의 화가, 임직순(1921 ~ 1996)의 그림 색채의 화가, 임직순(1921 ~ 1996)의 그림 임직순. 서양화가. 본관은 풍천. 충청북도 괴산 출생. 1936년에 일본에 건너가 중학교를 다닌 후 1940년 동경의 일본미술학교 유화과에 입학, 1942년에 졸업하였다(전쟁으로 6개월 단축). 미술 학도 때인 1940년 서울의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정물」이 입선되었다. 광복 후 1949년 제1회 국전(國展,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는 「가을 풍경」과 「만추」가 입선됐다. 6·25 전쟁으로 중단됐던 국전이 1953년 휴전과 함께 재개되자 해마다 입선과 특선을 거듭하였다. 1956년에는 실내의 소녀상을 사실적으로 그린 「화실」이 문교부장관상을 차지했고, 1957년 제6회 국전에서는 역시 실내의 소녀를 주제 삼은 풍부한 색채 구사의 「좌상」이 대통령상을 타며 크.. 2012. 4. 13.
극사실주의 기법으로 그려진 형상미술, 이호련(1978 ~ )의 그림 극사실주의 기법으로 그려진 형상미술, 이호련(1978 ~ )의 그림 Overlapping Image , Oil on Canvas 97 x 162.2 cm 2010 Overlapping Image , Oil on Canvas Overlapping Image , Oil on Canvas Overlapping Image , Oil on Canvas Overlapping Image , Oil on Canvas 이호련. 서양화가. 한남대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과 졸업. 아트페어나 국내외 경매에서 인기를 끌며 미술시장에서 주목받는 젊은 작가 중 한 명이다. 작가는 여성의 하체를 소재로 중첩된 이미지를 그린다. 모델에게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여러 컷의 사진을 찍은 뒤 그 중 마음에 드는 .. 2012. 4. 6.
푸른 곰팡이 쓴 누거에서 유토피아로, 양달석(1908 ~ 1984)의 그림 푸른 곰팡이 쓴 누거에서 유토피아로, 양달석(1908 ~ 1984)의 그림 김해선암, 1970 목동, 1960년대 목가,1950년 농부들, 1958 농가, 1957 관상 보는 사람들, 1963 목가,1950년 목동,1954 농가 양달석. 서양화가. 본관은 남원(南原). 호는 여산(黎山). 경상남도 거제도에서 한의사 집안에 태어났다. 그러나 어려서 양친을 여의고 인척집에서 농사일을 거들며 불우한 소년기를 보냈다. 16세 때에 고학을 결심하고 통영(統營)의 사립청년학원을 거쳐 진주농업학교에 진학하여 그림에 뜻을 두게 되었다.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鮮展)에 수채화가 입선한 뒤 동경(東京)에 건너가 데이고쿠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에서 한때 수학하며 어렵게 화가의 길을 개척하였다. 그 사이 조선미술전 입선도 수.. 2012. 3. 30.
진경산수의 현대적 계승, 변관식(1899 ~ 1976)의 그림 진경산수의 현대적 계승, 변관식(1899 ~ 1976)의 그림 [ 누각청류 (1939) ] [ 설경 (1943) ] [ 조춘 (1944) ] [ 농촌의 만추 (1957) ] [ 외금강 삼선암 (1959) ] [ 내금강 진주담 (1960) ] [ 옥류청풍 (1961) ] [ 비폭도 (1965) ] [ 산촌 (1969) ] [ 금강산 단발령 (1974) ] 변관식. 한국화가. 황해도 옹진 출신. 호는 소정(小亭). 한의사 정연(晶淵)과 조선 왕조의 마지막 화원이었던 조석진의 딸인 함안 조씨(咸安趙氏)의 둘째 아들이다. 1910년 11세 되던 해 서울로 올라와 1917년 외할어버지인 조석진이 교수로 있는 서화미술원(書?美術院)에 입학하면서부터 그림 수업이 본격화되었다. 1923년 서화미술원 출신의 이용우· 노.. 2012. 3. 23.
군상의 화가, 이응노(1904 ~ 1989)의 그림 군상의 화가, 이응노(1904 ~ 1989)의 그림 이응노. 화가. 본관은 전의(全義). 호는 죽사(竹史)·고암(顧菴). 충청남도 홍성 출생. 1924년 서울로 올라와 김규진게 묵화를 사사하였다. 1924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에 사군자 그림으로 거듭 입선하였다. 1938년부터는 수묵담채의 사실적 풍경화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1944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 계속 입선과 특선에 오르며 전통 화단에 확고히 진출하였다. 1938년 새로운 그림 수업을 위하여 일본에 건너가 동경에 머무르면서 가와바다화학교와 혼고회화연구소에서 일본 화법과 양화의 기초를 익히며 그림의 기량을 넓혔다. 그러면서 1939년부터 1944년까지 동경의 일본화원전에 참가, 입선과 특선을 하는 등 작품 활동을 보였다. 1945년 8·15광복.. 2012. 3. 16.
읽으면서 보는 그림, 신선미(1980 ~ )의 그림 읽으면서 보는 그림, 신선미(1980 ~ )의 그림 secret 신선미. 한국화가. 1980년생으로 울산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신선미의 그림에는 두 가지 재미가 공존한다. 먼저 보는 맛이다. 그는 기본기가 탄탄하다. 한복차림의 개미요정이나 한복 여인은 인물의 비례가 정확하고 세부 표현이 사실적이다. 정밀한 선묘와 담백한 색감으로 조형된 사실적인 인물들은 역시 꼼꼼하게 그린 소품들과 어우러져서 보는 맛을 한껏 높여준다. 다음으로 읽는 맛이다. 화폭에서 펼쳐지는 상황이 연극적이다. 개미요정과 인간, 고양이가 연출하는 광경은 영화의 스냅사진처럼 이야기를 품고 있다. 따라서 그 상황을 유추하면 읽는 즐거움이 각별해진다. '당신이 잠든 사이'처럼 요정과 인간만 등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작은.. 2012. 3. 9.
농원의 화가, 이대원(1921 ~ 1995)의 그림 농원의 화가, 이대원(1921 ~ 1995)의 그림 가을나무 가을농원 개나리 사과나무 국화 나무 논 농원 농원 농원 농원 농원 농원 농원 담 못 사과나무 산 원두막 인왕산 정물 담 브라운 슈바이크 건물 나무 비경 반닫이 집 언덕 위의 파밭 달빛 창변 하이텔베르크의 피터교회 두 딸 이국풍경 정물 이대원(1921 ~ 1995). 서양화가. 고교 시절 일제 선전(鮮展)에서 2년 연속 입선하는 등 미술에 재능이 있었으나 부모님의 반대로 경성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후 심산 노수현에게 사군자를 배우는 등 독자적인 미술 공부로 자신만의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다. 1967년 중년의 나이에 홍익대 교수를 시작으로 다시 화가로서 입지를 다졌다. 1971년 반도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고 1975년 이후 국.. 2012. 3. 2.
정형적 산수에서 이상적 풍경으로, 노수현(1899 ~ 1978)의 그림 정형적 산수에서 이상적 풍경으로, 노수현(1899 ~ 1978)의 그림 심산노수현필신록도(心汕盧壽鉉筆新綠圖) <산수, 연대미상> 고산유수 계산정취(조강도) 청일 하계우거 송하 관폭도 노수현. 한국화가. 호는 심산(心汕). 황해도 곡산(谷山) 출신. 재석(載錫)의 장남으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 2012. 2. 24.
토속적 에로티시즘의 세계, 최영림(1916 ~ 1985)의 그림 토속적 에로티시즘의 세계, 최영림(1916 ~ 1985)의 그림 최영림. 한국의 서양화가. 1950년대에는 추상과 반추상 형식의 실험적 양식을 시도했고 1960년대에는 구상으로 되돌아와 한국인의 서정이 담긴 것들을 토속적이고 해학적인 미로 표현했다. 평남 평양 출생. 1938년에 동경에 가서 한때 태평양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고, 판화가 무나가타에게 개인적으로 목판화 기법을 사사받은 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4회 입선하였다. 평양에서 조국 광복을 맞이하여 공산치하에서 표현의 자유를 구속받다가 6·25전쟁 때 남한으로 탈출, 1955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참가하여 추천작가·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지냈다. 한국 전쟁 이전의 작품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0년대의 작품은 ‘흑색시기’로, 추상과 반추상형식의 실.. 2012. 2. 18.
감동적이고 황홀한 한국의 모습, 박고석(1917 ~ 2002)의 그림 감동적이고 황홀한 한국의 모습, 박고석(1917 ~ 2002)의 그림 문경새재 1978 설악청경 1992 용아능선 1972 흑산도 범일동 풍경 도봉산, 45.5 x 53 1981 유채 백양산, 60.6 x 72.8 1987 유채 마등령, 45.5 x 53 1989 유채 울릉도, 45.5 x 53 1981 유채 도봉산의 가을, 53 x 45.5 1982 유채 홍도.. 종이에 연필 / 1970년 외설악.. 수채 / 1980 외설악.. 유채 / 1984 홍도 나무 여수 대성목재 소공동 항구 탑 ‘제주도 성판악’ 23.5X17.7 1971작 박고석. 서양화가. 독실한 그리스도교 집안에서 4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숭실중학교를 거쳐 1935년 일본대학 예술학과에 입학하여 일본 화가들과 함께 격조전(格調展)을 열.. 2012.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