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詩)를 읽다

무질서한 이야기들 / 진은영

by 언덕에서 2011. 6. 20.

 

 

무질서한 이야기들   

 

 

                            진은영(1970~ )

 

 

“네 멋대로 자고, 담배 피우고 입 다물고, 우울한 채 있으려므나”

출처를 잃어버린 인용을 좋아해

단단한 성벽에서 떨어진 회색 벽돌을 좋아해

매운 생강과자를 좋아해

헐어가는 입과 커다란 발을

 

끊어져 흔들리는 철교의

빨갛게 녹슬어가는 발목 아래서나

썩어가는 두엄지붕들 위에서

저 멀리

평원에서

들소의 젖은 털 사이로 불어오는

달착지근하고 따스한 바람을

 

손가락으로 좋아해

아니라고 말하는 어려움을

모든 습작들을 좋아해

서툰 몸짓을

이사 가는 날을 좋아해

죽은 사람의 아무렇게나 놓인 발들의 고요를

그 위로 봉긋하게 솟은

공원묘지에 모여든 초록 유방들

산 자의 기침과 그가 빠는 절망의 젖꼭지를

좋아해

그러나 꿀과 눈이 섞이는 시간을

 

너의 얼굴에서, 목에서

허리에서

얼음 같은 파란색 흐르는 시간을 좋아해

우리가 타버린 재 속에

함께 굽는

마지막 청어의 탄 맛을

 

 

 

 

 


 

이 시 참 무질서하고 몽상적이군요. 허나 '들소의 젖은 털 사이로 불어오는 달착지근하고 따스한 바람'이라는 표현이 산뜻합니다. 의미전달보다는 이미지를 툭툭 던지면서 전하는 의미들이 자꾸 글을 읽어보게 만듭니다. 새로운 별자리는 무엇일까요? 이 시인이 내뱉는 언어는 무질서하지만 색채는 왠지 다정하고 신비하며 청신합니다. 무슨 연상작용의 결과인지는 모르겠지만 갑자기 김수영 시인이 쓴 '눈'이라는 단정한 시가 생각났어요. '...  기침을 하자 /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 눈을 바라보며 /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 마음껏 뱉자 '

 위의 시인이 말하는 마지막 청어의 탄 맛은 어떠한 것일지요? ‘얼음 같은 파란색 흐르는 시간을 좋아해’라는 문장은 표면 기호의 차가움보다 먼저 몽상의 따뜻한 속을 더 지지하는 듯하네요. 아니라고 말하는 어려움은 또 무엇인가요? 산 자의 기침과 그가 빠는 절망의 젖꼭지는 에로스인가요? 이런 글을 두고 아름다운 착란의 무질서라고 불러도 되는 것인지요?

 

 

 

 

 

 

73

 

'시(詩)를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가(戀歌) 4 / 마종기  (0) 2011.07.04
인공호흡 / 김이듬  (0) 2011.06.27
인생 / 최영미  (0) 2011.06.13
풀 / 김수영  (0) 2011.06.04
반성 902 / 김영승  (0) 2011.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