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다교(브라만교,바라문교, 婆羅門敎, Brahmanism)
베다교는 기원전 1,500년경 코카사스 북쪽에 거주해 있던 인도-아리아인들(줄여 아리아인들이라 함.)이 인더스강 유역의 펀잡지방으로 대이동 정착하여 <베다>성전을 집대성하면서 형성된 종교다. 고대 인도에서 브라만 계급을 위주로 《베다》를 근거로 하여 생성된 종교로 한자어로 바라문(婆羅門)이며 특정 교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힌두교 및 기타 인도 종교의 바탕이 된 종교로서 베다시기에 만들어져 베다교 또는 베다브라만교라고도 불린다. 삼히타(Samhita), 브라마나(Brahmana), 아란야카(Aranyaka), 우파니샤드(Upanishad) 등 총 4개의 베다문헌에 수록된 진언(眞言)을 따르고 있으며 제물을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 의례가 특징적이다. 숭배의 대상으로는 자연현상의 배후에서 어떠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주체를 상정하고 그것을 인격적 주체로 구체화한다. 예를 들어 그리스 고대종교처럼 강, 불과 같은 요소를 숭배하여 이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의례를 행하였고, 사람들은 장수, 다산(多産) 등을 바랬다. 이러한 숭배 행위는 현재 힌두교에도 전해지고 있다.
브라만교는 기원전 1500년 경 아리아인들이 인도 북서부로 침입하면서 원주민인 드라비다족을 노예화하거나 남부로 몰아낸 후 갠지즈강에 정착한 후 기원전 1000~800년 경 만들어진 종교이다. 브라만교 성립은 제설혼합의 종교 집대성 문헌인 베다를 빼놓을 수 없는데, 리그베다 성립시기인 기원전 1000년까지를 전기 베다시대, 이후부터 기원전 600년까지를 후기 베다 시대로 구분한다. 즉 국가가 출현하고, 창조자와 피조물의 동질성 등 철학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이른바 카스트 제도라는 계급제도가 정형화 되었다.
초기 브라만교는 다양한 신을 숭배했고 인간의 안위를 바라는 의미에서 이들에게 제물을 헌납하는 등 상당히 단순한 형태였다. 태양신은 수르야(Surya), 어둠과 축복의 신은 푸샨(Pushan), 선의 신 미트라(Mitra), 공기의 신 인드라
(Indra) 등 삼라만상의 존재를 신격화했다. 또한 초기에는 신들을 위한 사원이 없었지만 브라만 사제들이 제물을 바쳤는데, 주로 말, 소, 양, 염소 등 살아 있는 생물체와 쌀, 밀 등의 곡물이었다.
이후 브라만교는 우파니샤드가 탄생하면서 두 부류로 갈라지기 시작했다. 관례적 측면에서 사회적 제한이나 의무, 종교적 의례가 확대되는 분파가 있었던 반면, 이론적으로 브라만교는 개인의 해탈을 위해 개인 신을 숭배해야 하며 여기에 따른 제물만 헌납해야 한다는 주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결과 전자는 우파니샤드에 종교 의례와 철학이 반영된 반면, 후자는 브라만 사제들에 의해 명맥이 이어져왔다.
브라만교에는 대중적인 기도와 제사 등 의례적 측면 이외에도 고도의 철학적 내용이 있다. 제사와 사회제도
등의 실천적인 면은 후에 《가정경(家庭經)》, 《대계경(大啓經)》, 《법경(法經)》 등의 경서를 낳았고, 철학적 면은 이른바 6파 철학(六派哲學)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모두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정통파로서, 이것을 부정하는 불교와 자이나교 등과는 대립관계에 있다.
브라만교에서는 바르나 아슈라마라(asrama: 생활기)라는 특이한 제도가 있는데, 여기에는 바르나 구성원이 한평생에 반드시 거치는 단계가 설정되어 있다. 즉 학생기·가장기(家長期)·임서기(林捿期)·유행기(遊行期) 등 4단계로 구분된다. 브라만교는 후에 민간신앙을 받아들여 인도 국민 일반에 널리 교세를 떨치려 하였는데, 이것을 힌두교라고 한다.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의 여가수 덩리쥔 (등려군 鄧麗君) (0) | 2011.03.04 |
---|---|
수잔 베가(Suzanne Vega)를 아시나요? (0) | 2011.02.25 |
권리진교소설(權利盡交疎說) / 정민 (0) | 2010.12.14 |
John Lovett의 그림 (0) | 2010.11.06 |
경교(景敎)는 과연 신라에 전래되었을까? (2) | 201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