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천주교와 개신교의 십계명 차이

by 언덕에서 2008. 8. 18.

 

 

 

천주교와 개신교의 십계명 차이

 

 

 

그리스도교의 십계명(十誡命)  

 

 

 

천주교와 개신교의 십계명이 다르다고 한다. 그리스도를 믿는 뿌리가 같은 종교이고 또한 같은 신/구약성경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시내산에서 모세가 받았다고 전해지는 석판

 

 십계명(十誡命)은 하느님이 시내산에서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려준 10개조의 계율. 2장의 석판에 새겨져 있었다고 하며, ‘모세의 십계’라고도 한다.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종교 윤리의 근본원리를 간결하게 나타낸 것으로, <구약성서>의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거의 같은 형태로 나와 있다. 사막에서 목축을 하며 살아가던 고대 유랑 유목민의 부족공동 생활규율의 성격이 강하다.  

 전문(前文)에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의 하느님 야훼로라”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 계율이 하느님의 택함을 받고 이미 구원함을 얻은 공동체에 대한 지침이라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라고 하여 유일신(唯一神)에 대한 신앙을 요구하는 첫째 계명, 우상숭배를 금하는 둘째 계명, 하느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것을 금하는 셋째 계명 등은 다신교적인 고대 여러 종교 가운데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다. 이어 안식일의 성수(聖守), 부모의 공경, 살인ㆍ간음ㆍ도적질ㆍ거짓증거(僞證)ㆍ탐욕 등의 금지가 단언적인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유대교, 그리스도교 율법의 핵심 - 고대 교부철학의 대성자(大成者)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과 반발

 

  십계명(十誡命)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가 참고로 삼는 계명으로, 모세 율법의 핵심이다. 모세 율법의 중심은 출애굽기 20장 1절~23장 33절의 계약서나 신명기 1~29장의 신명기 법전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의 핵심은 출애굽기 20장 1~17절과 신명기 5장 6~21절의 십계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십계명을 잘 알게 되면, 모세 율법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구약성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십계명(十誡命)이란 용어는 히브리어 아쉐레트 하드바리임(10마디 말씀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출애굽기 34장 28절, 신명기 4장 13절과 10장 4절에 나온다. 십계명(十誡命)을 소개하는 출애굽기 20장 1절에는 이 모든 말씀들로 나오고, 신명기 5장 5절에는 야훼의 말씀으로 나온다.  

 

 【로마 가톨릭(천주교)에서 사용하는 십계명】    

 

 1. 하나이신 *하느님을 흠숭하여라.   

 2.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아라.   

 3. 주일을 거룩하게 지켜라.   

 4. 부모에게 효도하라.   

 5. 사람을 죽이지 말라.   

 6. 간음하지 말라.   

 7. 도적질하지 말라.   

 8. 거짓 증언을 하지 말라.   

 9. 남의 아내를 탐내지 말라.  

 10. 남의 재물을 탐내지 말라.  

 

 로마 가톨릭은 전통적으로 우상에 대한 계명(출애굽기 20장 4∼6절)을 다른 신을 금지하는 1계명(20장 3절) 속에 포함시킨다. 결국 20장 3∼6절이 제1계명이 된다. 그리고 17절을 전·후반부로 나누어 제9, 제10계명으로 나누고 있다. 이는 롬바드에 의하여 채택된 이래로, 로마 가톨릭이 따르게 되었다.   

 이러한 분류는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하여 옹호된 것이기도 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우상에 대한 계명은 제1계명의 다른 신들에 대한 계명을 좀더 충분히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출애굽기 20장 17절과 신명기 5장 21절에서 “탐내지 말라”는 계명을 “너희는 탐내지 말라”란 구절이 두 번 반복되는 것으로 보아 두 계명으로 구분된다고 말했다. 그는 신명기 본문에 따라 남의 아내를 탐내는 것에 관한 계명을 대체로 제9계명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남의 소유를 탐내는 것에 관한 계명을 제10계명으로 삼았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로마 가톨릭은 이 구분 방법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였다. 다만 천주교(로마 가톨릭)가 출애굽기 본문을 따라서, 남의 집을 탐내는 것에 관한 계명을 제9계명으로, 남의 아내와 소유를 탐내는 것에 관한 계명을 제10계명으로 간주한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와 다를 뿐이다.    

 

 개신교와 동방정교회에서 사용하는 십계명】    

 

 1.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2.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3. 너는 너의 *하느님 *여호와(야훼)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4.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내라.   

 5. 네 부모를 공경하라.   

 6. 살인하지 말지니라.   

 7. 간음하지 말지니라.   

 8. 도적질하지 말지니라.   

 9.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  

10.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지니라. 네 이웃의 아내나 그의 남종이나 그의 여종이나 그의 소나 그의 나귀나 무릇 네 이웃의 소유를 탐내지 말지니라.

 

 

 

※ 註)  하나님/하느님, 여호와/야훼의 혼선을 피하고자 공동번역성서의 표현인 하느님과 야훼를 사용함.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사창가를 텍사스촌이라고 부를까?  (0) 2008.12.17
고려속요 쌍화점  (0) 2008.12.08
하렘(Harem)이란?  (0) 2008.07.31
소설가 · 천주교 신부 고마태오  (0) 2008.07.14
북망산(北邙山)이란?  (0) 200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