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시집 감상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by 언덕에서 2013. 10. 7.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1985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로 등단한 기형도의 유고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처음이자 마지막이 된 이 시집은 일상 속에 내재하는 폭압과 공포의 심리 구조를 추억의 형식을 통해 독특하게 표현한 시 60편을 담고 있다. 그의 시 세계는 우울한 유년 시절과 부조리한 체험의 기억들을 기이하면서도 따뜻하며 처절하면서도 아름다운 시공간 속에 펼쳐 보인다.

 

숲으로 된 성벽

 

저녁 노을이 지면

신(神)들의 상점(商店)엔 하나 둘 불이 켜지고

농부들은 작은 당나귀들과 함께

성(城) 안으로 사라지는 것이었다

성벽은 울창한 숲으로 된 것이어서

누구나 사원(寺院)을 통과하는 구름 혹은

조용한 공기들이 되지 않으면

한 걸음도 들어갈 수 없는 아름답고

신비로운 그 성(城)


어느 골동품 상인(商人)이 그 숲을 찾아와

몇 개 큰 나무들을 잘라내고 들어갔다

그곳에는…아무것도 없었다, 그가 본 것은

쓰러진 나무들뿐, 잠시 후

그는 그 공터를 떠났다


농부들은 아직도 그 평화로운 성(城)에 살고 있다

물론 그 작은 당나귀들 역시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1989)-

 


봄날은 간다


 

햇빛은 분가루처럼 흩날리고

쉽사리 키가 변하는 그림자들은

한 장 열풍에 말려 둥글게 휘어지는구나

아무 때나 손을 흔드는

미루나무 얕은 그늘 속을 첨벙이며

2시착 시외버스도 떠난 지 오래인데

아까부터 서울집 툇마루에 앉은 여자

외상값처럼 밀려드는 대낮

신작로 위에는 흙먼지, 더러운 비닐들

빈 들판에 꽂혀 있는 저 희미한 연기들은

어느 쓸쓸한 풀잎의 자손들일까

밤마다 숱한 나무젓가락들은 두 쪽으로 갈라지고

사내들은 화투패마냥 모여들어 또 그렇게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져간다

여자가 속옷을 헹구는 시냇가엔

하룻밤새 없어져버린 풀꽃들

다시 흘러들어온 것들의 인사(人事)

흐린 알전구 아래 엉망으로 취한 군인은

몇 해 전 누이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고, 여자는

자신의 생을 계산하지 못한다

몇 번인가 아이를 지울 때 그랬듯이

습관적으로 주르르 눈물을 흘릴 뿐

끌어안은 무릎 사이에서

추억은 내용물 없이 떠오르고

소읍은 무서울이만치 고요하다, 누구일까

세숫대야 속에 삶은 달걀처럼 잠긴 얼굴은

봄날이 가면 그뿐

숙취는 몇 장 지전 속에서 구겨지는데

몇 개의 언덕을 넘어야 저 흙먼지들은

굳은 땅 속으로 하나둘 섞여들는지


-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 지성사 1989)

 

 

 시의 내용은 어떤 사건을 시적 동기로 삼고 있으며, 그 사건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인지는 알 수 없으나 시인이 활동하던 1980년대 중·후반의 시대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당시의 정치세력을 비판하던 저항세력의 고통을 엿볼 수 있다. 뭔가 사건이 일어났으나 현실에 대하여 방관자일 수밖에 없는 작가 자신의 두려움이 느껴진다. 이 두려움을 마지막 연에서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려 있는 검은 잎"이라고 쓰고 있다.



입 속의 검은 잎


택시 운전사는 어두운 창 밖으로 고개를 내밀어

이따금 고함을 친다, 그때마다 새들이 날아간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

나는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를 생각한다.


그 일이 터졌을 때 나는 먼 지방에 있었다.

먼지의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문을 열면 벌판에는 안개가 자욱했다.

그 해 여름 땅바닥은 책과 검은 잎들을 질질 끌고 다녔다.

접힌 옷가지를 펼칠 때마다 흰 연기가 튀어나왔다.

침묵은 하인에게 어울린다고 그는 썼다.

나는 그의 얼굴을 한 번 본 적이 있다.

신문에서였는데 고개를 조금 숙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일이 터졌다, 얼마 후 그가 죽었다.


그의 장례식은 거센 비바람으로 온통 번들거렸다.

죽은 그를 실은 차는 참을 수 없이 느릿느릿 나아갔다.

사람들은 장례식 행렬에 악착같이 매달렸고

백색의 차량 가득 검은 잎들은 나부꼈다.

나의 혀는 천천히 굳어갔다, 그의 어린 아들은

잎들의 포위를 견디다 못해 울음을 터뜨렸다

그 해 여름 많은 사람들이 무더기로 없어졌고

놀란 자의 침묵 앞에 불쑥불쑥 나타났다.

망자의 혀가 거리에 흘러 넘쳤다.

택시운전사는 이따금 뒤를 돌아다본다.

나는 저 운전사를 믿지 못한다, 공포에 질려

나는 더듬거린다, 그는 죽은 사람이다

그 때문에 얼마나 많은 장례식들이 숨죽여야 했던가.

그렇다면 그는 누구인가, 내가 가는 곳은 어디인가.

나는 더 이상 대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어디든지

가까운 지방으로 나는 가야 하는 것이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나는 두렵다 .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1989)-

 



 기형도의 시들은 유년시절의 가난, 사랑의 상실, 부조리한 현실의 폭력,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物化)된 인간의 모습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대체로 절망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그의 절망은 절망의 끝까지 가 본 자의 도저한 절망으로, 우리 시에서 보기 드문 풍경에 속한다. 이 시는 폭력적인 현실과 그로 인한 죽음, 공포의 삶을 고도의 상징적 표현 속에 담아내고 있다. 이 시는 분명히 알 수 없는 어떤 사건을 시적 동기로 삼고 있다. 그 해 여름, 화자가 신문에서 한번 본 적이 있는 ‘그’가 ‘그 일’이 터진 지 얼마 후 죽었다. 거센 비바람 속에 거행된 ‘그’의 장례식 행렬에 사람들은 악착같이 매달렸고, 많은 사람들이 무더기로 없어졌다가 나타났으며, 망자의 혀가 거리에 넘쳐흘렀다. 그리고 또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정거장에서의 충고


미안하지만 나는 이제 희망을 노래하련다

마른 나무에서 연거푸 물방울이 떨어지고

나는 천천히 노트를 덮는다

저녁의 정거장에 검은 구름은 멎는다

그러나 추억은 황량하다, 군데군데 쓰러져 있던

개들은 황혼이면 처량한 눈을 껌벅일 것이다

물방울은 손등 위를 굴러다닌다, 나는 기우뚱

망각을 본다, 어쩌다가 집을 떠나왔던가

그곳으로 흘러다는 길은 이미 지상에 없으니

추억이 덜 깬 개들은 내 딱딱한 손을 깨물 것이다

구름은 나부낀다, 얼마나 느린 속도로 사람들이 죽어갔는지

얼마나 많은 나뭇잎들이 그 좁고 어두운 입구로 들이닥쳤는지

내 노트는 알지 못한다, 그 동안 의심 많은 길들은

끝없이 갈라졌으니 혀는 흉기처럼 단단하다

물방울이여, 나그네의 말을 귀담아들어선 안 된다

주저앉으면 그뿐, 어떤 구름이 비가 되는지 알게 되리

그렇다면 나는 저녁의 정거장을 마음속에 옮겨놓는다

내 희망을 감시해온 불안의 짐짝들에게 나는 쓴다

이 누추한 육체 속에 얼마든지 머물다 가시라고

모든 길들이 흘러온다, 나는 이미 늙은 것이다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1989)-

 

 

 사람들은 죽음과 폭력을 비굴한 침묵으로 방어하는 대신, 서로에 대한 믿음을 잃고 파편화되며 방향성을 상실한다. 택시 운전사와 그를 믿지 못하는 ‘나’,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와 나는 서로 먼 거리에 있다. 그러나 더 이상 이런 상태를 지속할 수는 없다. 이제 나는 그가 누구인지, 내가 가는 곳이 어디인지 대답해야만 한다.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모르지만, 예전의 ’먼 지방/먼지의 방‘이 아닌 ’어디든지 가까운 지방‘으로 가서 현실에 직접 관여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곳으로 가는 길은 순탄하지 않다.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으로 암시되는 낯설고 황량하며 어두운 현실,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뜻하는 죽음과 굴복, 타협의 징후들이 끝없이 나를 두렵게 하기 때문이다. (최동호: <한국의 현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