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현대소설

이효석 단편소설 『산』

by 언덕에서 2023. 8. 30.

 

이효석 단편소설 『산』

 

 

이효석(李孝石, 1907∼1942)의 단편소설로 1936년 [삼천리]지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작가의 작품들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간형, 즉 향토적인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과의 교감으로 행복을 느끼고, 그 생활 속에서 자급자족하는 뭇 짐승들과 동화된 채 인위적인 사회 제도, 풍습, 습관, 윤리관의 밖에 존재하는 인간형을 서사시적인 문체로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효석의 빼어난 단편소설 중의 하나이다.

 이 작품은 자연의 미학 속에서 애욕의 순수한 미학이 부각되고 있는 작품으로 사실주의적이며 서정적이다. 향토 내음이 물씬 풍기는 어휘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금은 잘 쓰지 않는 사라진 우리말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수필적인 서정의 세계를 중실이라는 등장인물을 빌려 소설이란 그릇에 담았을 뿐이라 엄밀한 의미에서 소설이라고 보기 힘들다. 허구적 창작이라는 점에서 소설이기는 하지만 서사 중심이라는 소설 양식의 특징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자연에의 동화라는 이효석 문학의 한 주제가 서정적 문체로 표현되어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그러나 그의 자연 예찬은 현실 도피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작품이 지니는 탁월한 서정성과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체의 힘을 높이 사고 있으면서도 반문명적, 반사회적 자연 회귀라는 주제가 담고 있는 함정에 대하여는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중실은 머슴 산 지 칠 년 만에 아무것도 쥔 것 없이 맨주먹으로 쫓겨났다. 김영감의 첩(둥글개)을 건드렸다는 엉뚱한 오해로 그 집을 나오게 된 것이다. 그는 갈 곳이 없어 빈 지게를 걸머지고 산으로 들어간다. 그 넓은 산은 사람을 배반할 것 같지를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산에서 벌집을 찾아내어 담배 연기를 사용해 꿀을 얻었고, 산불 덕택에 노루를 얻어 여러 날 양식을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소금이었다. 어느 날, 그는 나무를 팔러 마을 장에 내려와 나무 판 돈으로 감자, 좁쌀, 소금, 냄비를 샀다. 그리고 김영감의 첩이 최서기와 줄행랑을 쳤다는 소식도 들었다. 지금쯤 머슴을 내쫓고 뉘우치고 있을 김영감을 위로하고 싶었으나, 그는 다시 산이 그리워져 물건들을 지게에 지고 산으로 올라갔다.

 그는 이웃집 용녀를 생각한다. 그녀와 더불어 오두막집을 짓고 감자밭을 일구며 염소, 돼지, 닭을 칠 것을 상상해 본다. 그리고 낙엽을 잠자리로 삼아 별을 헤면서 잠을 청한다. 하늘의 별이 와르르 얼굴 위에 쏟아질 듯싶게 가까웠다 멀어졌다 한다. 별을 세는 동안에 중실은 제 몸이 스스로 별이 됨을 느낀다.

 

소설가 이효석 (李孝石, 1907-1942)

 

 이 작품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잘 묘사하고 있다. '자연에의 동화'라는 이효석 문학의 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드러난 작품이다. 머슴살이에서 쫓겨난 '중실'이 산속에 들어가 자연의 일부가 되는, 별을 세다 별이 됨을 느끼는 서정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다만, 본격적 소설이 지니고 있는 현실감, 또는 서사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이다. 주인공 중실은 세상을 포기하고 자연으로 돌아가 자위ㆍ자족하는 인물로, 나무를 팔고 물건을 사고 할 때와 같이 즐거운 적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머슴이었을 때는 전혀 느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마을에 있으면서 산을 그리워하는 것은 세상의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주인공의 동경의 의지로 보인다. 이 단편 소설은 인간 본연의 것, 건강한 생명의 동력과 신비성을 다분히 시적인 분위기로 형상화해 내고 있다.

 중실은 나무들을 한 가족처럼 인식하고 있으며 나무들의 세계를 인간 세계로 여기고 자신을 나무처럼 여긴다. 또한, 중실의 자연은 인간이 돌아가 의지해야 할 가치적 대상이기보다는 일시적 위안이나 망각의 ‘뒤안길'에 불과하다. 특히 마지막 부분의 스스로 별이 됨을 느낀다는 대목에서 자연만이 있고, 인간은 배제된 몽환의 세계임이 드러남과 동시에 자연의 미학 속에서 끝내는 인간적인 애욕의 순수한 미학이 추구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긴박한 사건이나 복잡한 인간관계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 대신 맑은 하늘과 빽빽한 숲, 그리고 그 속에서 아무런 갈등도 없이 살아가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외형상으로는 소설이지만, 마치 아름다운 서정시 한 편을 읽는 듯한 기분을 준다. 이런 이유에서 혹자는 이 소설을 ‘시적 소설’이라 부르고, 작자 이효석을 ‘소설을 배반한 소설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평가는 소설은 심각한 사건과 인물을 등장시켜 인생과 사회생활의 여러 가지 의미를 진지하게 드러내야 한다는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이러한 삶의 복잡한 문제들을 시적인 표현으로 살짝 감추고 있다. 하늘의 모습을 묘사할 때, 그 모습이 마치 개암나무 열매를 깨물 때 나는 오도독하는 소리와 같다든가, 물고기 등같이 푸르다는 비유를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시적인 표현의 한 예다.

 그러나 작중 주인공의 지극한 자연애는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다 실패한 뒤에 선택하고자 하는 참다운 조화의 태도는 아니다. 이효석의 자연, 즉 '중실'의 자연은 인간이 돌아가 의지해야 할 가치적 대상이기보다는 일시적 위안이나 망각의 '뒤안길'에 불과하다. 별을 하나 둘 세는 사이에 제 몸이 스스로 별이 됨을 느낀다는 마지막 대목은 인간과 자연의 문제가 아니라, 자연만이 있고 인간은 배제된 몽환의 세계임을 드러낸다. 결국, 작가는 '중실'이라는 등장인물을 빌려서 서정성을 잠시 객관화했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은 엄밀한 의미의 소설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