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만보산 사건(萬寶山事件)

by 언덕에서 2023. 10. 2.

 

만보산 사건(萬寶山事件)

 

1931년 6월 5일자 [동아일보] 2면

 

 1931년 7월 2일 중국 길림성 만보사 지역에서 한ㆍ중 양국 농민 사이에 일어난 분쟁이다. 동년 4월 장춘(長春) 도전공사(稻田公司) 경리 학영덕(郝永德)이 만보산 지역의 미개간지 3천 무(畝)를 조차(租借)했다. 이 땅을 다시 한국 농민 이승훈 등 8인이 10년 기한으로 조차계약하여 개간에 착수하여 한국 농민 180여 명을 동원하여 수로공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부근 토착 중국 농민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다. 이에 중국 농민들은 당국에 고발하는 한편, 공사장에 집단 난입하여 공사를 중지시켰으나, 일본 경찰은 공사를 진행시키고 군중을 해산시켰다.

 이 사실을 한국 농민이 중국인들에 의하여 습격 받았다는 내용으로 [조선일보]가 민족적 견지에서 대서특필하여 보도ㆍ논란하게 되자, 다음날 이리(裡里) 지방에서는 당장 중국인 박해사건이 일어나고, 이것을 계기로 서울ㆍ인천ㆍ평양ㆍ신의주 등지로 확대되어 마침내 전국적으로 중국인 박해사건이 발전,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이 사건은 한국농민 대 중국농민의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일본 대 중국의 국제문제화하였다. 사건이 복잡해짐에 따라 [조선일보]ㆍ[동아일보] 등 양대 신문사에서 그 진상 조사에 나섰다. 그 결과, 이 사건 이면에는 중국의 주권을 무시하는 일본의 침략음모가 잠재해 있다는 점, 이 사건이 일본의 모략적 선전의 전파로 침소봉대화하였다는 두 가지 점이 밝혀졌다. 그렇지만, 이 사건은 일반민중의 민족감정을 자극하여 한ㆍ중 두 민족의 이간을 꾀하여 소위 민주사변(滿洲事變)을 일으키는 전주곡이 되었다.

 월북작가 이태준(李泰俊.1904∼?)의 단편소설 「농군」(https://yoont3.tistory.com/11302946)은 만보산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책갈피속의 오늘] 1931년 만보산 사건 발생

 

 

 1931년 7월 2일 중국 지린(吉林) 성 창춘(長春) 현.

 “우와∼” 하는 중국 농민 수백 명의 함성이 들려왔다.

 “헐어내라!”

 “아니 이놈들, 남이 애써 만든 물길을!”

 이윽고 조선 농민과 중국 농민의 육탄전이 벌어졌다. 4월, 조선 농민 38가구가 이 지역으로 이주해온 뒤 쑹화(松花) 강에서 물을 끌어오는 수로 공사를 시작하자 인근의 중국인 농민들이 “공사 때문에 콩밭이 망가지고 땅에 물이 찬다”며 항의했다.

 7월 1일부터 조선인들과 승강이를 벌이던 중국인들은 이날 마침내 힘으로 공사를 저지하려 했다. 갑자기 ‘탕 타당…’ 하고 총성이 울려 퍼졌다. 중국 농민들은 혼비백산해 도망치기 바빴다. 일본 경찰이 ‘조선인도 일본 국민’이라며 자국민 보호라는 명분 아래 중국 농민들에게 총격을 가한 것이다. 이른바 ‘만보산(萬寶山) 사건’의 시발이었다.

 이날의 충돌은 인명 피해 없이 지나갔지만 문제는 다음날부터였다. 마침 ‘만주로 건너간 조선 농민들이 중국 관헌들에게 박해를 당한다’는 입소문이 꼬리를 물던 즈음이었다. 3일부터 서울 인천 등 조선의 주요 도시에서 중국인이 경영하는 포목점과 음식점 등이 불타기 시작했다.

 유독 평양에서 피해가 컸다. 인천의 1700여 명보다 훨씬 적은 779명의 화교가 평양에 살고 있었지만 이즈음 살해당한 122명의 화교 중 94명이 평양에 살던 사람이었다. 사람들은 트럭 한 대가 수십 명의 사람을 태우고 폭동을 선동하며 다니는 것을 목격했다. 일본 경찰의 승인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7월 7일, [동아일보]는 ‘이천만 동포에게 고합니다-민족적 이해를 타산하여 허무한 선전에 속지 말라’는 사설을 게재했다. “동포여, 우리가 조선에 와 있는 중국사람 8만 명에게 하는 일은 곧 중국에 있는 100만 명 우리 동포에게 돌아옴을 명심하십시오. 즉시로 그들에게 폭행을 가하는 일을 중지하십시오.”

 사태가 가라앉은 뒤인 7월 18일, 중국 국민당은 성명을 냈다. “만보산 사건은 일본의 계획적인 음모에 의한 것이고 조선인들의 국내 폭거도 일본의 사주에 의한 것이다.”

 일본은 무엇을 노린 것일까. 두 달 뒤인 9월 18일, ‘만주사변’을 일으킨 일본은 중국 침공에 들어갔다. ‘중국 내 일본 국민의 신변이 위협받고 있어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유윤종 기자 gustav@donga.com

 

입력 2005-07-02 03:17업데이트 2009-10-08 23:53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로아스터(Zoroaster)교와 마니(摩尼. Manichaeism)교의 관계  (8) 2023.10.12
'담배'의 어원  (0) 2023.10.05
‘따라지신세’의 어원  (0) 2023.09.29
‘미주알고주알’의 어원  (0) 2023.09.28
'또순이'의 어원  (0)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