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

Carpe, carpe diem <죽은 시인의 사회>

by 언덕에서 2012. 2. 8.

 

  Carpe, carpe diem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는 피터 위어(Peter Weir) 감독, 로빈 윌리엄스(Robin Williams)주연의 1989년 영화이다.

 1959년을 배경으로 보수적인 남자사립학교인 웰튼 아카데미(Welton Academy)에 영어 선생님이 부임하는데, 시와 문학을 가르치면서 틀에 박힌 삶을 강요받는 학생들에게 영감을 준다는 이야기이다. 학교는 버몬트 주의 웰튼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하지만, 촬영은 델라웨어 주의 미들타운(Middeltown)에 있는 성앤드류학교(St.Andrew's School)에서 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문교 출신 키팅 선생은 모교의 영어교사로 부임하여 파격적인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마음을 사로잡게 된다. 그가 학생들에게 늘 강조하는 말은 '오늘을 살라'이다. 엄격한 학교의 규칙과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진 아이들은 키팅 선생의 영향으로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동아리를 만들게 된다. 동아리 회원들은 야간에 몰래 학교를 빠져나와 동굴에서 모임을 열고,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다.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길이 아니라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강요당한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그들은 원하는 일을 하고자 한다. 무대에 서기 간절히 원했던 닐은 군사학교를 보내고자 하는 아버지와 부딪히게 되고, 결국 아버지가 원하는 방식대로 살아갈 수 없는 처지라는 것을 깨닫고 자살을 선택한다.  

 

 

 

 

 학교 측에서는 닐의 죽음은 물론이고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책임을 키팅 선생에게 묻고, 선생은 학교에서 쫓겨나게 된다. 결국 자기 자식들의 이익만 생각하는 부모들과 책임회피에 혈안이 된 학교 측의 합의로 키팅 선생님은 학교에서 떠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키팅 선생 대신 수업을 맡게 된 놀란(Nolan)은 구태의연하게 '시의 이해'로부터 수업을 시작하려고 하지만 학생들의 책에선 이미 그 부분이 찢겨 없어져 당황하게 된다. 이 와중에 개인사물을 챙겨 학교를 떠나는 키팅 선생에게 학생들은 자기들의 진정한 의사와는 상관없이 자기들로 인해서 쫓겨 가는 선생님의 마지막 모습에 하나 둘 책상 위로 올라가서 경의를 표하게 된다. 놀란 선생이 막아보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은 겁에 질려 그를 따르지만) 이미 많은 수의 학생들은 그에 굴하지 않고 용감하게 존경하는 선생님께 책상 위에서 경의를 표한다.

 

 

 

 

 이 영화는 30년 몇 년 전 내가 대입 준비를 할 때나 지금의 교육적인 상황은 전혀 달라짐이 없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어른들은 청소년들의 꿈을 빼앗고 대신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주입한다. 대학과 취업 그리고 결혼으로 이어지는 미래의 쳇바퀴에 청소년들을 끼워 넣어 버려서 아이들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인생과 꿈에 대해 생각해 볼 틈조차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변화를 만들어 주지 못한 나와 같은 성인들은 아이들에게 항상 미안한 마음을 안고 살아간다. 그리고 아이들은 그냥 남들처럼 미래의 쳇바퀴를 돌기 위해 공부할 뿐이다.

 그래서 세상에 나온 지 20년이 훌쩍 넘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1989)는 최소한 대한민국에서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영화의 무대인 1950년대 미국 명문 웰튼 기숙사 고등학교는 21세기 한국 고등학교를 닮았고, 대학 입시에 올인한 학생들은 전혀 낯설게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체벌을 하는 모습까지 익숙하다.

 영화는 웰튼 고등학교에 새로 부임한 영어교사 존 키팅(로빈 윌리암스)과 그의 학생들의 이야기다. 풀빵 찍어내듯 똑같은 학생들을 대량 생산하는 수업이 아니라 각자의 생김새대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키팅 선생님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삶의 기쁨을 일깨운다.

 첫 수업시간. 키팅 선생은 책상에 앉아서 수업을 기다리고 있던 학생들을 밖으로 불러낸다. 키팅은 학생들에게 지금은 세상을 떠난 선배들의 사진을 유심히 보게 하더니 그들의 속삭임에 귀울 기울이란다.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고 있는 학생들에게 키팅은 절대 잊을 수 없는 인생의 가르침을 준다.

 "여러분들이 잘 들어보면 그들의 속삭임이 들릴 것이다. 자, 귀를 기울여 봐. 들리나? 카르페 디엠. 오늘을 잡아라. 인생을 탁월하게 살아라." 키팅 선생의 목소리를 통해 죽은 사람들이 들려주는 말은 라틴어 '카르페 디엠(carpe diem)'. 지금 살고 있는 순간에 충실하라는 뜻이었다. 대학 입시라는 미래에 현재를 저당 잡힌 학생들이 순간순간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기를 바라는 키팅 선생의 바람이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주입식 교육으로 메말라가는 현실에 따뜻한 인간애와 자유로운 정신을 심어주는 한 교사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호응을 받았던 이 영화는 명문교의 전통과 권위에 저항하는 청춘 세대의 향수를 따뜻하면서도 가슴 뭉클한 감동으로 그렸다. 키팅 선생의 감동적인 역할을 한 로빈 윌리엄스를 비롯,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청소년 배우들의 풋풋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능의 하나는 '인간'을 복원시키고 내세워야 하는 것이다. 교육을 통하여 사람을 무지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삶을 모방과 인습적 동화에서 해방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을 각기 고유한 가치와 사고, 행동체계를 스스로 세워나갈 수 있는 주체적 인간으로 키워주는 것이다. 올바른 교육은 그 내용에 있어서 학생들이 다양한 사고와 가치체계를 세워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훌륭한 교육은 그래서 위대하다.

 <죽은 시인의 사회>의 의미처럼 문학은 어두운 구석에서만 활동해야 하는 것일까? 만약 문학이 없다면 이 사회는 더 각박하고 인간의 감성이 부재한 세상이 될 것이다. 키팅 선생의 교육처럼 깨어있는 삶이 인간의 감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게 하였다.

 작품 기획단계에서는 더스틴 호프만이 존 키팅역으로 고려되었다고 한다. 후일, 더스틴 호프만은 로빈 윌리엄스가 호프만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보다 잘했다고 말했다. 로빈 윌리엄스는 촬영 중에 말하기를 자신도 학교에 다닐 때 이런 선생님을 원했는데 이 역할에 아주 끌린다고 언급헀다.  제62회 아카데미 시상식 (1990년, 각본상(톰 슐만))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