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종화의 대가, 의제 허백련(1891 ~ 1977)의 그림
허백련. 한국의 동양화가. 1891년(고종 28년) 11월 2일 전라남도 진도(珍島)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부친은 허동언(許東彦)이고 모친은 박동예이다. 소치 허련(小痴許鍊)은 그의 20촌 할아버지가 되며 미산 허형(米山許瀅)은 21촌 할아버지이다. 8살 때 진도에 유배 중이던 무정 정만조(茂停鄭萬朝)의 서당에서 글공부를 시작했으며 11살 때 운림산방에서 미산 허형 문하에서 그림공부를 했다. 집안에서는 장자라 그림을 그리는 것을 반대하였다. 의재(毅齋)라는 호는 그가 15세 때 스승인 정만조가 지어준 것이다. 1905년 진도 광신학교에 입학하였고 1910년 학업을 위해 한양으로 유학을 갔다. 한양에서는 기호학교(현 중앙고)에 다녔다.
1912년 일본 교토[京都]로 유학을 떠났으며 1913년 봄에 도쿄[東京]으로 옮겼다. 도쿄에서 인촌 김성수, 송진우 등을 만나 사귀게 되었다. 그해 5월 메이지 대학[明治大學] 법과 청강생으로 수학하다가 11월에 자퇴하였다. 유학 생활 중 가난으로 신문배달을 하였고 말더듬으로 교정을 받기도 하였다. 1915년 법률 공부를 그만두고 일본 남종화의 대가였던 고무로 스이운[소실취운(小室翠雲)]을 찾아가 그의 문하생이 되어 다시 그림공부를 시작하였다. 이때 일본에서 인삼장사를 하여 큰 돈을 벌기도 하였다. 1916년 일본 니카타[新潟]에서 개인전을 두 번 열었다가 부친이 위독하여 1918년 겨울에 귀국하였다. 다시 일본으로 가기위해 목포에 들렀다가 스승인 미산(米山)을 만났고 목포와 광주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이후 서울로 근거지를 옮겼으며 인촌 김성수의 도움을 받아 서울 생활을 시작하였다. 1922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처음 출품하여 2등과 입선을 하였고 그해 동아일보사의 후원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1927년 조선미술전람회 6회까지 계속 출품하였고 이후는 출품하지 않았다.
'한국 화가 100인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부신 진채기법에 의한 채색화, 박생광(朴生光·1904~1985)의 그림 (0) | 2012.01.26 |
---|---|
생명력과 독창성, 이숙자(1942 ~ )의 그림 (0) | 2012.01.20 |
'생명의 노래'와 김병종(1953 ~ ) (0) | 2012.01.05 |
서양화가 장리석(1916~ )의 그림 (0) | 2012.01.05 |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 이우환(1936~ )의 그림 (0) | 201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