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빵'의 어원

by 언덕에서 2023. 12. 21.

 

'빵'의 어원

 

 

요즈음 빵 문제도 해결 못하는 신세라는 말을 한다. 빵 문제라는 말은, 세 끼니 식사 문제라는 뜻이다. 세 끼니 식사를 모두 빵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아니 세 끼니는커녕 한 끼니도 빵으로 식사를 잇는 주제가 아니면서도, 말은 이렇게 하는 것이다. 즉 ‘일용할 양식’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물론 이것도 양풍(洋風)이 든 말이다. 지난날의 표현으로야 끼니 잇기가 어렵다느니, 조반석죽(朝飯夕粥)도 어렵다느니에다, 입에 풀칠이 어렵다는 좀 과장이 심한 표현도 있어, [즘생을 데리고 읍내를 도망해 나왔을 때는 너를 팔지 않기 다행이었다고 길가에서 울면서 즘생의 등을 어루만졌던 것이다. 빚을 지기 시작하니, 재산을 모을 염은 당초에 틀리고 간신히 입에 풀칠을 하러 장에서 장으로 돌아다니게 되었다.]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처럼 소설에도 쓰이는 것이었다. 월급쟁이들이 점심을 해결하려면서 ‘민생문제 해결’이라는 말을 곁들이기는 하지만. 하여간 빵집엘 가면 종류도 많아서 버터빵ㆍ앙꼬빵ㆍ곰보빵ㆍ독일빵ㆍ크림빵ㆍ찐빵ㆍ군빵 등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파고들어 온 느낌만은 실감할 수가 있다.

 우리의 재래식품이 아니니, 시작이 우리말은 아니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쓰이는 영어로는 bread여서, 우리가 말하는 ‘버터빵’도 그들은 'bread and butter'라 한다. 독일말로도 brot, 프랑스말로라면 pain이 되지만, 우리의 경우, 일본사람들이 우리나라를 점거하고 있는 동안에 번졌던 것이니, 그 일본 사람들이 어느 나라 말을 받아들였느냐 함이 살펴볼 거리가 된다.

 스페인어로도 pan으로는 된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의 ‘パン’은 그쪽에서 받아들인 것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역시 저들이 상대한 첫 유럽인들이 포르투갈 인들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역시 그쪽 말 'pao'쪽이 아닌가 생각된다. 포르투갈 인들은 16세기께부터 일본에 왔는데, 포교의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문물을 일본에다 심어서. 이를테면 술 한 컵의 ‘곱푸’나, 카드를 이를 때의 ‘가루다’가 copaㆍcarta(영어로는 cupㆍcard)로 되는 것인데, 그것이 차츰 영어세(英語勢)에 밀려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농촌에 가면 아직도 촌로들이 술 한 고뿌라는 말을 쓰고 있는 것을 듣게 된다.)

 그런데 포르투갈어의 pao나 프랑스어의 pain 따위는 모두 라틴어 panis에서 변한 것이며, 이 pani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목양신(牧羊神) pan과 관계가 있다. 목양신 판은 머리에 양 같은 뿔이 나 있고, 얼굴도 산양 비슷한데,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산양의 꼴을 하고 있다. 이마도 pan의 본디 뜻은 ‘방목자’나 ‘사양자(飼養者)’ 같은 것이었으리라.

 ‘빵’은 따져보아도 역시 일용할 양식 쪽에 뜻이 있었다.

 

 

- 박갑천 : <어원수필(語源隨筆)>(1974)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다지’의 어원  (0) 2024.01.04
‘총각김치’의 어원  (0) 2023.12.29
‘브래지어(brassiere)’의 어원  (2) 2023.12.15
‘철쭉’의 어원  (0) 2023.12.14
'빨강이ㆍ노랑이'의 어원  (2)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