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fGpO4/btqHmxWQbMK/Vi57dXiE42JmpW2w756d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yuKiU/btqHhECrCxH/WwVeSXFnFy0ZJLg3wnNA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SxuZX/btqHjprbIrH/nmFO1OyBE47uf7aL6kkb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OGYC7/btqHoWhmWOn/iNSw8pdgr5fXFIWTUiFpa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Zijw/btqHbY9fP8y/Eh2Ssyn0AYFENFzROslu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s2ghL/btqHoqCUOxv/vKdH9DbhyTWetMMKXWY7Hk/img.jpg)
이쾌대(1912 ~ 1953) : 한국의 화가. 조선신미술가협회 등을 조직하여 진보적 미술가로 활동했다. 후에 좌익 노선에 실망하여 정치색을 배제한 작품으로 선회하였으나 6·25전쟁 이후 다시 남조선미술동맹에 가입하였다. 휴전 후 북한으로 갔다.
경상북도 대구에서 출생했다. 휘문고보에서 장발(張勃)의 지도를 받았으며, 재학 중인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전에 입선하였다. 이어 도쿄제국미술학교에 입학, 1941년에는 이중섭(李仲燮)·최재덕(崔載德) 등과 조선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여 서울에서 수차 작품전을 가졌다. 8·15광복 후에는 조선조형예술동맹 및 조선미술동맹에 간부로 가담, 진보적 미술인들의 조직을 이끌었다. 1947년을 전후하여 평양에 가서 공산당 정국이 미술가들에게 혁명을 주제로 한 그림들만 그리도록 강요하는 것을 보고 실망, 좌익 노선의 조선미술동맹에서 이탈하여 정치성 배제의 조선미술문화협회를 조직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이어 1949년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때에는 추천작가로 참여하였으나,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다시 좌익계열인 남조선미술동맹에 가담하였다. 이어 인민군 측 종군화가로 전선에 참가하던 중 포로가 되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용, 휴전 직후 남북 포로교환 때에 북한을 택해 갔다. 초기부터 인물화에 주력하였으며, 구도나 인물표현에 있어 단단한 해부학적 수련을 바탕으로 서양의 고전주의 기법을 이어받았다. 8·15광복 후에는 《조난(遭難)》(1948) 등 해방 후의 어지러운 사회상을 그리기도 하였다. 대표작품으로 《작품》(1938) 《운명》(1938) 《부인도》(1943) 《탁자 위의 정물》(1943) 《걸인》(1948) 《추과(秋果)》(1949) 등이 있다.
'한국 화가 100인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속적 감성의 서양화, 장욱진(1917 ~ 1990)의 그림 (0) | 2009.05.15 |
---|---|
풍속화의 대가, 혜원 신윤복(1758 ~ )의 그림 (0) | 2009.02.04 |
물방울 화가 김창렬(1929 ~ 2021 )의 그림 (0) | 2008.08.08 |
조선시대 천재화가 단원 김홍도(1745 ~ ?)의 그림 (0) | 2008.08.06 |
강광(姜光.1940∼ )의 서양화 (0) | 2008.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