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상섭10

염상섭 단편소설 『짖지 않는 개』 염상섭 단편소설 『짖지 않는 개』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단편소설로 1953년에 발표되었다. 염상섭은 이 작품으로 1956년 [아시아자유문학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한만국경지대(韓滿國境地帶)의 불안한 상황을 잘 보여준 작품이다. 염상섭은 1936년 만주로 건너가 [만선일보]의 주필 겸 편집국장으로 활동하였다. 이때의 경험이 작품의 배경을 이루었다고 짐작된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46년 [경향신문] 편집국장이 되었으며, 주로 가정을 무대로 한 인륜 관계의 갈등과 대립을 그린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신의주에서 삼팔선에 이르기까지의 도정을 그린 , 옥임의 정신적 파산과 정례의 경제적 파산을 통해 당대의 세태를 적실하게 표현한 , 그리고 인민군 치하의 서울의 모.. 2024. 2. 20.
김동인 단편소설 『발가락이 닮았다』 김동인 단편소설 『발가락이 닮았다』 김동인(金東仁, 1900~1950)의 단편소설로 1932년 [동광(東光)] 28호에 발표되었다. 자연주의 경향의 작품이지만 강한 휴머니티가 깔려 있다. 횡보(橫步) 염상섭(廉想涉)을 모델로 하였다 하여 큰 논쟁이 벌어져 두 사람(김동인과 염상섭) 사이에는 오랫동안 불화를 만든 작품이다. 김동인은 우리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로서 근대 단편 소설의 개척자이다. 구어체 문장을 확립했으며, 전 시대의 계몽문학을 거부하고 자연주의 문학을 시도했다. 단편, 역사소설, 평론, 수필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을 했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주의, 탐미주의, 민족주의, 낭만주의 등 여러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작품에 따라 엄격히 구분되기도 하지만 같은 작품 속에서도 상반되.. 2024. 2. 19.
염상섭 장편소설 『이심(二心)』 염상섭 장편소설 『이심(二心)』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장편소설로 1928~1929년 [매일신보]에 연재되었고 1929년 단행본으로 발표되었다. 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그리 알려지지 않은 장편소설로 1920년대 우리나라 사회 상황을 날카롭게 포착한 작품으로 재평가되었다. 이 소설이 발표된 것은 1929년으로 염상섭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보다 2년 앞서 나왔으나, 구성이나 성격 묘사가 허술하다는 이유로 다른 작품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던 작품이다. 그러나 문학 평론가 유종호는 논문 를 통해 “이 작품이 소설로서는 실패했지만, 당대 사회의 기본 구조를 포착하는 데 있어서는 크게 나무랄 데 없는 안목을 보여 준다”라고 평가했다. 단순히 자연주의 문학의 작가로 알려졌던 염상섭이 작품 활동을 하.. 2023. 9. 20.
염상섭 장편소설 『취우(驟雨)』 염상섭 장편소설 『취우(驟雨)』 염상섭(廉想燮, 1897~1963)의 장편소설로 [조선일보](1952. 7.18∼1953. 2. 20)에 연재한 기록소설이다. 취우(驟雨)란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비. 특히 여름에 많으며 번개나 천둥, 강풍 따위를 동반하는 비를 의미한다. 이 작품은 6ㆍ25전쟁을 제재로 해서 전쟁 당시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여 비극에서 빚어지는 배신과 인정의 급변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도덕을 초월한 본연의 인간애를 그린 작품이다. 북한의 남침으로 한강철교가 폭파되자, 채 남하하지 못한 채 북괴의 치하에서 신음했던 이 나라 민족의 전쟁기록소설이다. 공산주의자의 폭력성과 전쟁을 통한 인간의 운명을, 더덕을 넘어선 인간애의 편에 서서 다루고 있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뒤.. 2023. 5. 17.
염상섭 단편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 염상섭 단편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단편소설로 1921년 8월에서부터 10월에 걸쳐 [개벽] 지에 발표한 처녀작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자연주의 단편소설로 일컬어지는 중요한 작품이다. 3ㆍ1운동을 전후한 시대적으로 가장 암울했던 무렵의 어두운 현실을 냉철히 관찰한 작품으로, 당시 지식인들의 창백하고 무기력한 고민과 우울한 심경을 ‘나’와 ‘김창억’이라는 두 주인공을 통해 해부한 것 이외에 인간을 표본실의 청개구리에 비유하여 염세적ㆍ퇴폐주의적 필치로 묘사한 작품이다. 뛰어난 묘사의 사실성이 문장의 특징이며, 의식이나 심리, 관념의 세계를 감각적 표현으로 바꾸어 형상화하는 수법을 구사하여 후기의 완만하고도 정공법적이며 평면적 문체와는 달리 생기와 멋이 깃든 문체를 보여 .. 2022. 11. 24.
염상섭 단편소설 『임종(臨終)』 염상섭 단편소설 『임종(臨終)』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이 1949년 발표한 단편소설로, 객관적인 사실주의가 주조를 이루는 작품이다. 염상섭은 주로 중산층과 세대 간의 몰락 문제를 한반도의 식민지적 상황 안에서 그려낸 사실주의 계열의 작가로, 이광수와 함께 카프 문학에 대항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임종에 처한 환자의 모습과 가족들의 정황을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환자의 삶에 대한 집착과 가족들의 모습, 관습 등을 분석적으로 묘파(描破)한 수작이다.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를 최초로 받아들인 염상섭은 전 생애를 통해 변함없이 한 방향으로 작품활동을 하여 사실주의를 지속ㆍ발전시켰다. 그의 문학적 특성은 사상을 표현하려 하지 않고 사상을 철저히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실.. 2022. 11. 18.
염상섭 단편소설 『전화(電話)』 염상섭 단편소설 『전화(電話)』 횡보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단편소설로 1925년 [조선 문단]에 실렸다. 100년 전, 전화를 놓은 다음 날부터 전화를 팔기까지의 며칠 사이에 어느 가정에서 일어난 작은 파문을 그리고 있다. 일상적인 이야기 속에서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현대의 우리 자신들을 되돌아보게 한다. 이 작품은 우리 이웃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재 세계와 흡사하다. 그만큼 이 소설은 현실적이고 사실적이다. 1920년대 서울을 무대로 한 이 작품은 전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부부간의 갈등과 인간의 약삭빠른 이해타산을 치밀한 사실주의 기법으로 묘사했다. 염상섭은 민족문학의 실천적인 방법으로서 삶의 모든 문제의 핵심에 돌입할 수 있는 소설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 자신의.. 2021. 1. 6.
염상섭 단편소설 『두 파산』 염상섭 단편소설 『두 파산』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단편소설로 1949년에 [신천지]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은 광복 직후 경제적ㆍ도덕적 가치의 혼란 속을 살아가는 두 여인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경제적 파산과 정신적 파산이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산을 제시하면서, 작가는 어느 것이 옳다든지 그르다는 판단을 유보한 채 삶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객관적ㆍ중립적 입장을 고집하는 작가는 정례 모친의 심리와 함께 옥임의 심리도 상세하게 밝힘으로써 그들이 모두 현실을 살아가는 개성적 인물의 하나일 뿐임을 보여주고 있다. 생활이 어려운 정례 모친이 동창생인 옥임에게 돈을 빌려 가게를 차리지만, 여의치 못해 빚을 갚지 못하자 옥임이 그 가게를 정례 모친으로부터 인수한다. 돈을 사이에 둔.. 2016. 10. 18.
염상섭 장편소설 『삼대』 염상섭 장편소설 『삼대』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의 대표적 장편소설로 1931년 1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우리나라 근대 사실주의 소설의 선구적 작품으로 꼽힌다. 제목 그대로 한 집안에 공존하는 삼대(三代: 가장인 조의관, 그의 아들 조상훈, 그리고 손자 조덕기)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염상섭(1897 ~ 1963)은 이광수, 김동인과 함께 한국 근대 소설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한 작가이다. 그는 , 등 우리에게 이미 잘 알려진, 자연주의 내지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을 남겼다. 문학 평론가 염무웅은 등장인물들을 분석하면서 는 염상섭의 대표작일뿐더러, 한국 신문학이 소설적 방법으로 도달한 가장 높은 수준의 하나라고 평했다. 당대 한국.. 2015. 1. 2.
염상섭 장편소설 『만세전(萬歲前)』 염상섭 장편소설 『만세전(萬歲前)』 염상섭(廉想涉. 1897 ~ 1963)의 장편소설로 [신생활] 잡지에 1922년 7월부터 라는 제목으로 2회까지 연재되다가 3회분은 삭제당한 채 이로 인해 잡지가 폐간되자, 1924년 [시대일보]로 옮겨져 『만세 전』이라는 제목으로 바뀌어 완결되었다. 3ㆍ1운동 전야의 암담한 현실을 배경으로 민족의 비애와 그 속에서 타협하며 살아가는 치욕스런 인간 군상을 사실주의 기법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동경 유학생인 주인공이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조선으로 귀국했다가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기까지를 다루고 있는 여로형 소설이다. 특히 귀국하는 과정에서 3.1운동 이전 조선의 식민지 현실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현실 폭로의 측면을 지니는 동시에, 이를 경험한 식민지 지식인의 자아 .. 2014.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