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능화2

우리나라 기생의 역사에 관한 책『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 우리나라 기생의 역사에 관한 책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민속학자 이능화(李能和: 1869~1943)가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발간한 기생에 관련한 책이다. 역대 기생들의 실상을 밝힌 책으로 신활자본. 서문 외 목차 8면, 본문 28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26년 한남서림(翰南書林)에서 간행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기녀들의 실상을 밝히는 데 있어 등을 비롯하여 각종 문집·야사 등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고증근거로 하고, 그에 입각하여 서술한 점과, 기녀의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밝힌 점이다. 「조선해어화사」는 한국 기생의 기원을 고려초 여진 · 거란 등 북방민족 정벌 때 끌려온 이민족 여인들에게 접대부 일을 시킨 데서 찾고 있다. 그뒤 당국은 아예 '교방'을 설치해 외국 사신 및 왕과 .. 2024. 3. 27.
'갈보'의 어원 '갈보'의 어원  요새 젊은 층들은‘갈보’라는 말을 잘 안 쓴다. 숫제 무슨 말인지 모르는 축도 있을 것 같다. 그런 뜻의 말이라면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인가. 그러나, "내가 갈보짓을 하더라도…."라든지, "저년이 갈보가 되려고 환장을 했나…." 쯤으로 되면, 여자로서는 막판에 몰린 상황을 설명해 주는 말이 되었다. "딸자식 잘난 것은 갈보 가고, 논밭 잘난 것은 신작로(新作路) 난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불우한 사람은 좋은 것 지녀도 끝까지 지킬 수 없는 타율적인 여건이 조성된다는 뜻인 채, 일제시대의 불우했던, 특히 농촌의 형편을 반영해 주는 속담이었다고 하겠다. ‘갈보 가고’ 대신에 ‘신마치(新町) 가고’라고도 했는데, 그 ‘신마치’는 일제시대 서울의 공창가(公娼街)였.. 201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