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주2 중국 고대 사상서 『장자』 중국 고대 사상서『장자』 『장자』는 4세기 중국 주(周) 나라 시대 장주(莊周: 일명 장자)의 저서로 처음 52편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내편(內篇) 7, 외편 15, 잡편 11, 도합 33편이 있다. 내편은 자저(自著)이며, 외편과 잡편은 문하생들의 편인 듯하다. 뒤에 존경하는 뜻에서 이라고 하였다. 내편이 장주(=장자)의 근본사상을 기술한 것이고 외편과 잡편은 내편의 뜻을 부연한 것으로서 그의 후학들이 연구 발전시킨 것이라 하며, 노자와의 절충이나 다른 사상과의 교류 등을 엿볼 수 있다. 대략 전국시대 말기(BC 3세기 말)에 완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원문의 분합은 그 뒤에도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33편으로 정착된 것은 진(晉)나라 곽상의 주석본이 나온 이후의 일이다. 곽상의 주석본은 현존하는 가장.. 2016. 5. 20. 역사상 가장 문학적인 비유와 상상력이 풍부한 책 『동양의 탈무드 장자(莊子)』 역사상 가장 문학적인 비유와 상상력이 풍부한 책『동양의 탈무드 장자(莊子)』 중국 고대 사상가 장자(莊子.BC 369?∼BC 289?)의 저서로 장자만의 독특한 여유와 지혜, 기발한 상상력과 기지가 무궁무진하게 담겨 있는 「장자(莊子)」는 동양의 탈무드라 불린다. 경전임에도 불구하고 그만큼 심오하면서도 재미가 넘쳐난다. 이 책『동양의 탈무드 장자』는 어려운 고전경전을 읽기 쉽도록 풀이하였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간추렸다. 장자(또는 장주(莊周))가 쓴 「장자(莊子)」는 도가의 시조인 노자가 쓴 것으로 알려진 보다 더 분명하며 이해하기 쉽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그의 사상은 중국불교, 산수화, 시가(詩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장자(莊子)」를 읽다보면 기원.. 2013. 9.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