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소나기’의 어원

by 언덕에서 2024. 2. 1.

 

‘소나기’의 어원

 

쨍쨍 내려쬐던 햇볕이었는데, 느닷없이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하늘이 낮아져 이윽고 억수같이 비가 퍼붓는다. 여름날이면 하루에도 이런 소나기를 몇 번씩 맞게 된다.

 “소나기는 오려하고 똥은 마렵고 괴타리는 옹치고 꼴짐은 넘어지고 소는 뛰어나갔다”

는 속담은, 일이 너무도 바쁘고 많아서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름을 이르지만, 거기서도 ‘소는 뛰어나갔다.’고 표현한 것을 보면 ‘소’와 ‘소나기’와는 관련을 짓게 되어 있긴 한 모양이다.

 소나기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지금부터 2백여 년 전 경기도 안성(安城) 장에서 30리쯤 떨어진 어느 마을에 고집 세기로 이름난 두 노인이 있었다. 어느 해의 7월, 안성 장으로 소를 팔려고 한 마리씩 끌고 10리쯤 갔을 때 날이 흐려졌다. 한 노인은 비가 올 테니 집으로 가자 하고, 다른 노인은 그렇지 않을 테니 그냥 장으로 가자 하고 티격태격을 벌이다가 내기를 하게 되었다. 그때 비가 쏟아졌다. 한 노인이, 다른 노인 소의 고삐를 잡으면서,

 “자, 이 소는 인제 내 거네.”

했을 때 비는 개었고, 그래서 다시 고삐를 놓으면서 비가 또 오고… 소나기 삼형제라더니 적어도 세 번은 했던 것이리라. 이것이 나중에는 군수에게 솟장을 내는 데까지 이르게 되어 그때 사람들은 비가 오다 말다 하면 누가 또 ‘소 내기’ 하는 것 아닌가 곁말을 썼던 데서부터 ‘소나기’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사뭇 그럴싸해 뵈지만, 괜히 말꼬리를 잡아 갖다 붙인 것일 뿐 그것이 소나기라는 말의 시작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함경도 쪽 사투리로 천둥을‘소낙’이라 하는 것에서 살펴, 소나기가 내릴 때는 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한바탕 요란한 것에서부터 시작된 ‘소낙이→ 소나기’거나, ‘소낙비’였다고 생각하는 편이 훨씬 더 가당한 이야기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성질이 소낙 같다.’고 하는 말은 성질이 급하다는 뜻인 채, 천둥과 같이 요란한 것도 아울러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 내기를 해서의 소나기란다면, ‘손(手ㆍ客)’과 ‘아기(兒)’를 관련지어도 이야기를 꾸며낼 수는 얼마든지 있는 일이어서 좀 더 있으리라고 이슬비가 내린다는 것이나, 이젠 가라고 가랑비가 내린다는 말이, 생각하는 쪽에 편리하게 만들어질 소지를 지니고 있음도 그러한 종류라 할 것이다. 이런 따위, 이른바 민간어원론은 상당히 많다. 얼른 들어 그럴듯하지만, 역시 한 자리 웃음거리에 지나지 않을 것들이다.

 ‘거나하다’에 대해서도 그와 같은 꼬리가 붙어 다닌다. 술이 적당하게 취해 있는 상태가 곧 ‘거나한’ 것인데, 이럴 때쯤이면 판단력 흐려질 염려는 없는 의식 상태라고는 해도 만사 오케이고 천하 태평한 상태라 할 만하다, 대단히 거리낄 것 없어서 내일이야 어찌 될망정 지금은 구름 타고 있는 기분이다. 이런 거나한 기분의 남편에게 아내가 헐레벌떡 뛰어왔다.

 “여보, 뭘 하고 계세요, 아버님께서 지금 위독하시단 말이에요.”

 “허허, 그래. 위독하거나 말거나.”

 이런 불효자식 봤나? 그러나 그뿐이 아니다.

 “여보, 지금 비가 오는데 지붕이 새어 건넌방이 엉망이에요.”

 “허허, 지붕이 새거나 말거나.”

 요런 엉터리 가장 봤나. 이래서의 ‘거나하다’라는 것이니까, ‘소나기’의 ‘소 내기’ 그것과 다를 바가 없다.

 

 

- 박갑천 : <어원수필(語源隨筆)>(1974)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가위ㆍ보름’의 어원  (0) 2024.02.23
'설ㆍ살'의 어원  (0) 2024.02.08
‘아침’의 어원  (0) 2024.01.18
'이야기'의 어원  (12) 2024.01.12
‘노다지’의 어원  (0)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