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현대소설

유현종 장편소설 『들불』

by 언덕에서 2024. 4. 24.

 

 

유현종 장편소설 『들불』

 

유현종(劉賢鍾, 1940~)의 장편 역사소설로 [현대문학] 1972년 11월∼1974년 5월에 연재되었다. 1961년 <뜻있을 수 없는 이 돌멩이>로 [자유문학] 신인상을 받음으로써 작품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처음엔 <거인> <섬진강> 등을 통해 부조리한 상황에 대결하는 초인적 의지의 세계를 추구했다. 1975년 <연개소문>을 [동아일보]에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역사소설 작가로 명성을 날리기 시작하여, 이후 <임꺽정> <삼별초> <천년한> <서경별곡> 등을 잇달아 발표하였다.

 이 작품 역시 이 계열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민족사의 최대 민중운동이었던 동학농민운동을 다루었다. 조선조 말 고종 조를 배경으로, 열강의 각축장이 되어 버린 조선 땅 농민들의 통한(痛恨)을 다룬 이야기이다.

 작가의 고향에서 마을의 전설적인 영웅으로 구전되어 온 임여삼을 주인공으로 하여 민중 스스로 겪고 자각하여 들불처럼 일어선 과정을 한국적 가락으로 담아내었다. 서구적인 발상에서 벗어난 우리 양식을 시도한 소설로, 그리고 남사당 등 서민사(庶民史)를 통해 민중 의식의 원류를 찾아 우리 것을 재발견하고자 한 소설로 평가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이웃 농민들이 관폐의 학정을 참지 못하자, 순박한 농민이자 씨름 장사인 임호한은 민란을 일으키고, 현감을 죽인 후 재물을 나눠주며 도망친다. 그의 아들 여삼, 딸 상녀 그리고 아내는 관노가 되어 억압적인 삶을 살게 된다.

 여삼은 신관 사또에게 충실한 관노로 길들여져 아무런 저항 없이 명령을 따른다. 그의 어머니는 굶어죽고 누이 상녀는 사또 최동진의 몸종이자 첩이 된다. 한편, 여삼은 왜싸전에 가서 비단과 금을 구입하면서 상인 전풍과 교분을 맺게 된다.

 여삼의 친구 곽무출이 사또 암살을 시도하다 붙잡히고 여삼은 무출을 도피시키려다 벌을 받는다. 그 후 여삼은 옥을 부수고 탈출해 왜싸전으로 도망가고 화룡산의 도적들과 동학교도들과 엮이며 점차 동학 농민군에 합류하게 된다.

 동학군은 관군과의 전투에서 신식 무기 때문에 고전하지만 여삼은 신들린 듯 전투에 나서 적을 처치하고 동학군의 승리를 이끈다. 이후 동학군은 전주성을 탈환하며 탐관오리들을 숙청한다. 그러나 일본과 청의 개입으로 동학군은 큰 위기에 처하고, 전봉준은 자진 해산을 명령한다.

 여삼은 동학군의 패배 이후 다시 돌아와 전쟁의 참상을 경험한다. 누이 상녀가 자살하고 여삼은 왜놈 첩자가 된 곽무출과 재회한다. 결국, 동학군은 일본군에게 처참히 패배하고 여삼은 부상을 입은 채 걸어간다. 옥이는 여삼을 끝까지 믿으며 이야기가 끝난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이끈 녹두장군 전봉준(1855~95)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압송사진 출처 : 서산시대(http://www.sstimes.kr)

 

 유현종의 작품은 대개가 저변 인간의 부조리에 대한 투쟁과 그 현실 의식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동학 농민 전쟁은 우리나라 근대 민중 항쟁사에 있어서 커다란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따라서, 역사학계에서도 이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따져보고, 역사적 진실과 실체를 제시하는 데 많은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동학혁명은 아직도 미해결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20만∼50만 명이 죽고, 청ㆍ일 두 나라가 이 땅에 들어와 전쟁을 벌여 조선의 봉건제도 자체가 뿌리째 흔들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많은 문학 작품에서도 이를 주제로 다루고 그림과 판소리에서도 소재로 삼기도 했다.

 

 

 그런데 그러한 작품들에는 그 실상과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거나 이해하지 못하고 형상화한 부분이 너무나 많았다. 더욱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정의 부정부패에만 초점을 맞춘다든지, 농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그리기에만 열중한다든지, 동학 교단을 전적으로 그 추진의 주체로 이해한다든지 하는 등, 그 사건 자체의 전개 과정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작품에 손대는 미숙성을 보였다.

 현재 동학 농민항쟁을 소재로 한 소설들은 거의 이런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있어, 역사소설로서 실패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적어도 역사소설은 현대 소설보다 또 다른 제약을 받는다고 보아야 한다. 그것은 그 역사적 사건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고 나서, 허구를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다가 그 당시의 생활, 풍속, 언어가 생생히 살아나야 한다. 이런 소도구들이 제대로 어우러져야 역사소설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유현종의  장편소설「들불」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성공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