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록예찬(新綠禮讚)
이양하(1903 ~ 1963)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四時)를 두고 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 그 중에도 그 혜택을 가장 아름답게 나타내는 것은 봄, 봄 가운데도 만산(萬山)에 녹엽(綠葉)이 싹트는 이 때일 것이다.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고 먼 산을 바라보라. 어린애의 웃음같이 깨끗하고 명랑한 5월의 하늘, 나날이 푸르러 가는 이 산 저 산, 나날이 새로운 경이(警異)를 가져오는 이 언덕 저 언덕, 그리고 하늘을 달리고 녹음을 스쳐 오는 맑고 향기로운 바람―우리가 비록 빈한하여 가진 것이 없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때 모든 것을 가진 듯하고, 우리의 마음이 비록 가난하여 바라는 바, 기대하는 바가 없다 할지라도, 하늘을 달리어 녹음을 스쳐 오는 바람은 다음 순간에라도 곧 모든 것을 가져올 듯하지 아니한가?
오늘도 하늘은 더할 나위 없이 맑고, 우리 연전(延專) 일대를 덮은 신록은 어제보다도 한층 더 깨끗하고 신선하고 생기 있는 듯하다. 나는 오늘도 나의 문법 시간이 끝나자, 큰 무거운 짐이나 벗어 놓은 듯이 옷을 훨훨 떨며, 본관 서쪽 숲 사이에 있는 나의 자리를 찾아 올라간다. 나의 자리래야 솔밭 사이에 있는, 겨우 걸터앉을 만한 조그마한 소나무 그루터기에 지나지 못하지마는, 오고 가는 여러 동료가 나의 자리라고 명명(命名)하여 주고, 또 나 자신도 하루 동안에 가장 기쁜 시간을 이 자리에서 가질 수 있으므로, 시간의 여유가 있을 때마다 나는 한 특권이나 차지하는 듯이, 이 자리를 찾아 올라와 앉아 있기를 좋아한다.
물론, 나에게 멀리 군속(群俗)을 떠나 고고(孤高)한 가운데 처하기를 원하는 선골(仙骨)이 있다거나(고답적인 태도), 또는 나의 성미가 남달리 괴팍하여 사람을 싫어한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역시 사람 사이에 처하기를 즐거워하고, 사람을 그리워하는 갑남을녀(甲男乙女)의 하나요, 또 사람이란 모든 결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시 가장 아름다운 존재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또, 사람으로서도 아름다운 사람이 되려면 반드시 사람 사이에 살고, 사람 사이에서 울고 웃고 부대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때―푸른 하늘과 찬란한 태양이 있고, 황홀(恍惚)한 신록이 모든 산, 모든 언덕을 덮는 이 때, 기쁨의 속삭임이 하늘과 땅, 나무와 나무, 풀잎과 풀잎 사이에 은밀히 수수(授受,주고받고)되고, 그들의 기쁨의 노래가 금시라도 우렁차게 터져 나와, 산과 들을 흔들 듯한 이러한 때를 당하면, 나는 곁에 비록 친한 동무가 있고, 그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자연에 곁눈을 팔지 않을 수 없으며, 그의 기쁨의 노래에 귀를 기울이지 아니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또, 어떻게 생각하면, 우리 사람이란―세속에 얽매여, 머리 위에 푸른 하늘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주머니의 돈을 세고, 지위를 생각하고, 명예를 생각하는 데 여념이 없거나, 또는 오욕 칠정(五欲七情)에 사로잡혀, 서로 미워하고 시기하고 질투하고 싸우는 데 마음에 영일(寧日,편안한 날)을 가지지 못하는 우리 사람이란, 어떻게 비소(卑小)하고 어떻게 저속한 것인지. 결국은 이 대자연의 거룩하고 아름답고 영광스러운 조화를 깨뜨리는 한 오점(汚點) 또는 한 잡음(雜音)밖에 되어 보이지 아니하여, 될 수 있으면 이러한 때를 타서, 잠깐 동안이나마 사람을 떠나, 사람의 일을 잊고, 풀과 나무와 하늘과 바람과 마찬가지로 숨쉬고 느끼고 노래하고 싶은 마음을 억제할 수가 없다.
그리고 또, 사실 이즈음의 신록에는, 우리의 마음에 참다운 기쁨과 위안을 주는 이상한 힘이 있는 듯하다. 신록을 대하고 있으면,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머리를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 낸다. 그리고 나의 마음의 모든 티끌―나의 모든 욕망(欲望)과 굴욕(屈辱)과 고통(苦痛)과 곤란(困難)이 하나하나 사라지는 다음 순간, 볕과 바람과 하늘과 풀이 그의 기쁨과 노래를 가지고 나의 빈 머리에, 가슴에, 마음에 고이고이 들어앉는다.
말하자면, 나의 흉중(胸中)에도 신록이요, 나의 안전(眼前)에도 신록이다. 주객 일체(主客一體), 물심일여(物心一如)라 할까, 현요(眩耀)하다 할까. 무념무상(無念無想), 무장 무애(無障無碍), 이러한 때 나는 모든 것을 잊고, 모든 것을 가진 듯이 행복스럽고, 또 이러한 때 나에게는 아무런 감각의 혼란(混亂)도 없고, 심정의 고갈(枯渴)도 없고, 다만 무한한 풍부의 유열(愉悅,유쾌하고 기쁨)과 평화가 있을 따름이다. 그리고 또, 이러한 때에 비로소 나는 모든 오욕(汚辱)과 모든 우울(憂鬱)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고, 나의 마음의 모든 상극(相剋)과 갈등(葛藤)을 극복하고 고양(高揚)하여, 조화 있고 질서 있는 세계에까지 높인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그러기에 초록에 한하여 나에게는 청탁(淸濁,맑고 탁함, 여기서는 좋아하고 싫어함의 의미)이 없다. 가장 연한 것에서 가장 짙은 것에 이르기까지 나는 모든 초록을 사랑한다. 그러나 초록에도 짧으나마 일생이 있다. 봄바람을 타고 새 움과 어린잎이 돋아나올 때를 신록의 유년이라 한다면, 삼복염천 아래 울창한 잎으로 그늘을 짓는 때를 그의 장년 내지 노년이라 하겠다. 유년에는 유년의 아름다움이 있고, 장년에는 장년의 아름다움이 있어 취사하고 선택할 여지가 없지마는, 신록에 있어서도 가장 아름다운 것은 역시 이즈음과 같은 그의 청춘시대 ― 움 가운데 숨어 있던 잎의 하나하나가 모두 형태를 갖추어 완전한 잎이 되는 동시에, 처음 태양의 세례를 받아 청신하고 발랄한 담록(淡綠)을 띠는 시절이라 하겠다. 이 시대는 신록에 있어서 불행히 짧다. 어떤 나무에 있어서는 혹 2,3 주일을 셀 수 있으나, 어떤 나무에 있어서는 불과 3,4일이 되지 못하여, 그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은 지나가 버린다. 그러나 이 짧은 동안의 신록의 아름다움이야말로 참으로 비할 데가 없다. 초록이 비록 소박하고 겸허한 빛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때의 초록은 그의 아름다움에 있어, 어떤 색채에도 뒤서지 아니할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고귀한 순간의 단풍, 또는 낙엽송을 보라. 그것이 드물다 하면, 이즈음의 도토리, 버들, 또는 임간(林間)에 있는 이름 없는 이 풀 저 풀을 보라. 그의 청신한 자색(姿色,모습과 색깔), 그의 보드라운 감촉, 그리고 그의 그윽하고 아담한 향훈(香薰,꽃다운 향기), 참으로 놀랄 만한 자연의 극치의 하나가 아니며, 또 우리가 충심(衷心)으로 찬미하고 감사를 드릴만 한 자연의 아름다운 혜택의 하나가 아닌가?
이양하. 수필가ㆍ영문학자. 평남 강서(江西) 생. 동경제국대학 영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수료. 1930년 [시문학] 동인,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연희전문학교 교수, 1935년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내고 195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연구, 1953년 미국 학술원 초청으로 다시 도미, 예일대학 언어학부에서 마아틴 교수와 함께 <한영사전>을 편찬하였다. 1954년 학술원회원, 1958년 이후 서울대 문리대 학장 서리 재직 중 위암으로 사망. 영문학 관련 논문, 문학평론 등 다수 발표.
위의 수필은 1948년 간행된 <이양하수필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수필은 <푸르스트의 산문><페이터의 산문> 등과 같이 인생과 자연을 직관하고 개인적인 상상으로 의미를 응집하는 개인적 수필의 전형을 이루고 있는 작품이다.
작가는 시적 대상을 직관적 상상력으로 그 의미를 확대하여 자연을 인생과 대응하면서 수필을 통찰과 달관의 관조의 미학으로 승화시키고 동양적인 직관의 미학을 정립하고 있다.
<신록예찬>은 이런 이양하 수필의 전형으로 신록의 아름다움과 그 신록이 주는 인생의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내용으로 한 글로 작가는 이 글에서 자연 친화적인 자세로 대상에 접근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자연의 혜택과 아름다움을 예찬하고 있으면서도 그 속에는 세속적인 삶의 태도를 반성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소재의 특성과 지은이의 태도가 잘 조화되어 독자에게 교훈을 주기에 충분한 글이다.
이 글에서 자연은 삶의 환경으로서의 자연이 아닌 예찬의 대상이므로 상대적으로 인간의 가치가 자연에 비해 보잘것없는 존재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조응이 현대적 삶의 한 과제임을 생각할 때 지은이의 자연에 대한 일방적인 예찬의 자세는 일면적인 것으로, 우리는 자연을 극복하려는 태도와 자연에 귀의하려는 태도를 조화시켜 현실적인 삶에 충실을 기해야 하겠다.
작가가 보여준 이런 관조의 미학으로 청빈낙도(靑貧樂道)의 천리를 터득한 <나무>, 국화의 의미와 그 표상을 그린 <무궁화> 등 이양하 수필은 김진섭(金晉燮) 등의 사회적 수필과 한국 수필의 2대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문학가 / 사상가 루쉰 (0) | 2011.04.21 |
---|---|
중국의 소설가 / 극작가 라오서 (0) | 2011.04.20 |
눈길 / 김애자 (0) | 2011.03.15 |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술(酒) (0) | 2011.03.10 |
게장 / 문혜영 (0) | 201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