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희곡 『뜻대로 하세요(As You Like It)』
영국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곡으로, 5막 22장으로 구성되며 1623년 간행되었다. 낭만적 코미디의 대표작이며 사랑과 자연, 변장, 정체성, 권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1599년에서 1600년경에 쓰였으며, 셰익스피어의 다양한 극작 기법과 유머 감각을 한데 모아 낭만적이고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주요 배경은 도시와 숲, 권력의 중심지와 자연 속 등으로 여러 곳의 자유로운 삶을 대조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아덴 숲의 목가적인 전원생활을 배경으로 하여 남장(男裝)한 로잘린드와 오란드, 실리어와 올리비어 두 쌍의 연애 흥정이 즐겁게 전개된다. <한여름 밤의 꿈>이 달빛 아래의 환상이라면, 이 작품에서는 햇볕 내리쬐는 숲그늘의 공상세계이다. 로잘린드는 셰익스피어가 만든 여성의 대표적 캐릭터이다.
이 연극은 명랑한 로맨스를 다룬 희극이지만 영지를 둘러싼 혈육 간의 분쟁을 다루고 있다. 숲에서 사는 제이크위즈의 염세적이고 풍자적인 대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인생의 어두운 면을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동시대 작가 T.로지의 소설 <로잘린드(Rosalynde)>(1590)에서 취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동생 프레드릭에 의하여 추방된 공작(公爵)은 소수의 부하를 데리고 아덴의 숲에서 살고 있다. 공작의 딸 로잘린드는 프레드릭의 딸 시리아와 친하기 때문에 궁정에 머무르고 있다가 청년 오란드를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숙부의 미움을 받고 궁정을 쫓겨나 남장(男裝)을 하고 아버지 곁으로 간다. 시리아도 그녀를 따라 나선다.
오란드도 간악한 형 올리비어에게 추방되어 아덴의 숲에서 로잘린드와 만나지만 변장하고 있기 때문에 로잘린드를 몰라본다. 그들은 모두 공작의 환영을 받는다. 동생을 살해하려던 올리비어는 동생에게 구조되어 개심하고, 프레드릭도 은자(隱者)의 설교로 자신의 죄를 뉘우치며, 공작은 궁으로 돌아오고 오란드와 로잘린드, 올리비어와 시리아는 각각 결혼한다
이 희곡에서 사랑은 다채로운 방식으로 묘사된다. 로잘린드와 올랜도의 사랑은 낭만적이고 이상적이지만, 다른 인물들의 사랑은 때로는 일방적이거나 우스꽝스럽게 그려진다. 변장은 셰익스피어의 전형적인 극적 장치로, 로잘린드가 가니메데로 변장하여 올랜도를 시험하는 장면은 사랑의 진정성과 인간관계의 복잡함을 탐구한다.
아덴 숲과 궁정의 대비는 주요 배경적 테마 중 하나다. 궁정은 권력과 억압의 상징으로 그려지며, 아덴 숲은 자유와 평등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셰익스피어는 이 대비가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숲은 유토피아처럼 보이지만 인간의 갈등과 어리석음도 여전히 존재한다. 남성으로 변장한 로잘린드는 기존의 여성적 기대를 벗어나 자유롭게 행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성별의 경계를 흐리게 하며, 정체성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작품 속 광대 터치스톤은 셰익스피어의 희극에서 자주 등장하는 역할로, 유머와 풍자를 통해 사회와 인간의 어리석음을 조롱한다. 터치스톤은 철학적이면서도 희극적인 언어를 구사하여 사회의 위선을 지적하며, 그의 존재는 극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이 작품의 결말은 셰익스피어의 낭만적 코미디가 지향하는 화해와 용서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프레드릭 공작의 개종과 화해 그리고 올리비어의 개과천선은 권력과 욕망이 화해로 끝날 수 있음을 얘기한다.
♣
소박하고 평화로운 서정적인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뜻대로 하세요」라는 제목이지만, 셰익스피어가 비극기 접어들 무렵의 희극이니 만큼, 서정적인 세계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심각한 주제를 다룬 희극이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인간 고뇌의 우주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고, 희극은 인간 사회의 즐거운 면과 어리석은 면을 다루고 있다. 희극「뜻대로 하세요」도 이와 일치한다.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에서도 사랑과 인간관계, 자연 속에서의 자유라는 테마를 가장 밝고 유쾌하게 그린 희극 중 하나다. 낭만적 코미디의 전형적인 구조와 테마를 따르지만 그 속에 숨어 있는 철학적, 심리적 깊이는 여전히 현대 관객들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특히 로잘린드의 캐릭터는 당시의 사회적 성 역할에 대한 도전을 의미하며 강한 여성 주인공으로 셰익스피어 희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작품은 사랑과 자유, 인간의 정체성 문제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탐구하며 셰익스피어만의 독창적인 유머와 풍자를 통해 16세기와 21세기를 잇는 보편적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세상의 희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 희극 『사랑의 헛수고(Love's Labour's Lost)』 (15) | 2024.11.01 |
---|---|
버나드 쇼 4막 희극 『인간과 초인(Man and Superman)』 (8) | 2024.10.23 |
말로 희곡 『파우스터스 박사(Doctor Faustus)』 (1) | 2024.08.28 |
하우프트만 희곡 『한넬레의 승천(Hanneles Himmelfahrt)』 (22) | 2024.08.23 |
헤벨 희곡 『유디트(Judith)』 (31)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