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화가 100인 작품100

장두건 (1918~ )의 사실주의 화풍 장두건 (1918~ )의 사실주의 화풍 6월의 풍경 *20F(73cm x 61cm) 캔버스에 유채 1989 반월사리 해변2 *10F(53cm x 45cm) 캔버스에 유채 1969 잔설(殘雪) *10F(53cm x 45cm) Oil on canvas 1998 추석날의 두 시골처녀 *10P(53cm x 41cm) Oil on canvas 1999 한탄강변의 봄 *10F(53cm x 45cm) 캔버스에 유채 1990 학들의 낙원/2000/200P/oil on canvas 식탁위의 장미/1959/25F/oil on canvas/개인소장 강화도의 마을의 봄/1978/10F/oil on canvas 백자위에 모란/1980/10F/oil on canvas/개인소장 장미의 꿈 1/1990/100F/유화, oil on .. 2013. 3. 28.
흔적 혹은 경계에서의 존재방식, 정점식(1917 ~ 2006)의 그림 흔적 혹은 경계에서의 존재방식, 정점식(1917 ~ 2006)의 그림 꼴라주, 1995, 76x106.5cm, 종이에 아크릴릭 카리아티드, 1971, 74.7x49.3cm, 하드보드에 유채 실루엣, 1957, 85x50.5cm, 캔버스에 유채 토양, 1993, 113x148.7cm, 캔버스에 유채 형상, 1982, 116x89.5cm, 캔버스에 유채 바람의 노래, 1989 형상, 1993 형상, 1996 무제, 캔버스에 유채, 127x159cm. 1986 타천사(墮天使), 종이에 아크릴릭, 72x100.5cm. 1989 누드 형상 환상 환상 회화 정점식. 서양화가. 1917년 경북 성주군에서 태어나 1941년 일본과 해외수학을 거쳐 대구의 계성학교와 계명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써온 미술교육자.. 2013. 3. 21.
월북화가 길진섭(吉鎭燮.1907∼1975)의 그림 월북화가 길진섭(吉鎭燮.1907∼1975)의 그림 길진섭(吉鎭燮.1907∼1975) 서양화가. 평양 출생. 3ㆍ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인 길선주 목사의 아들. 1932년 일본 동경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한 뒤, 서울에서 작품활동을 하며 민족사회의 서화협회전람회에 참가하였고, 1934년 이종우·장발·구본웅·김용준 등과 양화단체 목일회를 조직하고 동인작품전 활동을 시도하였으나, 일제식민지정책의 조선미술전람회를 외면한 일 등으로 탄압을 받다가 1938년에 와해되었다. 1940년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을 때, 윤희순은 ‘현대적인 표현감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라고 평문에 썼다. 현존하는 그 시기의 작품인 등에서 그러한 특질과 세련성이 확인된다. 1946년 서울대학교가 개교될 때 미술학부 교수로 취.. 2013. 3. 14.
문(文). 사(史). 철(哲)을 겸비한 근원 김용준(金瑢俊.1904∼1967)의 그림 문(文). 사(史). 철(哲)을 겸비한 근원 김용준(金瑢俊.1904∼1967)의 그림 김용준. 화가ㆍ미술평론가ㆍ한국미술사학자. 호는 근원(近園). 대구 출생. 서울에서 중앙고등보통학교에 다닐 때인 1924년 제3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유화 으로 입선하는 등 재능을 나타내었고, 동경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유학하여 1931년에 오지호(吳之湖)와 동기생으로 졸업하였다. 그 무렵 우리나라 서양화 제1세대로 파리에서 공부한 이종우가 연 도화교실에서 김주경ㆍ길진섭ㆍ이마동ㆍ구본웅 등과 함께 서양화를 배웠다. 1926년 일본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들어가 길진섭·오지호와 사귀었다. 그의 사사나 교류는 당시 일본에서 일어난 반(反) 아카데미즘과 함께 그의 화풍을 인상주의 경향으로 몰고 갔다. 도쿄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 .. 2013. 3. 7.
고예독왕(孤詣獨往), 박노수(1927 ~ 2013)의 그림 고예독왕(孤詣獨往), 박노수(1927 ~ 2013)의 그림 (산.1988) (달과 소년.1970) (고사.1973) (수렵도.1961) (월하유록도.1970) (부귀화.1970) (선소운.1954) (백로.1972) 무심 류하(柳下)_70년대중반_화선지에 수묵 담채_97 x 179. 무제 박노수(朴魯壽.1927.2.17~2013.2.25). 동양화가. 충남 연기 출생. 호는 남정(藍丁). 간결하면서도 고답적인 문인화에 북화적인 감각적 색채를 많이 썼다. 1949년 서울대학교 미술학부 제1회로 들어가 이상범ㆍ장우성에게 배웠다.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연이어 특선과 대통령상을 받았고, 1957년 국전 추천작가를 거쳐 1969년 초대작가가 되었다. 195.. 2013. 2. 28.
삶의 노래, 조경주(1968 ~ )의 그림 삶의 노래, 조경주(1968 ~ )의 그림 작 품 명 : 삶의노래 작품규격 : 변형40호(43cm x 95cm) 장 르 : Mixed Media on canvas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삶의노래 - 고독 작품규격 : 6F(41cm x 32cm) 장 르 : Mixed media on canvas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삶의 노래 작품규격 : 변형50호(31cm x 112cm) 장 르 : Mixed Media on canvas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삶의 노래 작품규격 : 30F(72cm x 91cm) 장 르 : Mixed Media on canvas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삶의 노래 작품규격 : 8F(38cm x 45.5cm) 장 르 : Mixed Medi.. 2013. 2. 21.
걸레 스님 중광(重光.1934∼2002)의 그림 걸레 스님 중광(重光.1934∼2002)의 그림 중광. 승려ㆍ화가. 속명은 고창률(高昌律). 제주도 출생. 제주중학교 졸업. 1960년 26세 때 경상남도 양산의 통도사로 출가하였으나 불교의 계율에 얽매이지 않는 기행 때문에 1979년 승적을 박탈당하였다. 그러나 선화(禪畵)의 영역에서 파격적인 필치로 독보적인 세계를 구축하여 명성을 얻었다. 1977년 영국 왕립 아시아학회에 참석해 라는 자작시를 낭송한 후 '걸레스님'으로 불렸다. 미국 뉴욕의 록펠러재단과 샌프란시스코 동양박물관, 대영박물관 등에 그의 그림이 소장되어 있다. 중광의 일화는 김수용 감독의 영화 (1986)로 만들어졌고, 이두용 감독의 영화 (1990)에는 직접 출연하기도 하였다. 막걸리통에 소주를 담아 마시는 등 과도한 음주와 줄담배로 건.. 2013. 2. 14.
한국의 얼과 혼을 표현한 작가 김철겸(1955 ~ )의 그림 한국의 얼과 혼을 표현한 작가 김철겸(1955 ~ )의 그림 작 품 명 : 성화 작품규격 : 12P(46cm x 61cm) 장 르 : Mixed media(마 먹 아크릴) 창작년도 : 2008 달빛 언덕길 작 품 명 : 성벽 작품규격 : 12P(60.5cm x 45.5cm) 장 르 : Mixed media(마 먹 아크릴)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나를 따르라 작품규격 : 12P(60.5cm x 46cm) 장 르 : Mixed media(마 먹 아크릴)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돌담 작품규격 : 변형12호(60.5cm x 38cm) 장 르 : Mixed media(마 먹 아크릴) 창작년도 : 2008 작 품 명 : 빨래터 작품규격 : 12F(50cm x 61cm) 장 르 : Mixed.. 2013. 2. 7.
남화 역사의 산 증인, 남농 허건(1908 ~ 1987)의 그림 남화 역사의 산 증인, 남농 허건(1908 ~ 1987)의 그림 허건. 한국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호는 남농(南農). 전라남도 진도 출생. 19세기 남종화의 대가인 연(鍊)의 손자이며, 직업 화가였던 형(瀅)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집안 전래의 그림 재능을 나타냈으나 화가 생활의 빈궁함을 대물림하지 않게 하려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목포상업전수학원에 들어가 상업을 공부하였다. 그런 가운데에도 타고난 그림 자질이 독학으로 발휘되어, 1930년 조선미술전람회 동양화부에 수묵 담채 : 빛이 엷은 먹물과 엷은 채색)의 사실적 풍경화가 첫 입선한 뒤로, 1944년까지 연달아 입선과 특선에 오르면서 전통 화단에 진출하였다. 1940년의 수묵 채색화 「금강산 보덕굴」과 같은 무렵의 「산촌」은 현존하는 광복 전의 .. 2013. 1. 31.
기억의 흔적 그리고 모더니티, 남관(1911~1990)의 그림 기억의 흔적 그리고 모더니티, 남관(1911~1990)의 그림 철야경자(1953년 작) 방랑자의꿈 환상 겨울아침의형태 옛대화 태고상 삐에로 삐에로의가족 추상 무제 지중해의 인상 남관. 서양화가. 본관은 영양(英陽). 경상북도 청송 출생. 14세 때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935년 동경의 다이헤이요미술학교(太平洋美術學校)를 졸업하고, 이어서 2년간의 연구 과정을 수료하였다. 미술학교 수료 후에 광복 직후 귀국할 때까지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작가로서의 기반을 닦았다. 이 시기 동경의 문부성미술전(文部省美術展)·동광회전(東光會展)·국화회전(國畵會展) 등에 출품하였던 작품은 서정적 색감과 표현적 자율성의 인물화와 풍경화였다. 귀국하여 서울에 정착해서는 1947년 이쾌대·이인성(李仁星)·이규상(李揆.. 2013. 1. 25.
동양화가 이당 김은호(1892∼1979)의 그림 동양화가 이당 김은호(1892∼1979)의 그림 成春香 三仙圖 논개,춘향,아랑 看星 濠上知樂 舞姬圖 純宗 肖像 諧謔圖 朱論介 족두리 승무 김은호(1892∼1979). 한국화가. 본관은 상산(商山). 초명은 양은(良殷), 호는 이당(以堂). 인천 구읍면 향교리(지금의 관교동)에서 농가의 2대 독자로 태어났다. 1912년 8월 서울의 서화미술회 화과에 입학하여 조석진·안중식의 제자로 전통 회화 기법을 배웠다. 1915년에 화과(畵科) 과정을 졸업하고, 1917년에는 서과(書科) 과정도 수료하였다. 서화미술회에서 그림을 배울 때인 1912년 창덕궁의 하명으로 순종의 반신상 어용(御容: 임금의 초상을 높여서 일컫는 말)을 그렸다. 그리고 시천교(侍天敎) 측의 의뢰로 1913년에는 동학의 교조 최제우, 1915년.. 2013. 1. 18.
한국화의 거장, 이유태(1916-1999)의 그림 한국화의 거장, 이유태(1916-1999)의 그림 이유태(1916-1999) 한국화가. 본관은 태안(泰安). 호는 현초(玄艸). 서울 출생. 1935년 김은호(金殷鎬, 號는 以堂)에게 입문사사, 섬세한 사실적 채색화 기법을 수학했다. 1936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에 연달아 입선하고 1943-44년에는 「여인」 3부작(호암미술관)과 「인물 일대」(국립현대미술관)가 특선 및 수상하며 전통화단의 신예로 부각되었다. 그에 앞서 1938∼40년에는 도쿄의 데니코쿠미술학교에 유학, 작품기량의 폭을 넓혔다. 국권회복의 광복 후 1946∼48년에는 민족적 전통회화의 새로운 창조적 계승을 앞세운 청년작가 모임이던 단구미술원의 동인작품전에 가담했고, 1947년부터는 이화여자대학교 미술학부 교수가 되어 1977년 정년퇴임할 .. 2013.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