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

인위적임과 예술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했던 영화 <라디오>

by 언덕에서 2011. 7. 27.

 

 

인위적임과 예술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했던 영화 <라디오>

 

 

 

 

2003년 미국의 마이클 톨린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유명한 고교 미식축구 감독과 주위의 놀림을 당하는 자폐증에 걸린 왕따 흑인 청년 사이의 인종과 세대를 넘는 따뜻한 우정을 그린 감동 드라마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둔 걸로 알려져 있는데 게리 스미스(Gary Smith)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 지에 쓴 사실 기사에 바탕을 둔 이 영화에서, 오스카상에 네 번이나 후보에 올랐던 명배우 에드 해리스가 코치 존스 역을 담당했고, <제리 맥과이어>로 오스카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바 있는 젊은 연기파 쿠바 구딩 주니어가 타이틀 롤인 장애인 '라디오' 역을 훌륭히 연기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게 보내는 따뜻한 시선은 영화에서 즐겨 채용하는 인간적인 정서이다. 거꾸로 세상을 들여다보면 약자에 대한 휴머니즘은 그만큼 결핍의 정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희망하는 것이 쉽게 이루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구조적인 모순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것들을 다루는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등도 인위적이라는 혹평을 당하는 경우가 세상에는 허다하다. 그러나 속 보이는 인위성이 독자나 관객에게 간과당할 것임을 알면서도 작품을 제작하는 그 의도는 소설이나 영화가 실현가능한 이상을 제시하는 ‘예술’이라는 사실을 믿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배경은 미식축구의 열기가 뜨거운 미국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한 고등학교 주변의 작은 마을이다. 흑인 청년 제임스 로버트 케네디는 다소 모자라는 지능과 다소의 자폐증상 때문에 아무도 상대해 주는 사람이 없다. 그는 언제나 이 고등학교 담장 너머에서 연습 중인 미식축구팀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미식축구 부원들이 제임스를 린치 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를 목격하게 된 마을의 가장 존경받는 사람 중 한 명인 고교 미식축구 코치 해롤드 존스가 그를 발견하고 관심을 보이면서 사건이 전개된다.

 장애를 가진 낯선 청년에게 선행을 행하는 헤롤드는 어린 시절 충격적이었던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다. 신문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소년시절에 헤롤드는 토끼우리에게 갇혀 사육당하는 장애소년을 목격하고 충격에 휩싸여 도망 나온 기억이 있는데 그를 풀어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은 오랜 시간동안 그를 괴롭히던 강박관념이다. 

 

 

 

 

 제임스는 라디오 좋아해서 늘 끼고 다니자 헤롤드가 그에게 '라디오'라는 별명을 부르며 친구로서 다가간다. 처음에는 라디오도 존스를 의심하지만 존스는 계속적인 관심을 표현한다. 그는 주변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생을 건 선행을 행한다. 헤롤드는 제임스를 열성적으로 돌볼 뿐만 아니라 축구연습에 참가하게 하고 학교의 잡다한 일을 맡긴다. 하릴없이 학교 주변을 맴돌던 제임스는 기쁜 마음으로 그의 전 시간을 학교일을 돌보는데 전념한다. 그러나 헤롤드 코치의 인간적인 배려만으로 공교육의 현장에서 그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학교를 담당하는 장학사와 학부모들은 헤롤드를 못마땅하게 여겨 그는 난관에 빠진다. 헤롤드는 축구부 코치를 관두고 평교사로 남는 어려운 결정을 하면서 라디오를 학교에 남도록 애쓴다. 시간이 흘러 라디오 특유의 순수함 때문에 모든 학생들과 융화를 이루지만 때로는 그의 정상적이지 못한 일탈행위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제임스의 마지막 보호자인 어머니가 돌연사하는 비극을 겪는 와중에서도 헤롤드는 그를 보호하여 학교의 정식학생으로 만드는데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교육당국은 라디오를 평생 학교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준다.

 

 

 미국 개봉시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의외로 차가운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인위적으로 강요하는 조작된 감동에 대해 평론가들은 일제히 포문을 열었는데,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스티븐 레이는 "진짜 '라디오'와 진짜 코치는 이 영화보다는 더 나은 대접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평했고, 뉴스데이의 잰 스튜어트는 "총을 관객들의 머리에 겨눈 채 일어서서 열광하라고 강요하는 듯한 파렴치한 '(인위적으로 꾸며진) 감동' 소품."이라고 공격했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게리 스미스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 지에 쓴 라디오에 대한 이야기를 영화화하기 위해, 할리우드는 에드 리치를 각본가로, 또 에드 해리스를 울지 않으려 애쓰는 코치 역으로 기용했다. 그 결과는? 한마디로 실패였다."고 실망감을 표했다. 또, 보스톤 글로브의 웨슬리 모리스는 "엉터리(hogwash)"라고 일축했으며, 월 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겐스턴은 "쿠바 구딩 주니어의 잘 나가던 커리어의 파괴."라고 칭하는 등,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혹평을 가했다.

 


 그러나 이들은 생각이 좀 모자라거나 성급했다. 라디오가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그의 집안에서만 갇혀 살았다면 그는 사육되는 동물과 다름없는 인생을 살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비단 헤롤드 코치의 개인 체험에서만 비롯된 특이한 상황인가? 우리 사회의 대다수 장애인들은 비정상이라는 이유 때문에 사회로부터 격리당하기 일쑤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야만 절대다수인 정상인들이 편안하기 때문이다. 헤롤드 코치의 적극적인 관심과 보호는 영화에서처럼 개인의 많은 희생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실현되기 어려운 것이 현재의 현실이다. (영화 속의 미국이 이럴진대 우리나라는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이 영화에서 존재하는 마을 이발소의 역할은 특이하다. 영화 속에서 동네어른들은 동네 이발소에 모여서 서로의 안부를 묻고 마을의 대소사를 의논한다. 이 영화에서 이발소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해석하는 것은 영화를 이해하는 열쇠로 보인다. 폐쇄된 개인공간에 머무는 장애인 라디오와 대척점인 공공의 장소로 학교가 존재한다. 그 중간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이발소에서 결국 헤롤드의 최종 선택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광장이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찾아야 하는가 하는 사회학적 의문을 던져주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사회에서 소외되고 있는 약자들이 찾아야할 상징적인 광장들이 얼마나 간절한가 하는 지도 이 영화는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