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自由市) 사변(事變)
1921년 [대한독립군단]이 러시아령(露領) 자유시(自由市)에서 레닌의 적위군(赤衛軍)과 혈전을 벌인 사건이다.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 흑하(흑룡강, 黑河(헤이허)사변(事變), 흑하참변 등으로도 불린다. 자유시는 러시아 제야 강(Zeya river)변에 위치한 ‘알렉세예브스크(Alekseyevsk)’ 마을이며, 현재는 ☞‘스바보드니(Svobodny)’라는 지명으로 불린다. 러시아어로 ‘스바보다(Svoboda)’가 ‘자유’를 뜻하기 때문에 ‘자유시’라고 불렸다. 그리고 제야 강이 흘러 흑룡강(黑龍江)과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중국의 국경도시 헤이허[黑河]의 지명을 따서 '흑하 사변'이라고도 한다.
1920년 청산리 전투가 있은 후 일본군의 대부대들이 만주 전역에 걸쳐 강력한 보복작전을 전개하므로, 만주에 있는 한인독립군 부대들은 일제히 흑룡강 근처 북만주 국경지대로 집결했다. '북로군정서ㆍ대한독립단ㆍ간도국민회ㆍ대한신민회ㆍ의군부ㆍ혈성단ㆍ광복단ㆍ도독부ㆍ약단(野團)ㆍ대한정의군정사' 등 국경지대에 모인 10개 독립군 부대는 이해 12월 [대한독립군단]으로 통합되어 총재에 서일, 부총재에 김좌진ㆍ홍범도ㆍ조성환, 총사령에 김규식, 참모총장에 이장녕, 여단장에 지청천이 취임, 행동 통일을 결의했다.
1921년 1월 [대한독립군단]은 흑룡강을 건너 러시아령 자유시 이만 일대에 주둔, 레닌 정권의 치타 지방정부와 협정을 맺어 독립군의 실력 양성을 꾀하였다. 무기와 물자의 원조를 위하여 때로는 본의 아닌 백위군(白衛軍) 토벌작전에도 종군하면서 고려혁명군사관학교를 설립, 지청천이 교장이 되어 유능한 청년사관의 양성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 해에 소련 정부 대표 카라한과 일본 공사 요시자와(芳澤)가 중국 북경(北京)에서 캄차카반도 연안의 어업권에 관한 협정을 맺었는데, 이 자리에서 요시자와는 카라한에게 “소련 영토 안에서 일본에 대적하는 한인 독립군을 육성하면, 양국 간의 우호관계에 큰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협하니, 혁명 후 국력이 쇠약한 소련은 일본과의 불화를 경계하여 한인 독립군의 무장을 해제시키겠다고 약속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해 6월 22일 소련군은 이만 일대의 한인 독립군에게 무조건 무장해제를 요구했다. 이에 한인 독립군은 "피압박 민족의 해방을 위해 투쟁한다."는 레닌 정권의 허울 좋은 구호를 지적하여 강력히 항의하며 거부하자, 6월 28일 이미 소련군은 독립군 내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함께 이중으로 한인 독립군을 포위하여 장갑차와 기관총을 앞세워 기습 공격했다. 사망자와 실종자가 최대 500명에 달했고 포로로 잡혀 붉은 군대에 끌려간 이도 1000명에 가까웠다.
이 싸움에서 한인 독립군은 최후의 1인까지 민족적 절의를 위해 사투할 결의를 가지고 결사적 항전을 감행했다. 그 결과, 전사자 272명, 피포자 917명, 행방불명자 250명, 익사자 31명을 내고 흑룡강을 건너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당시 독립군 사령관이며, 고려혁명군사관학교장이던 지청천은 적에게 집혀 투옥되었으며. 그 외의 피포자들은 일크츠크의 감옥에서 사형을 당하기도 하고, 북방 시베리아의 강제노동장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그 뒤 상해임시정부와 각 애국단체가 소련 정부에 강력한 항의를 제출하자, 레닌은 외국 혁명가를 임의로 처형할 수 없는 국제법상의 관례에 의해 지청천을 석방하여 보냈다.
스보보드니 외곽에는 2017년 시 당국과 고려공산당 후손들이 세운 추모비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있다.
‘1921년 이 땅에서 희생된 한인들이 잠들다. 다시는 우리끼리 싸우는 일이 없기를.’
독립군 세력 간 내부 갈등이 있었다지만 독립군끼리 싸웠다기보다는 일본군의 연해주 철군을 바랐던 소련이 독립군을 유인해 학살했다는 사실은 하나만은 분명하다.
[팩트체크] '자유시 참변'은 일본의 사주로 일어났다?
(전략) 자유시 참변은 해외 한인 사회주의 세력을 약화시켰으며 이후 항일무장투쟁에 큰 짐을 지웠다. 자유시 참변의 직접적인 원인은 독립군 부대 간의 주도권 다툼이었지만, 이면에는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간의 뿌리 깊은 반목과 갈등이 있었다. 러시아공산당의 일관성 없는 정책과 내부 알력도 자유시 참변의 한 원인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상해파는 러시아공산당 극동국의 지지를 받은 반면 이르쿠츠크파는 러시아공산당 시베리아국과 연결돼 있었다. 2020년 논문 '소비에트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과 초기 한인사회주의 세력의 갈등'(오세호)에선 "해당 연구들은 통합한인부대의 지휘권을 둘러싸고 발생한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정치적 갈등을 자유시 사변의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며 "그러나 한인 사회주의자들의 갈등만으로는 그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 이를 둘러싼 소비에트러시아의 정책, 그리고 한인부대 통합 과정에서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유시사변이 발생한 것으로 보는 선행 연구들의 시각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비춰보면 일부 언론 보도처럼 자유시 참변을 일본과 결탁한 러시아공산당이 한인 독립군 부대들을 학살한 사건으로 볼 수는 없다. 자유시 참변은 모스크바의 공산당 수뇌부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다뤘다.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2021년 11월 이르쿠츠크파의 반발에도 '한국위원회'를 구성해 자유시 참변의 진상을 조사한 뒤 피해자들의 원상회복과 양 세력의 통합 추진 결정으로 상해파의 손을 들어줬다.
러시아공산당과 극동공화국은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고 백군 격퇴에 집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으며, 이를 위해 극동공화국 영내 일본군에 적대적인 군대의 주둔을 금지하라는 일본 측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한인 독립군도 극동공화국 내에 공공연히 주둔할 수 없었지만 협력은 지속됐다. 간도 독립군이 자유시로 이동할 때 일시적인 무장해제를 요구한 것과 자유시에 주둔한 한인 부대들을 러시아혁명군 산하 부대로 편성한 것도 같은 이유였다. 자유시에서 결성된 고려혁명군은 당초 바로 만주로 출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2021년 8월 시베리아 주둔 일본군을 철수시키기 위한 극동공화국과 일본의 협상인 '대련회담'이 열리면서 이르쿠츠크로 회군하게 됐다. 이는 정세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러시아공산당과 일본의 결탁이라고 하긴 어렵다.
대련회담이 결렬되기 전인 2021년 10월 일본군과 백군이 총공세로 극동 하바롭스크를 재점령하면서 러시아 내전의 최후 단계인 연해주해방전쟁이 시작됐으며, 한인 부대들은 적군 편에서 격전을 벌였다. 전투와 대치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러시아공산당이 일본의 요구로 한인 독립군들을 자유시에서 몰살했다고 하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 일본군이 2022년 10월에서야 철병 조약을 맺고 연해주에서 물러나면서 5년에 걸친 러시아 내전은 끝이 났다.
[연합뉴스] 2023. 9. 9. 07:05 abullapia@yna.co.kr
☞스보보드니(Svobodny, 러시아어: Свобо́дный) 시 :
러시아 아무르주의 도시로 2010년 러시아연방 인구조사에서 58,778명의 인구를 기록하였다. 1912년에 "알렉세예프스크"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에 스보보드니('자유로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한국인들은 의역을 하여 "자유시"로 불렀다. 1921년에는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이 일어났다. 1932년에는 바이칼-아무르 강제 노동수용소(Байкало-Амурский исправительно-трудовой лагерь, Бамлаг)가 들어서 1948년까지 운영되었다. 1935년 10월 당시 19만 3천 명의 수용자가 있어 소련 최대의 수용소였으며, 1938년에 그것은 여러 개의 수용소들로 나뉘었다.
스탈린 통치 시절 스보보드니 인근엔 정치범 강제수용소인 굴라크가 들어섰다. 독립군 출신과 고려인들도 끌려갔다고 한다. 이곳에선 비인간적인 처우와 가혹 행위가 난무했다. 1935년엔 수용자가 19만3000명에 달해 소련 최대 규모였다. 냉전 시대엔 스보보드니에 ‘보스토치니’라는 전략로켓군 기지가 들어섰고 핵미사일이 배치됐다. 세계에서 가장 긴 5100m짜리 활주로도 건설됐다. 이곳은 다시 2015년 러시아의 차세대 우주기지로 개발됐다. 우리 나로우주센터 면적의 110배다. 푸틴은 보스토치니 기지 건설에 한국 투자를 요청하기도 했다. 여기서 위성을 실은 소유스 로켓을 처음 쏘아 올리고 지난달엔 무인 달 탐사선도 발사했다. 2023년 9월 13일 보스토치니 기지에서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이 회담을 한 장소다.
☞독립운동가 지청천(池靑天. 1888∼1957) :
독립운동가. 본관 충주(忠州). 호 백산(白山). 본명 지대형(池大亨). 일명 이청천(李靑天). 서울 출생. 구한국 시대에 정부 파견으로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 1919년 탈출하여 3ㆍ1운동에 참가하였다. 그해 여름에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교성대장(敎成隊長)을 지내고,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군대를 이끌고 대한독립군단에 편입, 여단장이 되어 흑하사변(黑河事變) 때 소련군에 포로가 되어 고초를 겪었다. 1940년 임시정부 광복군 총사령에 임명되어 중국군과 협력하면서 항일투쟁을 계속했다. 8ㆍ15 해방 후 귀국하여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을 창설, 청년운동에 힘쓰고, 무임소장관, 민주국민당 상임최고위원, 제헌국회의원ㆍ제2대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훈장을 받았다.
☞독립운동가 홍범도(洪範圖. 1868∼1943) :
독립군 의병장. 1907년(융희 1)에 차도선ㆍ송상봉ㆍ허근 등과 갑산(甲山)에서 의병을 일으켜 후치령(厚致嶺)에서 일본 장교 미야베(宮部)의 중대 병력을 섬멸했고, 황수원(黃水院)ㆍ삼수(三水) 등지에서 전승하여 투쟁하다 만주로 망명, 포수단(砲手團)을 조직하여 만주 지방에서 활약했다.
1919년 3ㆍ1 운동 때는 동지를 규합하여 동남만(東南滿)과 노령(露領)을 근거로 기병(起兵), 동간도 국민회 소속 대한독립군 총사령관이 되어 1919년 가을 부하 2백여 명을 거느리고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와 일본 군대를 수차 격파하였다. 1920년 6월에는 일본 보병 19사단과 신미(新薇二郞)가 지휘하는 남양군(南陽郡) 수비대 약 1개 연대와 접전하여 만주 봉오동(鳳梧洞)에서 유격전으로 격파하여 대승리를 거두었다. 이 해 9월에 북로군정서 부대가 청산리에서 역시 일본군을 대파하였으나, 다시 일본군의 대부대가 만주 전역에 걸쳐 출동을 개시했으므로 부하 6백여 명을 거느리고 북로군정서의 김좌진 부대가 집결해 있는 밀산(密山)으로 이동, 지청천 부대와 여러 단체까지 통합, 대한독립단을 조직하고, 부총재에 취임했다. 그 후 노령 즉, 시베리아 지역으로 이동한 독립군단은 자유시를 근거지로 삼고 소련군과 긴밀한 접촉을 하였다. 그러나 1921년 6월 소련 공산당의 배반으로 독립군은 무장이 해제되고 포로가 되는 등 소위 '자유시참변'을 겪게 되었다.
1922년 6월 한국혁명군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고려공산당과 한족공산당이 통합하여 브라고에스첸스크에 고려중앙정청(高麗中央政廳)이 조직되자, 홍범도는 최진동·허근·안무 등과 함께 고등군인징모위원에 임명되어 활약하였다. 1923년 5월경에는 연해주 이만에서 김좌진ㆍ이청천ㆍ김규식ㆍ안무 등과 함께 조선독립단군정서의회를 열고 독립군의 모집, 무기ㆍ군복ㆍ양식 등의 보급 및 국내진입을 협의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러시아 혁명정부의 체제가 확고하여짐에 따라 이용가치가 없어진 독립군 간부들은 신변의 위협을 느끼게 되어 다시 여러 방면으로 분산되고 말았다. 그 후 그는 연해주지방에서 조국의 광복도 보지 못한 채 이역에서 별세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독립운동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백위군 :
1917년 러시아 혁명 때, 공산당의 적군(赤軍)에 대항하여 정권을 다시 찾으려고 왕당파가 조직한 반혁명군.
☞적위군 :
러시아 혁명 기간인 1918년 1월, 차르 정권을 뒤엎고 볼셰비키의 지도 아래 노동자들로 편성한 군대. 1918년부터 1946년까지의 소련 육군의 명칭으로 정식 명칭은 노농적군(勞農赤軍)이다. 1918년 l월의 인민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러시아혁명을 방위하고 세계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의 군사적 전위(前衛)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지원제로 발족하였다. 그 전신은 러시아 혁명의 과정에서 결성된 무장노동자 부대이다. 적군은 이것을 핵심으로 하여 계속되는 내전을 극복하기 위해 구제정(舊帝政)의 장교를 채용, 조직하였다. 또한 이 해 7월에는 징병제로 바꾸고, 18∼40세의 남자에 대하여 병역의무를 과했다. 내전 승리 후, 제l차 5개년계획 및 독일, 소련 군사협력에 의해 기계화가 추진되고, 1935년에는 혁명으로 폐지되었던 계급제(階級制)가 부활되었다. 마르크스는 상비군의 폐지를 ‘코뮌 국가’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삼았으나, 소련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강력한 상비군이 조직되어 이것이 국내정치면에서나 국제정치면에서 실력을 가지게 되었다. 1934년 적군의 지도기관은 국방인민위원부로 되고, 1938년의 스탈린 대숙청을 거쳐 1946년에 그 명칭은 해군인민위원부와 합병, ‘군사력성(軍事力省)’으로 개칭되었다가 1953년 국방성으로 되었다.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리'의 어원 (10) | 2023.09.08 |
---|---|
‘근사하다’의 어원 (16) | 2023.09.07 |
'숨바꼭질'의 어원 (12) | 2023.08.31 |
안국선 단편소설집 『공진회(共進會)』 (2) | 2023.08.29 |
‘숙주나물’의 어원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