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한 연작소설 『왕룽 일가』
박영한(朴榮漢, 1947~2006)의 중편소설로 1988년 발표된 중편소설집 <왕룽일가>의 표제작이다. 중편소설 『왕룽 일가』는 서울 근교의 우묵배미라는 농촌을 삶의 무대로 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연작 소설의 일부분이다. 이 연작들은 각각 자체의 형식적인 완결성을 갖춘 중편들이지만, 전체가 상관관계 있는 한 편의 장편소설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소설집 <왕룽 일가>는 『왕룽 일가』, <오란의 딸>, <지옥에서 보낸 한철> 등 세 편의 중편소설 연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월남전에 참전했던 박영한은 1978년 <머나먼 쏭바강>을 장편소설로 개작해 출간하자마자 단숨에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소설가로서 입지를 굳히고, 이후 창작에 전념하였다. 1988년과 1989년에는 젊은 시절에 서울 인근의 도농(都農)의 접경지대를 떠돌며 관찰하고 체험한 생활을 바탕으로 『왕룽일가』와 <우묵배미의 사랑>을 잇달아 출간했다. 박영한은 도농 접경지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해학적이고 걸쭉한 입담으로 풀어 내 한국 세태 소설의 한 계보를 형성하였다.
연작소설 <왕룽일가>를 원작으로 1989년 2월~4월 KBS 2 TV에서 수목 미니시리즈로 방영되었고, <우묵배미의 사랑>을 원작으로 1990년 동명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왕룽 일가> :
‘홈 드레스’와 ‘검정 고무신’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이 이야기의 근간이 되는 두 개의 사건은 불광동 새댁의 시집살이와 필용 씨의 늦바람이다. 불광동 새댁은 필용 씨의 며느리가 되어 우묵배미에 와서 살게 된 서울 여자이다.
그녀는 어떤 대학의 관광과를 3년 중퇴하고 어느 유명한 관광지의 1급 호텔의 프런트에서 일을 보면서 세상의 갖은 호사는 다 보고, 듣고, 실제로 멋쟁이 신사들과 골프까지 어울려 본 적이 있다. 도시의 겉멋이 배일대로 밴 이 새댁의 모습이란, 가령 간단한 읍내 나들이에도 가히 정장이라 해도 좋을 무거운 옷차림이기 일쑤였고, 화장이며 걸음걸이는 서울 영동의 여인을 방불케 하였으며, 어느 날은 온 집안사람들이 땀을 흘리며, 절구질 입네 맷돌질을 하고 있는데, 이 눈치 없는 며느리는 멋들어진 바바리에다 귀걸이에 선글라스까지 처억 끼고 대문간을 들어서서 시어머니의 눈흘김을 받는 따위이다.
이런 며느리가 평생을 흙 속에서 개미처럼 일하고 알뜰하게 돈을 모은 필용 씨 내외 밑에서 시집살이를 하게 되었으니, 그 집안이 조용할 리가 없다. 세련된 홈 드레스를 걸치고, 싱크대 앞에서 가스레인지를 척 켜는 데나 어울릴 새댁의 태도가 구정물이 들어가 질컥거리는 검정 고무신의 풍속에 적응하기까지, 그 웃지 못할 희극적 사건들을 작가는 솜씨 있게 펼쳐 보인다. 시집을 올 때 가져온 소파에 컬러텔레비전에 얽힌 말썽, 목욕ㆍ화장품ㆍ시부모의 빨래ㆍ시궁쥐 따위에 얽힌 말썽 등에서 상충되는 두 문화가 빚어내는 갈등의 풍속도가 박진감 있게 묘사된다.
이 사실적인 풍속도 자체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긴 하지만, 여기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혼 드레스와 검정 고무신의 갈등의 풍속도를 통해 작가가 그려내고자 하는 것은, 급격한 변화의 와중에서 지극히 평범한 삶까지도 그 바탕이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필용 씨의 늦바람 사건도 이러한 주제의 변주를 보여준다. 필용 씨는 읍내에서 손꼽을 만한 부자이며, 마을 안팎에 구두쇠로 소문이 나 있는 사람이다. 그는 배운 것도 물려받은 것도 없었으나, 지독한 근검절약으로 부자가 된 사람이며, 땅을 사랑하고, 땅에의 집착이 유달리 강한 전형적 농군이다. 그는 농사짓는 일과 돈 아끼는 일밖에 모르는 사람이다.
그의 아내 역시 전형적인 시골 아낙으로 평생 흙 속에서 불평 없이 살아왔으며, 근검절약에 있어서도 필용 씨 못지않다. 그런데 이들 부부지간에 불화가 생기게 된 것이다. 며느리 때문에 크게 부부 싸움을 한 후, 두 사람의 관계는 극히 이기적이고 영악스럽게 변한다.
별거를 거쳐 마침내 이혼까지 거론되는데, 위자료 문제로 인한 실랑이에서 드러나는 두 사람의 의식의 변화는 놀랄 만하다. 그 의식은 아무래도 유치한 면이 없지 않지만, 이미 순박한 구두쇠 농사꾼으로서의 의식이 아니라, 영악하고 이기적인 거간꾼으로서의 의식이다. 필용 씨 아내의 합리적인 위자료 계산법이나, 필용 씨의 터무니없는 구두쇠 계산법은 다 같이 영악한 것으로, 그들이 살아온 삶의 근본과 다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어쨌든 이들의 실랑이는 아내와 아들 부부에게 읍내에 천여만 원 정도의 연립을 장만해 주어 분가하는 것으로 일단락된다. 보다 재미있는 일은 그다음에 일어난다, 아들 부부를 내보내고 나서 필용 씨에게는 놀랄 만한 변화가 일어난다. 억척스러울 정도로 농사일밖에 모르던 필용 씨가 바깥출입을 자주 하고 또 외출 시간도 길어지더니 생활 태도까지 달라졌다.
이러한 변화는 물론 필용 씨에게 새로운 생활이 펼쳐졌기 때문인데, 새로운 생활이란 곧 늦바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늦바람은 그 여인이 필용 씨의 돈을 훔쳐 달아남으로써 우습게 끝나 버리고 만다.
분가와 늦바람이라는 이 희극적인 풍속도 역시, 홈 드레스 문화와 검정 고무신 문화의 갈등에서 빚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용 씨와 같은 철저한 농사꾼조차 밀려드는 홈 드레스 문화에 자신을 주체하지 못하고, 일시적이나마 검정 고무신이 공존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이 시대에는, 불광동 새댁이나, 필용 씨 내외나 모두 자기 위치를 찾지 못하고 흔들리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오란의 딸>:
필용 씨의 딸 미애가 당한 폭행 사건이 중심이 된다. 그리고 그 사건을 축으로, 성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관념, 혹은 태도가 대비된다. 그 하나는, 생각과 관련된 건강한 성이고, 다른 하나는 황음(荒淫)과 관련된 타락한 성이다.
미애는 발랄하고 당돌하며 외면적으로 도시물을 먹은 여자이며, 또 미인이다. 그리고 겉으로 보자면, 되바라진 아가씨다. 아무 남자 하고나 스스럼없이 즐긴다거나 혹은 ‘나’에게 당돌한 접근을 시도한다거나, 아니면 마을의 온갖 낯 뜨거운 소문에도 별로 개의치 않는 태도 등에서 그녀의 성품이나 품행이 단정치 못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몇몇의 에피소드를 통해 이러한 미애의 느슨한 성 관념에 있어 성이 타락에 가까이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성의 천진난만함에 더 가까이 가 있는 것임이 드러난다. 가령, ‘나’와의 은밀한 만남이나 대화에서, 미애가 의외의 부끄러움과 순결함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된다.
미애뿐만 아니라, 필용 씨의 성격도 성에 관한 한 건강하다. 그는 ‘나’와 내 아내 앞에서 거리낌 없이 자기 소의 커다란 생식기를 건드리며 그것의 건강성을 자랑한다. 그는 건강한 생명성에의 외경심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미애와 필용 씨의 이와 같은 건강한 성 관념은, 성 윤리의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근본 바탕이 순수하고 건강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통점 때문에 외면적 삶의 태도가 전혀 달라 상극일 것 같은 부녀가 뜻밖에 아주 잘 통하는 사이가 되는 것이다. 아버지의 늦바람을 두둔하는 미애의 태도나, 딸과 상통하는 점이 있는 말썽꾸러기 13호 처녀 소를 지극히 아끼는 필용 씨의 태도 등에서 보듯 부녀간의 애정은 각별하다.
그런데 우묵배미의 삶에서는 이러한 건강한 성 관념이 점차 사라지고, 그 대신 타락한 성 관념이 확산된다. 최근 들어 이 마을에는 여러 가지 범죄가 빈발한다. 조렝이 건널목의 살인 사건, 여공 아가씨와 ‘별장 연립’에 사는 여자가 당한 변고(變故), 여고 졸업반인 명자의 피해 등등으로 동네가 살벌해졌고, 미애가 당한 사건도 그중의 하나다. 이러한 범죄는 급변하는 풍속의 파급 현상들이라 할 수 있다.
철없는 시골 젊은이들은 이 환락의 근처에서 ‘방종과 황음(荒淫), 그리고 경제적 불공평에 대한 반감’을 몸에 익히며, 하루가 다르게 뻔뻔스러워져 가게 된다. 그러니까 최근 이 마을에서 발생한 범죄의 근본 원인은 걷잡을 수 없는 풍속의 타락이며, 그 타락은 ‘황음화된 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마을에서 성에 관한 소문은 터무니없이 증폭되고, 또 재빠르게 잔파된다. 명자나 미애의 경우, 사건 그 자체보다도 소문 때문에 더 큰 곤욕을 치른다. ‘나’도 아내가 젊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첩을 데리고 사는 것이란 소문에 시달린다. 이러한 현상은 마을 사람들이 성에 관한 상념을 상실하고, 성을 외설스럽게만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마을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성은 더 이상 건강한 생식이 되지 못하고, 다만 수치스럽고 유혹적인 황음(荒淫)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러한 의식은 소설의 첫머리에서 이장이 동네 방송을 하는 어투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형수라는 인물은, 이 이야기에서 미애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원래 모습은 ‘기골이 정정하고 우직하며 맘씨 좋은 농부상’이며, 미애의 사랑을 얻기 위해 체면을 가리지 않고 열성을 보이는, ‘근육이 고루 발달한 종모우를 연상시키는 듬직한 체구의 사내’로, ‘시골에서라면 상당한 재목감’ 일 수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인물의 언행에서 한심스러운 타락의 징후가 나타난다.
형수가 ‘나’를 불러내어 술집에서 미애 문제를 상의할 때, 처음에는 순박한 태도였지만, 술이 거나해지자, 막돼먹은 유치한 상소리를 해대고, 그 눈빛에서는 ’ 인간을 제 발아래 꿇어앉히기 좋아하는 자들의 그 무자비한 폭력성과 권세욕‘이 이글거린다. 뿐만 아니라, 연적인 작은 수정사를 불러내어 치사한 거짓말을 하여 그와 미애 사이를 갈라놓기도 한다. 한마디로 형수는 바탕이 훌륭한 시골 청년이었으나, 타락한 시속에 물들어 자신도 모르게 점점 비뚤어져 가는 젊은이다.
이러한 마을 사람들의 소문과 형수의 변모는, 타락한 황음의 성 관념이 건강한 생식의 성 관념을 축출하는 풍속 속에서 우리의 일상적 삶이 어떤 식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오란의 딸>은 생식과 관련된 건강한 성과 황음에 관련된 타락한 성의 대비를 통하여 환락의 범람이 순박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어떤 식으로 변질시키는가를 실감 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지옥에서 보낸 한철> :
'살랑거리며 살짝 스쳐 지나가는 봄바람과 같은 성품의 소유자’인 홍 씨가, 활극의 주인공처럼 살아가게 되는 과정과 그 배경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야기의 첫머리에서 ‘나’는 전원생활이 주는 신선한 새벽의 평화를 마음껏 음미한다. 새소리와 감미롭고도 건강한 상상을 제공하는 시골의 새벽은, ’나‘에게 힘과 행복감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새벽의 평화는 침상에서 일어나자마자 무참히 깨져버린다. 폭발음이 들리고, 짱구 아빠의 경운기가 뒤집어지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그러니까 내가 새벽 잠자리에서 맛보았던 감미로운 전원의 평화는 꿈의 연장일 따름이고, 현실로 돌아오자마자 우묵배미의 삶은 활극이 벌어지는 지옥임이 확인되는 것이다. ‘지옥에서 보낸 한철’은 이 활극의 관찰과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조용하고 평화스러울 것 같은 마을에 싸움이 그칠 날이 없다. 필용 씨의 6촌 친척이 되는 여주댁네는 다섯 식구가 세 들어 산다. 여주댁과 홍 씨가 싸움의 주선율(主旋律)을 연주하고, 주리네, 배 서방네, 뚱자네 등이 싸움의 반주(伴奏)를 한다. 한마디로 이 모든 분란의 촉발은 금전 문제에서 기인한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돈 문제의 비중이 극히 낮을 것으로 기대되는 이 시골 마을에서 돈 문제로 매일 싸움이 벌어지는 데는 어떤 배경이 있는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홍 씨의 삶을 이해해야 한다. 홍 씨는 지독한 주정뱅이요, 마을의 골칫거리이다. 그는 ‘불만을 포도처럼 주렁주렁 달고 있는’ 사람이다.
뿐만 아니라, 홍 씨는 나의 일과 남의 일을 구분할 줄 모르는, 마음씨 좋고 솜씨 좋은 일꾼이다. 그는 ‘나’의 집을 솜씨 있게 수리해 주기도 하고, 여주댁의 여러 가지 잡일도 보상을 바라지 않고 잘해 준다. 그런가 하면, 그는 자연과 어울린 전통적 삶의 양식이 철저하게 몸에 밴 사람이다. 그가 새 사냥․천렵․돌구이 등등에 남다른 재주를 가졌다거나, 그의 돼지 잡는 솜씨는 예술적이라 할 만큼 훌륭하고 경건하다는 데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마디로, 그는 순박하고, 부지런하고, 재주가 많은 사람으로, 전통적 삶 속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인간상이다. 이러한 인물이 술주정과 일탈(逸脫) 행동을 일삼으려는 활극의 주인공이 된 까닭은, 사람들이 그의 최소한의 생존 근거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수십 억을 가진 광용 씨가 그의 눈곱만 한 월급을 떼어먹는다든가, 혹은 그의 적빈(赤貧)을 약점 삼아 여주댁이 그를 마음껏 부려먹는다든가, 혹은 배 서방 네가 그의 병든 아내를 팔아 잔치떡을 독식한다든가, 혹은 없이 산다고 도둑의 혐의를 씌운다든가 하는 세상에서, 그는 어울리지 않는 영악한 계산과 적개심의 칼날을 지녀야만 했던 것이다.
평화롭고 푸근한 인정이 있을 것 같은 우묵배미가 법 없이도 살고, 하루 세끼면 무슨 일이라도 열심히 할 홍 씨를 짓밟고 착취하는 마을이 된 셈이다.
그런데 홍 씨 같은 사람마저 주정뱅이로 만들고, 또 영악하게 만드는 이와 같은 환경의 변화는 주로 외부의 힘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는 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서울의 알부자인 광용 씨가 홍 씨의 월급을 떼어먹음으로써 최초의 홍 씨 일탈을 촉발하고, 장 씨는 홍 씨에게 좋지 못한 충동질을 하여 마을을 떠나게 만듦으로써 홍 씨의 삶을 더욱 초라하게 만들어 버린다. 홍 씨의 결정적 파탄이 외부의 영악한 인물들에 의해 초래된다는 사실과, 외부 세상의 타락이 우묵배미의 삶을 변질시킨다는 점은 닮은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절묘하게 암시하는 사건이 하나 있다. 여주댁 뒤란에 있는 밤나무에서 밤 서리를 했다는 일로 여주댁과 배 서방네가 일대 격전을 벌여 온 집안이 난리통이 되었을 때, 고물장수 병삼이가 슬그머니 나타나 마당에 나뒹구는 세숫대야를 우그러뜨려 부대에 주워 담고, 또 뒤란에 가서 홍 씨가 키우는 닭을 훔쳐가 버린다. 고작 밤 몇 줌 때문에 우묵배미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싸울 때, 외부 사람이 나타나 실속을 차리고, 우묵배미 사람은 결국 더 큰 손해를 보게 되는 셈이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는 두 가지 후일담을 밝혀놓고 있는데, 그 하나는 소값 파동으로 우묵배미 사람들이 큰 손해를 보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을을 떠났던 홍 씨가 장 씨하고 싸우고 다시 우묵배미로 돌아와 여주댁 일꾼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후일담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의미는 월급 2만 원 인상이나 술값 따위의 자잘한 이유로 촉발되는 우묵배미의 활극은 피라니 제 살 뜯기식의 싸움이다.
외적 조건 때문에 불합리한 경제 공간이 되어 버린 우묵배미에서는 사람들이 점점 더 영악하고 치사스러워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이런 울화통 터지는 사정 아래서 여주댁이나 홍 씨가 영약스러워지긴 했지만, 작가는 <왕룽 일가>와 마찬가지로 이들도 애정과 긍정의 시선으로 관찰하고 있다.
작가 박영한은 그의 등단 작품인 <머나먼 쏭바강>을 비롯하여 <인간의 새벽>, <노천에서> 등 일련의 장편에서, 우리 민족의 현실에 대한 진지한 소설적 탐구를 시도한 작가이다. 그는 민족의식, 자유, 양심, 전쟁, 이데올로기, 휴머니즘, 분단 현실 등의 중량감 있는 주제를 자신이 전장에서 겪은 경험과 거시적 상상력에 의해 구도화해 낸 대표적 작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런 소설들은 삶의 구체성보다는 관념적 추상에만 지나치게 열중하고 있었다. 그의 관념적 세계에 대한 분석과 통찰은 <지상의 방 한 칸>을 비롯하여 『왕룽일가』, <오란의 딸>, <지옥에서 보낸 한철>, <우묵배미의 사랑> 등의 연작에 이르러서는 중후하고 리얼리티한 문제를 통해 삶의 구체적 현실 세계로 전환된다.
♣
리얼리즘 소설의 한 성과로 주목받는 『왕룽일가』이후 소설들의 주요 무대인 ‘우묵배미’라는 마을은 바로 우리 시대의 보편적 삶의 숨결이 함께 하는 삶의 표본이 되는 농촌이다.
따라서, 이 『왕룽일가』를 비롯한 일련의 작품들은 1970년대의 이문구의 <우리 동네> 연작이 갖는 농촌의 피폐한 현실 문제와 일맥을 이루면서 우리 시대의 삶의 보편적 체험 공간을 구축하고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작가 박영한은 ‘우묵배미’를 반농 반도시의 전형적인 축소 공간으로 설정하면서, 우리 시대의 현실을 관류하는 인간의 보편적 삶을 그려내었다.
또한, 박영한의 작품들은 해학적이고 둔중한 문체를 장점으로 하면서, 우리 시대의 보편적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냄으로써 1980년대의 중요한 소설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 현대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훈 장편소설 『칼의 노래』 (0) | 2009.09.15 |
---|---|
최명희 대하소설 『혼불』 (0) | 2009.09.12 |
조세희 중편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0) | 2009.09.09 |
박상우 중편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 (0) | 2009.09.03 |
전상국 중편소설 『아베의 가족』 (0) | 200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