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고자’의 어원

by 언덕에서 2023. 9. 15.

 

‘고자’의 어원

 

 

 나이가 차도록 장가 못 드는 것도 한인데, 본인이야 못 드는 것이든 안 드는 것이든간에 묘한 욕을 듣게 된다.

 “그 친구 고자 아닌가?”

  사내로서 ‘고자’란 말에 명예로움을 느낄 친구는 없을 것 같다. 사내로서의 구실을 못 한다는 메타포를 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면 ‘고자(鼓子)’라는 한자가 달려 있다. ‘고자’와 ‘鼓子’― 한제에 전혀 뜻이 없다 싶어지는 마음인 채, 그건 역시 취음(取音)이었던 것이라고 해 둬야 옳을 것 같아진다.

 ‘메꽃’을 한자로 쓸 때는 ‘鼓子花’라 한다. 나팔꽃을 한자로 쓸 때는 ‘牽牛花’라 하는데, 그것보다 작고 ‘其花不作瓣(그 꽃은 꽃잎을 만들지 않는다)이라는 말이 있어서 갖다 붙인 '鼓子'인가?

 <훈몽자회>에는 ‘고쟈閹(엄)ㆍ고쟈宦(환)ㆍ고쟈閽(혼) 따위 글자가 나와서 중세어로 '고쟈'였던 것을 보여 주는데, 광대라든지 풍류 치는 사람을 일러서도 '고자'라고 했던 것을 <계림유사>에서 볼 수 있게 된다.

 ‘倡人之子曰故作 樂工亦曰故作(창인의 아들은 ’고작(고자)라 하고 악공 역시 ‘고작’이라 한다)‘

이라고 <계림유사>에 적고 있는데, 그때(고려) 창인(倡人)의 아들이 많이 악인(樂人)으로 되었던 때문이라는 주석이 붙어 있기도 하다. ‘고쟈’와 ‘고자’의 차이지만, 이 사이에 직업적인 어떤 연관성이라도 있었던 것일까.

 지난날 환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좋은 감정들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제기랄, 불알을 까고서 그 따위 짓을 해?”

하는 ‘인간적인 반발’ 같은 것이나 아니었을지 모르는 일이다. 그래서 ‘고자’는 ‘高子“, 말하자면 조고(趙高)의 자식이라는 뜻으로 훼폄(毁貶)하여 쓰기 시작하다가 그것이 그 대목의 불구자 일반에게 통용되어 버리게 된 것이라는 말도 있다. 조고(趙高)는 다시 말할 것도 없이 진 나라 때 호해(胡亥))를 내세워 시환(始皇)의 대를 잇게 한 다음, 저 유명한 '지록위마(指鹿爲馬)'라는 고사까지 낳게 한 바 있던 환관 출신의 전횡자였다. 그 환관에 무슨 자식이 있었을까마는 그 조고의 자식놈이라는 뜻을 곁들여서 은근히 욕을 하기 시작했던 것이리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도 부회(附會)라고 할밖에는 없다.

 그런데 또 한 가지 ‘고자’는 ‘庫子’에서 온 말일 거라는 생각이 있다. ‘庫子’는 지난날 군아(郡衙) 같은 데서 물건을 맡아 지키던 소임을 지녔었다. 그런데 궁중의 고자(庫子)는 곧 환관이었고 그 환관은 또 ‘불알 없는 고자’였으니, 그래서 그만 ‘庫子’가 ‘고자’로 되어버렸던 것일 거라는 생각이다.

 어쨌건 간에 '고자'를 '鼓子'라는 한자로 생각하는 건 잘못된 것 같다. 목수들이 기둥을 깎기 전에 먹줄의 금을 치게 되는데, 그 먹통을 중세어에서 '고자' 또는 '먹고자'라 했거나와, 그걸 본 사람이면 느낄 일이, '8'자 같이 되어 있어 '불알' 모습 비슷한 것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고자'란 말은 이 ‘먹고자’란 말과 관계있는 것이나 아닌지 모른다. ‘먹고자’가 지식을 낳을 리 없는 것이니 말이다.

 

- 박갑천: <어원수필(語源隨筆)>(1974)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순이'의 어원  (0) 2023.09.22
‘고뿌ㆍ컵’의 어원  (0) 2023.09.21
'꼬마'의 어원  (0) 2023.09.14
'동아리'의 어원  (10) 2023.09.08
‘근사하다’의 어원  (16)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