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 현대소설

오스카 와일드 장편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 』

by 언덕에서 2011. 10. 20.

 



 

오스카 와일드 장편소설『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 』

 

 

 

 


아일랜드의 작가 오스카 와일드의 유일한 장편소설로 1891년 간행되었으며 영국의 세기말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주인공 도리언은 작자의 사상적 분신이라고 할 수 있는 헨리 워튼 경의 유미적 쾌락주의에 촉발되어 악과 관능의 세계에 탐닉하고 여기에서 생기는 ‘추함’과 ‘노쇠’는 모두 그의 초상에 새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언제까지나 아름다움과 젊음을 잃지 않고 계속 죄를 거듭한다. 그러나 결국 잘못을 뉘우치고 새로운 삶을 위하여 그 초상을 파기하려고 단검으로 찌르지만, 그것은 또한 자신을 찌르는 것이 되고 만다. 쓰러진 그의 시체에는 노쇠와 추악함이 몰골사납게 나타난다는 내용이다.

 악과 관능의 세계에서 자신이 저지른 죄는 모두 자신의 초상화에 전가시키고, 쾌락을 추구하던 한 젊은이가 결국은 파멸하고 마는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19세기말에는 세기말적인 퇴폐적 유미주의가 세계를 풍미했다. 이때의 많은 작가들은 신기하고 새로운 감각을 찾기 위해 마약을 복용하거나 불륜의 연애사건에 휘말려들곤 하다가 대부분 요절했다. 와일드의 이 작품은 이러한 시대가 낳은 대표적 산물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19세기말의 장미꽃 향기가 짙은 어느 초여름 밤, 런던에 있는 버질 홀워드의 화실이 배경이다. 그는 지금 세상에서 보기 드문 미모의 젊은이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화를 막 완성하려는 참이다. 이를 보고 있는 친구 헨리 버튼 경은 얼굴에 미소를 띠고,

 “미, 진정한 미라고 하는 것은 지적 표현이 끝나는 곳에서 시작하는 것이야. 이 사람은 두뇌가 없는 아름다운 생물이야.”

라고 말한다. 이때 그림의 주인공이 들어온다, 그는 헨리 경의 악마적 유미주의 사상에 매료되어 자신은 그대로 젊음을 유지하는 대신 초상화 속의 인물만 추하게 늙어버렸으면 하고 바란다.

 한편, 도리언은 변두리 가설극장에서 본 여배우 시빌 베인에게 매혹된다. 그러나 그녀가 무대 위의 줄리엣에서 현실 속의 시빌 베인으로 돌아와 ‘아름다운 왕자’인 자신을 열애하게 되자 그녀를 멀리한다. 이때 도리언은 자신의 초상화에서 전에 없던 미묘한 변화를 알아챈다. 자신의 추해진 모습을 보면서 과오를 뉘우치고 그녀와의 결혼을 결심하지만, 그녀는 이미 자살한 뒤였다.

 그 후 그는 환락의 생활 속에서 점점 타락해 간다. 여자들을 마구 유혹하면서 사창굴에 출입하고, 끝에 가서는 친구인 화학자와 시빌의 남동생 홀 워드까지 살해한다.

 38세 된 어느 날 밤, 그는 자신을 죽이는 것과 마찬가지인 행위, 즉 칼로 초상화를 찢은 후 쭈글쭈글한 주름투성이의 얼굴로 바닥에 쓰러져 죽는다.  

 

<영화 '도리언 그레이'의 한 장면>


 오스카 와일드는 영국 문학사에 가장 특이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자신이 "예술가는 아름다운 것을 창조하는 사람이다"라고 했듯이, 이 장편소설에서 그의 인생관과 예술지상주의를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이 당시 영국 사회에서 물의를 일으킨 것은 이 작품의 특성으로 보아 당연한 면이 있다. 도덕성에 관한 한 오스카 와일드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이 갖고 있던 도덕관을 여실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특히 도리언과 헨리 경과의 관계는 오늘날에도 완전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이 아닌가 한다. 이는 오스카 와일드 자신이 주장하고 있는 ‘예술을 위한 예술’의 예술지상주의적 입장을 천명한 바, 예술작품은 오직 예술을 위하여서만 기여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곧 유미주의의 문학 사건을 낳게 한 계기가 되었다.



 주인공인 도리언은 순수한 청년으로 영원히 자신의 젊음과 미모를 간직하고 싶어한다. 이런 도리언과 그를 모델로 하는 초상화와 버질이라는 존재는 작품 전개와 결말에 큰 암시를 처음부터 주고 있다. 여기에 헨리 경이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급속도로 전환되고, 시빌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창출한다. 즉, 미와 욕망의 관념 전개에서 보상과 대타협을 향한 심리적 움직임이 다소 미스테리하게 나타난다. 마지막 대타협은 주인공 도리언의 죽음으로 결말나는데, 이 소설 전체의 줄거리를 해결하는 상징으로 극히 함축적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리언의 젊고 아름다운 모습의 초상과 늙고 추한 모습, 그리고 욕망을 보상하는 죽음의 모습이 그것이다.

 오스카 와일드는 이 작품을 통하여 자신의 도덕관과 미에 대한 관념을 표현했으나, 당시 영국 사회는 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에 있어 물의를 일으켰다. 그러나 그가 철저하게 자신의 이념을 자기의 인생관과 체험을 통하여 숨김없이 그대로 작품에 반영하여 유미주의로 가는 길목을 텄다는 점에서 영국 문학사에 커다란 유산으로 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