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목월10

3월로 건너가는 길목에서 3월로 건너가는 길목에서 박목월(1918~1979) 2월에서 3월로 건너가는 바람결에는 싱그러운 미나리 냄새가 풍긴다. 해외로 나간 친구의 체온이 느껴진다. 참으로 2월에서 3월로 건너가는 골목길에는 손만 대면 모든 사업이 다 이루어질 것만 같다. 동·서·남·북으로 틔어 있는 골목마다 수국색(水菊色) 공기가 술렁거리고 뜻하지 않게 반가운 친구를 다음 골목에서 만날 것만 같다. 나도 모르게 약간 걸음걸이가 빨라지는 어제 오늘. 어디서나 분홍빛 발을 아장거리며 내 앞을 걸어가는 비둘기를 만나게 된다. ㅡ무슨 일을 하고 싶다. ㅡ엄청나고도 착한 일을 하고 싶다. ㅡ나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다 2월에서 3월로 건너가는 바람 속에는 끊임없이 종소리가 울려오고 나의 겨드랑이에 날개가 돋아난다. 희고도 큼직한.. 2024. 2. 28.
박목월 유고 시집 『크고 부드러운 손』 박목월 유고 시집 『크고 부드러운 손』 박목월1(1916 ~ 1978) 시인은 말년에 쓴, 그래서 유고 시집이 되고 만, 이 시집에서 생명의 가치에 대해 묻고 있다. 그는 어디서부터 인간은 생명을 부여받아 이 세상에서 살아가게 되는 것인가에 대하여 적고 있다. 그리고 이 물음은 한 인간으로 살아가며 만나게 되는 혈연의 인연을 타고 흐르는 사랑이라든가 애틋한 인정이라는 것이 넝쿨장미처럼 한 가지에 수많은 꽃으로 피어나는 신비하고 뜨거운 삶의 실체를 드러내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이 시집의 목월 시에는 인간이기에 겪게 되는 삶의 구비진 어려움을 그 구비 구비마다 절망을 호소하고 절망을 벗어나는 밧줄을 움켜잡고자하는 기원의 호소들이 담겨져 있어 끝없는 감동과 여운을 안겨준다. 3월로 건너가는 길목에서 2월에서.. 2015. 3. 4.
사력질(砂礫質) / 박목월 사력질(砂礫質) / 박목월 1. 하나 시멘트 바닥에 그것은 바싹 깨어졌다. 중심일수록 가루가 된 접시. 정결한 옥쇄(玉碎)(터지는 매화포(梅花砲)) 받드는 것은 한 번은 가루가 된다. 외곽일수록 원형(原形)을 의지(意志)하는 그 싸늘한 질서. 파편은 저만치 하나. 냉엄한 절규. 모가 날카롭게 빛난다. 2. 얼굴 어제는 눈시울을 적시며 마리린 몬로의 생애를 텔레비전에서 보았다. 허용되지 않는 그녀의 인간적인 몸부림. 죽음의 밤의 불빛 새는 방문 밑으로 기어간 배암. 절단된 세계의 꿈틀거리는 전화 코오드 는 늘어지고, 절벽에서 추락하는 한 여인의 산발(散髮)과 절규는 굳어진 채 오늘은 지구의 이편. 한국의 담벼락에 나붙은 인쇄된 얼굴. 웃는 채로 찢겨져 있었다. 3. 틀 하나의 틀에 끼워진다. 액자 속의 얼.. 2014. 10. 1.
3인 시집 『청록집(靑鹿集)』 3인 시집 『청록집(靑鹿集)』 조지훈ㆍ박목월ㆍ박두진이 1946년 6월 [을유문화사]를 통해 간행한 은 해방 후 처음 나타난 창작 시집이다. 이한직(李漢稷), 김종한(金鍾漢)과 함께 [문장](1939)지 출신인 이들은 선자(選者) 정지용(鄭芝溶)이 해방 후 좌경(左傾)한 것과는 달리 모두 민족진영에 몸담아 작품으로 ‘순수문학’의 우수성을 실증한다. 김춘수(金春洙)가 지적한 것처럼 ‘일제말 몇 해를 한국어와 한국 고유의 정서에 굶주려 온’ 우리에게 은 ‘말라붙은 겨레의 심정을 적셔 준’ 것이다. “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암흑기의 우리들에게는 마지막의 거처요, 모국어에 대한 애정이었어요. 그래서 쓴 시들은 정서(淨書)해서 항아리 속에 감추었다가 해방이 되자 도로 파내 간추렸습니다.” 산그늘 박목월 장독 뒤 울.. 2014. 1. 27.
박목월 시집 『산도화』 박목월 시집 『산도화』 1955년 영웅출판사에서 발간한 박목월의 첫 개인시집으로 공동시집인 『청록집』의 시 세계와 유사하다. 이 시집 역시 서경성이 돋보이며, 간결하고 짤막한 시형과 자연친화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전체적으로 서경적인 묘사에 치중하면서 서정으로의 변이를 꾀한다든지, 종결부에 포인트를 두는 수법은 「윤사월」이나 「청노루」와 흡사하다. 그 중 「산도화」는 1‧2‧3편 모두 서경적인 경치 묘사로 이루어져 있고, 인간적인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있다. 시인은 고요하고 적막한 풍경 속에서 오직 생명들의 움직임만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있다. 산도화의 개화, 암사슴의 움직임, 새소리, 햇살 이 모든 것은 인간의 세계와는 떨어져 있는 자연의 비경(秘境)으로서, 시인은 단지 숨죽여 이를 지켜보고 있을 뿐이.. 2013. 8. 26.
먼 사람에게 / 박목월 먼 사람에게 박목월 (1916 ~ 1978) 팔을 저으며 당신은 거리를 걸어가리라. 먼 사람아. 팔을 저으며 나는 거리를 걸어간다. 그 적막. 그 안도. 먼 사람아. 먼 사람아. 내 팔에 어려오는 그 서운한 반원(半圓). 내 팔에 어려 오는 슬픈 운명의 그 보랏빛 무지개처럼……. 무지개처럼 나는 팔이 소실한다. 손을 들어 당신을 부르리라. 먼 사람아. 당신을 부르는 내 손끝에 일월(日月)의 순조로운 순환. 아아 연한 채찍처럼 채찍이 운다. 먼 사람아. 시를 읽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저는 이 시를 박목월 시인이 쓴 연시(戀詩) 중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별의 노래', '방문'과 같은 시의 연속선상에서 읽어야 하는 내용이 아닐까 하는 것이지요. 화자는 오늘도 나는 팔을 저으며 거리를 .. 2012. 2. 13.
방문 / 박목월 방문 박목월 (1916 ~ 1978) --- 白髮이 되고, 이승을 하직할 무렵에 한번 더 만나보려니 소원했던 사람을 이제 방문하게 되었다. 덧없이 흐른 세월이여. 끝없이 눈발이 내리는구나. 그를 방문했다. 쓸쓸한 미소가 마련되었다. 그를 방문했다. 내가 가는 길에 눈이 뿌렸다. 그는 집에 있었다. 하얗게 마른 꽃대궁이. 그는 나를 영접했다. 손을 맞아들이는 응접실에서. 그의 눈에는 영원히 멎지 않을 눈발이 어렸다. 나의 눈에도 눈발이 내린다. 사람의 인연이란 꿈이 오가는 통로에 가볍게 울리는 응답. 차가 나왔다. 손님으로서 조용히 드는 잔. 담담하고 향기로운 것이 八分쯤 잔에 차 있다. 그를 방문했다. 쓸쓸한 미소가 마련되었다. 겨우 그를 하직했다. 하직맙시다. 이것은 동양적인 하직의 인사. 이 시는 목.. 2011. 12. 12.
이별의 노래 / 박목월 이별의 노래 박목월(1916 ~ 1978) 기러기 울어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아 아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한낮이 끝나면 밤이 오듯이 우리에 사랑도 저물었네 아아 아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산촌에 눈이 쌓인 어느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 울리라 아아 아아 .. 2011. 11. 7.
하관(下棺) / 박목월 하관(下棺) 박목월 (1916 ~ 1978) 관(棺)을 내렸다. 깊은 가슴 안에 밧줄로 달아내리듯 주여 용납하옵소서 머리맡에 성경을 얹어 주고 나는 옷자락에 흙을 받아 좌르르 하직했다. 그 후로 그를 꿈에서 만났다. 턱이 긴 얼굴이 나를 돌아보고 형님! 불렀다. 오오냐 나는 전신으로 대답했다. 그래도 그는 못 들었으리라 이제 네 음성을 나만 듣는 여기는 눈과 비가 오는 세상. 너는 어디로 갔느냐 그 어질고 안쓰럽고 다정한 눈짓을 하고 형님! 부르는 목소리는 들리는데 내 목소리는 미치지 못하는 다만 여기는 열매가 떨어지면 툭하고 소리가 들리는 세상. 이 시를 읽으니 목월의 이별가. 뭐락카노 뭐락카노 뭐락카노 / 니 흰 옷자라기만 펄럭거리고…… 그 시가 생각나네요. 동생이 먼저 세상을 떴나봅니다. 꿈에서 턱.. 2011. 5. 21.
이별가(離別歌) / 박목월 이별가(離別歌) 박목월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뭐락카노, 바람에 불려서 이승 아니믄 저승으로 떠나는 뱃머리에서 나의 목소리도 바람에 날려서 뭐락카노 뭐락카노 썩어서 동아밧줄은 삭아 내리는데 하직을 말자, 하직을 말자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뭐락카노 뭐락카노 뭐락.. 2009.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