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

요리사와 단식가 <301 302>

by 언덕에서 2011. 8. 31.

 

 

요리사와 단식가 <301 302> 

 

 

 

1995년 박철수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방은진과 황신혜가 주연했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시를 알아야 한다. 영화의 대본은 아래 장정일의 시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소설이나 희곡이 영화의 소재로 사용된 것은 영화의 역사와 일치할 정도이지만 시의 경우는 드물다. 그것은 운문이 가지는 양식상의 특성과 순간적인 정서를 이미지로 만드는 시를 스토리로 구성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시의 내용을 소재삼은 영화는 이야기의 양을 키우기 위한 줄거리의 확보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 <301 302>는 시에서 보여주고 있는 줄거리에 내적 동기를 부여하는 식으로 시나리오를 만들어 가고 있다. 시에서 결과적으로 제시된 두 인물의 대립관계는 이야기가 되어 입체화되고 설득력을 얻는다.  시에서는 두 여인이 왜 요리사가 되고 단식가가 되었는지 설명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요리사와 단식가 / 장정일

 

1

301호에 사는 여자. 그녀는 요리사다. 아침마다 그녀의 주방은 슈퍼마켓에서 배달된 과일과 채소 또는 육류와 생선으로 가득 찬다. 그녀는 그것들을 굽거나 삶는다. 그녀는 외롭고, 포만한 위장만이 그녀의 외로움을 잠시잠시 잊게 해준다. 하므로 그녀는 쉬지 않고 요리를 하거나 쉴 새 없이 먹어대는데, 보통은 그 두 가지를 한꺼번에 한다. 오늘은 무슨 요리를 해 먹을까? 그녀의 책장은 각종 요리사전으로 가득하고, 외로움은 늘 새로운 요리를 탐닉하게 한다. 언제나 그녀의 주방은 뭉실뭉실 연기를 내뿜고, 그녀는 방금 자신이 실험한 요리에다 멋진 이름을 지어 붙인다. 그리고 그것을 쟁반에 덜어 302호의 여자에게 끊임없이 갖다 준다.

 

2

302호에 사는 여자. 그녀는 단식가다. 그녀는 방금 301호가 건네준 음식을 비닐봉지에 싸서 버리거나 냉장고 속에서 딱딱하게 굳도록 버려둔다. 그녀는 조금이라도 먹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그녀는 외롭고, 숨이 끊어질 듯한 허기만이 그녀의 외로움을 약간 상쇄시켜 주는 것 같다. 어떡하면 한 모금의 물마저 단식할 수 있을까? 그녀의 서가는 단식에 대한 연구서와 체험기로 가득하고, 그녀는 방바닥에 탈진한 체 드러누워 자신의 외로움에 대하여 쓰기를 즐긴다. 흔히 그녀는 단식과 저술을 한꺼번에 하며, 한 번도 채택되지 않을 원고들을 끊임없이 문예지와 신문에 투고한다.

 

3

 어느 날, 세상 요리를 모두 맛본 301호의 외로움은 인육에게까지 미친다. 그래서 바싹 마른 302호를 잡아 스플레를 해 먹는다. 물론 외로움에 지친 302호는 쾌히 301호의 재료가 된다. 그래서 두 사람의 외로움이 모두 끝난 것일까? 아직도 301호는 외롭다 그러므로 301호의 피와 살이 된 302호도 여전히 외롭다.

 

 

 

 

 

 시를 읽었다면 주제를 영화로 옮겨보도록 하자. 우선 영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남편의 애완견으로 저녁을 대접하고 이혼에 성공한 송희(방은진)가 새희망바이오 아파트 301호에 이사를 온다. 요리가 취미인 301호 송희는 앞 집 302호의 윤희(황신혜)에게 줄기차게 음식을 대접하기 시작하고 거식증인 302호는 매일 그 음식을 쓰레기통에 버린다. 자신의 친절에 한 번도 제대로 응하지 않던 302호가 자신의 성의를 계속 무시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 301호는 302호에게 폭력적으로 달려들고 302호는 자신의 대인 기피증과 거식증의 역사를 고백하게 된다.

 302호는 어려서 계부로부터 상습적인 성폭행을 당하기도 하고 숨바꼭질 놀이를 하던 중 동네 어린 아이의 죽음을 목격하는 등의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글을 쓰는 전문직업인이지만 독자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도 않다. 성적 유린이라는 정신적 상처와 사회적 소외감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이라는 음식거부증에 걸려있는 그녀에게 301호의 음식을 매개로 한 친절은 부담스럽고 불편할 뿐이다.

 301호는 자신이 해다 바친 음식을 302호가 폐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부터는 억압이라는 수단을 이용해 그녀를 꺾어 버리겠다는 결심을 하고 더욱 음식 만들기에 몰입한다. 그녀는 바람난 남편으로부터 이혼당한 경력이 있는데 이혼 사유가 음식 만들기에서 비롯되었다. 음식을 만들어 남편을 잘 먹이는 것을 사랑이라고 생각한 그녀는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남편에게 바치는 정성을 보이는데 처음에는 남편도 이를 순수하게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후 남편은 그녀의 집착에 지치게 되고 그럴수록 여자는 병적으로 음식 만들기에 집착한다. 그녀는 고도비만이 되고 남편은 아내에 염증을 느껴 바람을 피게 되는데 그녀는 복수의 심정으로 남편이 아끼던 애완견을 요리하여 남편에게 먹인다. 이를 알게 된 남편의 충격으로 이혼하게 된 그녀는 위자료를 받아 301호에 이사 오게 된 것이다.

 서로의 과거를 알게 된 이들은 결국 서로를 이해하고 정신적 교감을 얻는다. 자신의 병을 고칠 유일한 방법은 자신이 음식 재료가 되는 것이라며 302호는 자신을 요리해줄 것을 부탁한다. 먹을 것을 사이에 둔 두 여자의 정신증이 극에 달한다. 301호는 이를 받아들이고 그녀를 죽여 요리한다. 결국 302호 여자는 실종이 되고 301호는 의문의 열쇠를 쥔 혐의를 받지만 수사극적 결말은 주어지지 않는다.

 

 

 

 시인은 현대인의 지독한 소외감 또는 단절이 마치 광적인 편집증으로 변하여 살인과 같은 고강도 위험수위로 치닫는 과정을 스토리를 빌려 이미지화 했다. 그것은 시의 스토리가 지니는 충격이 상징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에서 발견되는 시적인 면모다.  

 보기 드물게 먹을거리를 소재로 만들어진 이 영화는 꿈을 잃어버린 두 여인의 삶을 음식과 성을 매개로 표현해내고 있다. 두 여자는 새희망 바이오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파트의 희망찬 이름과 달리 두 여자는 전혀 행복하지 않았고, 희망 역시 없었다. 작가인 302호는 301호에게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쓸 수 없다고 말했다. 과연 그녀가 쓰고 싶었던 글은 무엇일까. 302호 몰래 컴퓨터에 띄워진 모닝섹스를 권유하는 칼럼의 일부를 읽던 301호의 떨떠름한 표정이 짓는다. 그녀가 그토록 경멸하는 섹스. 그것을 권유하는 글을 쓰던 302호. 무엇이 그녀의 진심일까? 세상을 왜곡시켜 보는 듯한 두꺼운 안경, 누군가의 죽음을 말하는 듯한 검은 옷. 이미 그녀는 살아도 사는 것이 아닌, 글만이 세상과의 소통방법인데도 불구하고 자신이 원하는 글은 쓸 수 없는, 세상과 단절된 여자이다. 요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보이는 301호, 어릴 적의 아픈 기억 때문에 음식을 먹을 수가 없는 302호의 상반된 의식은 끝내 충격적인 결말을 이끌어낸다. 절망과 고독, 소외로부터의 도피를 위해 마침내 자신의 육신을 음식재료로 제공하는 302호와 그녀의 제의를 받아들이는 301호의 식인장면은 충격과 허탈감을 동시에 느끼게 해준다. 

 1990년대의 세기말적인, 당시의 사회전반에 깔려있던 사람과 사람사이의 무관심, 내면의 외로움을 말하는 영화속에 301호가 검거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감독이 말하고 싶은 것은 살인자에 대한 권선징악이 아닌 두 사람의 외로움, 그리고 두 사람이 선택한 외로움의 해결방법을 말하고 싶은 것일 것이다. 302호는 세상에 없던 사람처럼 살아가다 결국 세상에 없던 사람처럼 죽어간다. 

 

 

 

 영화에서 보이는 의외의 감성으로 전개되는 특이함은 ‘인육요리’라는 엽기적인 것이 아니라 요리를 매개로 한 두 여자의 외로움의 실체이다. 이 두 여자는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이라는 성을 갖고 태어난 원죄적 경험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음식에 탐닉하던 301호는 마지막 장면에서 302호를 요리해 먹는다. 이 상징적 식인 장면은 사실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지만, 특히 파푸아뉴기니나 에스키모 관습을 연상시킨다. 302호가 301호 몸속에 들어감으로써, 아픈 과거에서 헤어나지 못했던 두 여자는 마침내 하나가 돼 안식을 얻는 셈인데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큰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