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 현대소설

모파상 단편소설 『비계덩어리(Boule de Suif)』

by 언덕에서 2010. 6. 14.

 

모파상 단편소설 『비계덩어리(Boule de Suif)』

 

 

프랑스 작가 모파상(Guy de Maupassant.1850∼1893)의 단편소설로 1880년 간행되었다. 이 소설은 인간의 추악한 이기주의를 그린 걸작으로서 모파상의 데뷔작이다. 모파상은 1850년 노르망디의 미로메닐 출생으로, 1869년부터 파리에서 법률 공부를 시작했으나 1870년에 보불전쟁이 일어나자 군대에 자원입대했다. 전쟁이 끝난 후 1872년에 해군성 및 문부성에서 근무하며 플로베르에게서 문학 지도를 받았다.

 모파상은 1874년 플로베르의 소개로 에밀 졸라를 알게 되면서 당시의 젊은 문학가들과도 친분을 쌓았다. 1880년 6명의 젊은 작가가 쓴 단편모음집 <메당 야화>에 「비곗덩어리」를 발표하면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그 후 <메종 텔리에>, <피피 양> 등의 단편집을 비롯하여 약 300편의 단편소설과 기행문, 시집, 희곡 등을 발표했다. 또한 <벨아미>, <피에르와 장>등의 장편소설을 썼으며, 그중 1883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여자의 일생>은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이 낳은 걸작이라는 평을 받았다.

 모파상은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지만 신경질환 및 갖가지 질병에 시달렸고, 1891년에는 전신 마비 증세까지 보이기 시작했다. 1892년 자살 기도를 한 후 정신병원에 수용되었으나 끝내 회복되지 못하고 이듬해인 1893년 43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영화 [비계덩어리], 1952년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프랑스와 프러시아 간의 보불전쟁 때 크게 패배하여 달아나는 프랑스군을 쫓아 프러시아 군대가 루앙으로 입성했다. 새로운 지배자에 대해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의 시선은 곱지 못했지만, 대놓고 반대할 수도 없었다. 특히 돈푼께나 있는 이들에겐 새 주인이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닌 만큼 그들은 사령관을 매수하여 프랑스 지배하의 마을로 가는 통행증을 얻어 사업상의 이유를 핑계로 도피 행각을 벌이는 수가 있었다.

 눈이 몹시 내리는 추운 겨울밤, 열 명의 손님을 태운 커다란 마차 한 대가 루앙을 빠져나왔다. 마차에 탄 사람들은 지긋지긋한 프러시아 군을 피해 프랑스령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타고 있었다. 돈 많은 포도주 도매상 부부, 큰 공장을 가지고 있는 지방 유지 부부, 부동산이 엄청나게 많다는 백작 부부, 그리고 수녀 둘과 공화파 민주주의자인 코르뉴데, 뚱뚱보 창녀 하나 - 그녀의 이름은 엘리자베스 루새였으나 그의 체격이 뚱뚱해서 사람들은 그녀를 불 드 쉬프(비계덩어리)라 부르고 있었다. - 이렇게 열 명이었다.

 신분이 높고 돈 많은 세 쌍의 부부들은 서로 은밀한 교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들은 민주주의자의 눈치를 살피기도 했지만, 뚱보 창녀에 대해선 비웃고 조롱하는 짓을 즐기기도 했다.

 마차가 눈 쌓인 길을 가는 것이 꽤나 더디어 오랜 시간이 걸리자 그들은 배가 고팠다. 하지만 먹을 것을 가져온 사람은 불 드 쉬프밖엔 없었기에 멸시와 조롱을 보이던 이들은 먹을 것을 얻기 위해 그녀에게 아첨을 해댔다.  

 마차가 가까운 여관에 도착하자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통행을 담당하는 프로이센 군 장교에겐 통행증 말고도 하나의 요구가 더 있었다. 불 드 쉬프와 하룻밤을 보내겠다는 것이었다. 프랑스에 대한 애정이 조금은 남아 있는지 모두들 이 오만불손한 침략자에 대해 입을 모아 성토해 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 자신들의 안전한 통과를 위해서는 불 드 쉬프가 너그럽게 적에게 몸을 내주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고는 그렇게 해 주길 바라기 시작했다.

 완강히 거절하는 불 드 쉬프를 오히려 ‘창녀 주제에’ 하는 비웃음을 보이거나 나머지 아홉 사람의 안전을 위해 몸을 내주는 것은 하느님의 위대한 뜻이라느니 대의를 위해 자기를 내주라느니 아첨과 압력을 가했다. 결국 불 드 쉬프는 그녀의 몸을 프러시아 군에게 내주게 되었고, 일행은 길을 계속 갈 수 있었다. 수치와 분노로 흐느끼는 불 드 쉬프를 나머지 사람들은 모른 체 딴청을 부리고 있었다. 그들의 뻔뻔스러움을 조롱하듯 민주주의자 코르뉴데가 부르는 ‘라 마르세이유’(프랑스의 국가로 민중적인 노래)가 울려 퍼졌다. 

 

 조국에 바친 성스러운 사랑이여, 이끌라 떠받치라!

 복수의 우리 팔을. 자유여! 그리운 자유여!

 그대를 지키는 자와 더불어 싸우라.

 

<모파상과 동시대의 화가인 마네의 작품 '풀밭 위의 식사(1863년 작)' 속의 벌거벗은 두 여인은 창녀라고 전해진다. 작중 불 드 쉬프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이 소설은 프로이센 군에 점령된 루앙으로부터 디에프로 가는 역마차 안에서 생긴 일을 그린 작품이다. 뚱뚱해서 비곗덩어리라는 별명이 붙은 창녀가 합승객의 희생이 되어 프로이센 장교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일이 끝나자 합승객은 절박한 고비에서 구조를 받은 은혜도 잊고서 그녀를 경멸하고 멀리한다는 이야기이다.

 이 작품 속에 그려진 이기적인 부르주아지(시민계급)의 모습이나 표정에, 스승인 플로베르는 크게 감복하여 이것이야말로 진짜 걸작이라고 절찬하였다. 여자를 꾀다가 실패한 한 나그네가 홧김에 부르는 ‘라 마르세이유’ 노랫소리 사이에 여자의 흐느끼는 울음소리가 새어 나오는 결말도 이러한 짧은 작품의 마무리로서는 참으로 탁월하다.

 모파상은 1870년 보불전쟁에 참전했었다. 그런 이유로 그의 소설 중 많은 부분이 이 보불전쟁의 경험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이 소설 『비계덩어리』도 보불전쟁의 한 단편이다. 모파상은 이 글을 통해 부자와 귀족의 이기심과 허위를 생생한 문체로 묘사하고 있다. 비계덩어리로 불리는 창녀를 비웃고 모욕하면서도 자신들의 안전을 위해 그녀를 적들의 노리개로 내모는 상류계급과 종교인 등의 이기적인 도덕성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생생한 묘사를 통해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선입견과 진정한 용기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전략애국심과 민족주의가 다 가리지 못하는 욕정과 이기재산과 신분의 자부심은 일시적인 배고픔에도 무력하기 그지없었고 교양과 예절은 한낱 가면이었다정숙은 천박한 성적 호기심을 감추는 기술이었으며신 앞에서의 경건한 서원도 속세의 상식적인 인정이 거래 수준에조차 미치지 못했다그게 우리 인간성의 진실이라 하더라도 너무 끔찍한 진실이었고 그 추구는 너무 잔인했다.

  굳이 위로를 찾자면 그것은 오히려 비계 덩어리라고 불리는 창녀 쪽에서다그녀의 소박한 인정과 애국심그리고 결국은 보람 없는 것이 되고 말았지만동기는 순수하기 그지없는 자기희생은 어둠 속에 있는 한 줄기 빛처럼 우리 인간성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한다하지만 그런 그녀의 미덕들은 본능적이거나 무지의 결과에 가까웠고설령 그것들이 진정성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젊은 내게는 하필이면 가장 천박하고 추악한 외양 속에다 그것들을 담은 작가의 악의가 혐오스러웠다. (후략)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5권 166쪽에서 인용).

 창녀는 대부분의 사회에서 밑바닥 인생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인이 천하다는 사회적 통념 때문에 그들이 가지는 소박한 정서, 예를 들면 한 남성에 대한 애정이나 조국에 대한 애국심, 부모에 대한 효성 등을 하찮은 것으로 알고 우습게 여긴다. 하지만 짐짓 애국자 입네, 교양인 입네 하는 사람들이 실제 상황에서 보여주는 것은 우리가 상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우리를 실망시킨다.

 역사를 보더라도 나라를 침략자의 손에 내주고 그들의 그늘에 빌붙어 먹은 이들은 대부분 돈 있고 배운 사람이었다. 침략자에 대항해서 끝까지 지조를 지킨 것은 실제로 농민, 노동자 등의 무식하고 돈 없는 민중들이었다.

 정의를 목청 높여 외치다가도 막상 그 정의를 위해 피를 흘려야 하는 결단의 순간이 오면 우리는 망설인다. 아니, 눈을 감고 정의를 회피하고 싶기까지 하다. 이럴 때 모파상의 단편 『비계덩어리』는 부끄러운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어 줄 수 있다.